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하는 지식과 역량 분석: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양지선,이경숙,Yang, Ji Sun,Lee, Gyeong Su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예고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2015 개정 가정과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핵심역량과 지식의 연관성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는 메타인지적 지식이,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사실적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식 차원의 하위유형은 구체적 사실과 요소에 대한 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지과정 차원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이해하다', '창안하다'의 순으로, 고등학교 성취기준에서는 '이해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핵심 개념별로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은 '발달'에서 메타인지 지식과 '이해하다', '관계'에서 개념적 지식, 메타인지적 지식과 '이해하다', '생활문화'에서 메타인지적 지식과 '적용하다', '안전'에서 절차적 지식과 '평가하다', '분석하다', '관리'에서 사실적 지식, 절차적 지식과 '적용하다', '생애설계'에서 메타인지적 지식, 사실적 지식과 '이해하다'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취기준에 사용된 동사의 진술은 '탐색하다', '이해하다', '분석하다', '실천하다', '제안하다', '인식하다', '평가하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행동 동사의 진술은 수행과정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 교과내용 지식과 다양한 인지과정을 나타내는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구체적인 역량을 성취할 수 있다. 따라서 성취기준을 통해 학습자의 수행능력의 습득에 더욱 효과적인 인지과정을 제공하고 내용요소와 기능과의 연결을 정교화하는 전략을 통해 교육의 방향성을 높이고 학습자들이 미래를 대비하는 역량을 함양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ased on the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d aims to identify the knowledge and required competencies in the fourth industrial er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dimensions was the highest 'metacognitive knowledge' in middle school, while 'factual knowledge' was the highest in high school, and 'knowledge of specific details and elements' was the highest subtype of all of the knowledge dimensions. The dimensions of the cognitive process, such as the terms 'apply' and 'analyze' in middle school, as 'understand' and 'evaluate' in high school have been treated inattentively. Second,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ccording to key concepts display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 in development, the conceptual knowledge and 'understand' in relationship. While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apply' in life culture, the 'procedural knowledge' and 'evaluate' in safety, the 'factual knowledge' and 'apply' in management and the 'metacognitive knowledge' and 'understand' in life design were extremely high. Third, the verbs us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displayed as 'explore', 'understand', 'analyze', 'practice', 'suggest', 'recognize' and 'evaluate'. Since the statement of the action verb is the very basis for determining the performance process, specific competencies may be achieved by reflecting on the actual achievement standards. These standards should provide us with a effective cognitive process for to understand a learner's performance skills and support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required, through a strategy that refines the connection between content elements and functions and develop their competences for the future.

      • KCI등재

        비판과학 관점의 가정과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양지선 ( Jisun Yang ),유태명 ( Taemyung Yoo ) 대한가정학회 2017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5 No.1

        This study develops an the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e practical problem is `what should the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with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be?` was addressed through a practical reasoning research method with the stages of valued ends, context, alternatives, consequence, and a final plan. The sequential flow of understanding values and contexts established the setting of three valued ends by organizing issues and categorized areas of individuals, families, society, and cultural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was specifically stated, in the self-formation, independent, inter-subje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enculturation according to subcategories; in addition, the stated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was modified through expert consultations. Alternatives and consequences were reexamined for the validity of the statement and restated as a comprehensive statement of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that included a restatement of the five areas. An ideal portrait of a human being pursu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a critical science perspective was made from alternative ideal portraits of the proposed human being and stated as `a person who can continually act autonomously in one`s life-world.`

      • KCI등재

        학부 유학생의 발표 수업에 대한 인지적 태도 변화 : S 대학 비대면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양지선(Yang, Ji-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발표 수업에서 학부 유학생의 발표 수업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수업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S 대학 학부 유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기 전과 수업 후의 인식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여 설문 검사를 진행하였고, 수업이 학생들의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학습자들은 어휘, 목소리 크기, 시선 처리, 손동작에 대해 수업 전, 수업 후 인식 변화의 차이를 보였고, 온라인 수업에서 발표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한 발표 영상 제작, 피드백의 오류 지적에 관해서도 사전, 사후 인식 변화의 차이를 보여 체계적인 수업 준비와 교수자의 피드백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표 수업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학습자들은 발표 시간 준수와 같은 태도적 변화와 학습자 본인의 실력 향상에 대한 자신감의 내재화 등 인식 변화의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한국어 능력(TOPIK) 급수의 높고 낮음과 상관없이 온라인으로 진행된 수업에 관한 참여 의지와 자신의 실력 향상에 대한 믿음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언어, 준언어, 비언어적 요소 및 발표 수업 활동 및 참여에 관한 학습자의 인지적 태도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비대면 수업에서 체계적인 수업 준비와 교수자의 피드백은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발표에 관한 자신감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of presentation classes have changed in non-face-to-face presentation classes through class example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a 5-point Likert scale to check the changes in perception before and after online classes for 137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at S University. An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se and determine whether the class had an effect on the students cognitive change. Results Learners showed differences in perception changes before and after class with respect to vocabulary, voice volume, gaze processing, and hand gestures. Also, regarding the production of presentation videos and pointing out errors in feedback, changes in pre- and post-recognition changes were observed in online classes to enhance presentation competency. This showed the difference,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systematic class preparation and teacher feedback. In addition, learn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esentation class showed differences in attitudes such as adherence to presentation time and changes in perception such as internalization of self-confidence in improving their own skil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ll learners had strong will to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and had strong belief in improving their own skills regardless of the high or low level of TOPIK resul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find out the changes in learners cognitive attitudes regarding verbal, semi-verbal (quasi-verbal), non-verbal elements, and presentation class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t can be seen that systematic class preparation and teacher feedback in non-face-to-face classes are necessary to improv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and confidence in their presentations.

      • KCI등재

        학부 유학생의 발표 역량 강화를 위한 사례 연구 - S 대학 비대면(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양지선 ( Yang Jisu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7 No.-

        본 연구는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필수과목인 ‘발표’ 관련 수업을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학습자들의 참여와 자신감을 높이고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대면 수업을 할 때는 교실 분위기나 친구들과의 교감을 통해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기도 하지만 비대면 수업에서는 이러한 소통에서 오는 인적 교감이 제외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수업으로 발표 수업을 진행할 때 소통의 단절에서 오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학습자들에게 발표 동영상 제작, 교사의 피드백 강화, 성찰 일지 작성, 동료 평가를 활용한 상호작용으로 학습자의 발표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은 발표 동영상을 제작하는 과정과 동료 평가를 통해 발표할 때 자신의 언어, 준언어, 비언어적 요소에 대해 객관적인 시선에서 바라볼 수 있어 자신의 부족한 점을 인지하고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또한 교사가 서면, 비대면 피드백을 강화한다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도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충분히 만족도를 높이고 학습자의 발표 역량도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ays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of learners in online classroom situations of ‘presentation’ classes, which are essential liberal arts subjects for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maximize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offline classes, people empathize with situations through the classroom atmosphere or connection with friends,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online classes exclude human sympathy from such communication. In order to solve this, it was attempted to strengthen learners' presentation capabilities through the production of presentation videos, reinforced teacher feedback,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and interaction using peer evaluation. Learners will be able to look objectively at their use of verbal, paralanguage, and non-verbal elements through peer evaluation,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ir shortcomings and try to make efforts to improve. When the teacher reinforces written and online feedback, learners can sufficiently increase their satisfaction level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teacher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strengthen their presentation capability.

      • KCI등재

        영남 교방문화 속에 핀 교방춤

        양지선(박사수료) ( Ji-seon Yang ) 대한무용학회 2016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4 No.3

        Yeongnam area is famous for dance. One of the reasons is that Yeongnam area is a lot of kyobang Dance based on kyobang culture. development of the kyobang culture Even though the research of kyobang is concentrated in Kwanso area. Joseon missions to Japan of road is in existence Yeongnam area. Therefore, Yeongnam area is a lot of feas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ppearance of kyobang dance inside kyobang culture. For this research, researcher collected the materials mainly from Ohoengmuk(吳宖默)``s 『GoseongChongswaerok(固城叢□錄)』, kyobangkhayo written by Jeonghyeonseok(鄭顯奭) and 『Hae-haeng-chong-che(海行摠載)』

      • KCI등재

        학문 목적 유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의식 함양에 대한 연구-문제중심학습(PBL) 활동 중심으로-

        양지선 ( Yang Ji S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1

        본 연구는 한국에 유학 온 학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화 시대에 발맞추어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타인과 다양성에 대한 존중,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대한 의식을 갖출 수 있도록 국제적으로 이슈가 되는 주제를 활용하여 세계시민 의식을 함양한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학생들이 영상 정보를 올바르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후,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될 수 있도록 문제중심학습(PBL) 방법을 활용하여 세계시민 의식(난민, 빈곤 등)에 대한 학습을 하였다. 세계시민교육의 핵심은 글로벌 시민으로서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지와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모든 이슈에 대한 가치와 다양성을 존중하며, 오늘 우리가 살아가는 보편적 가치에 대한 행동과 실천을 하도록 이끄는 것이 세계시민교육의 목표이다. 본 수업 과정을 통해 세계시민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몰랐던 학습자들이 난민, 환경, 불평등, 인권 등 다양한 국제적 이슈에 대한 문제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교육적 활동에 높은 만족감을 나타내었고,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도 높게 표현하여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세계 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global competencies that foster global citizenship of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come to South Korea. This is done by using the themes of global issues so that they can keep pace with the era of globalization, respect for others and diversity required in modern society, and to promote the awareness of the universal values of mankind. To this end, education on media literacy was conducted so that international students can search and use video information correctly. The students were taught about global citizenship issues (such as refugee, poverty, etc.) by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PBL) method so that the class can become a learner-centered one. The cor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aimed at understanding one’s role as a global citizen. In addition, the goa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to respect the value and diversity of all issues and lead us to act and practice for the universal values with which we live today. Through this course, those learners who had not known specifically what global citizens are have recognized that they need to be aware of various international issues such as refugees, the environment, inequality, and human rights. Learners showed a high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s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y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learning ab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firming the necess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가정과예비교사의 수업경험을 통한 비판적 반성에 관한 탐구

        양지선 ( Yang Ji Sun ) 대한가정학회 2018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6 No.3

        This study explores the critical reflection process experienced by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during practicum. Data were collected in a critical analysis of class, practicum review, and journals written by sixteen preservice teachers. Text material were composed of 188 transcripts on A4 paper and 36 page of mini-no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thematic coding method in qualitative research and proceeded in the order of three steps of transference, coding, and subject discovery. The emerging themes were: 1) Observing class 2) Practicing class 3) Growth of class practice 4) Reflecting class. First, the observing class was an exploration process through the viewing of daily classes that involved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classroom situation and various classroom contexts. Second, the practicing class was to strengthen the consideration of the class to form a relationship that could lead to learning in educational situations. Third, the growth of class practice was intended to recognize the orientation of the subject matter with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ur, the reflecting class was the process of experiencing practice with a continuous understanding of the class, class reflection, and changing the perspective from the current status. There is a part where critical reflection is difficult to be promoted deeply during 4 weeks; however, there was a possibility of a reflection practice that could promote achievem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a practicing class.

      • KCI등재

        재중(在中)한국독립운동세력의 항일연극 공연과 의의

        양지선 ( Yang Ji-sun )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6

        중일전쟁 발발 후 중국 관내 지역에서 연극을 중심으로 하는 소위 항전희극운동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중국 내 항적 예술운동의 기운은 한국독립운동세력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 한인들 또한 새로운 전시정책의 하나로 선전 활동을 강화하였다. 강연·연설 등이 주를 이루었지만, 항일예술의 발달과 함께 음악회·연극 또한 수시로 열어 한중연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당시 중국 관내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던 주요 단체들 가운데 청년공작대는 유주에서, 조선의용대는 계림에서, 전지공작대는 서안에서, 임시정부는 상하이와 서안에서 항일연극을 무대에 올렸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중국항적예술단체와의 교류 및 협조 관계 하에서 독립운동자금 마련, 기념일 행사, 선전 활동, 중국항전 지원 등을 목적으로 항일연극과 항일가극을 활용하여 중일전쟁승리와 독립에 적지 않은 기여를 했다. Anti-Japanese drama means drama performances with the purposes of collecting human/material resources necessary for resisting the Japanese force, providing mental comfort, and raising anti-Japanese volition.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the so-called “resistance drama movement (anti-Japanese activities through dramas during the period of Sino-Japanese War)” was promoted around dramas in the Guannei region (south of the Great Wall) of China. The energy of resistance art movement in China seems to have given certain influence to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as well.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Koreans also decided to reinforce their propaganda activities as part of a new war-time policy. Most of such activities were lectures and speeches, but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anti-Japanese arts, music concerts and dramas also opened frequentl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Korean-Chinese alliance. Among the major groups active in the Guannei region of China back then, the Korea Liberation Front Youths Mission Corps staged Anti-Japanese dramas in Liuzhou, while the Choseon Uiyongdae (Choseon Volunteer Army) in Guilin, the Korean Youths Battlefield Mission Corps in Xian, and the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n Government in Shanghai and Xian. Independently or under the alliance and cooperation with Chinese resistance art groups, they used anti-Japanese dramas and operas to raise funds for independent movements, open events for anniversaries, conduct propaganda activities, and support the resistance of Chinese forces.

      • KCI등재

        수업과 평가 일체화를 위한 성취기준 중심 가정과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 연구

        양지선(Yang, Ji Sun),이경숙(Lee, Gyeong Su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강조하고 있는 교육의 변화 속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과 평가를연계할 수 있는 서술형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평가기준에 제시된 평가 영역 중 서술형 평가에 적합한 14개의 성취기준이 분석되었으며총 29개 문항의 내용요소를 포함하여 문항요소를 개발하였다. 둘째, 평가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서술형 문항의 구조에 알맞은문항을 사전개발하고, 문항에서 활용할 자료, 채점기준의 제시 방법을 각 문항에 맞게 선택하였다. 셋째, 답안 및 채점기준표작성 단계에서는 채점기준과 부분점수별 예시 답안을 채점기준표로 작성하고 평가목표와 채점 항목, 항목별 배점을 검토하였다. 넷째, 전문가 검토 및 수정⋅보완 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과 답안들은 전문적 교과학습공동체 교사들과 함께 문항 구성요소,평가목표의 구체화, 출제 의도의 구현 여부, 채점 결과에 대하여 예비검토와 상호검토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형 평가 문항과 채점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대한인식변화를 도모하고 추후 학습자의 지식 적용능력을 높이기 위한 서술형 문항개발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tems of an essay response assessment that could align with the instructions andassessments in the high school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establish an assessment plan, 14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in the assessment area, and the elements ofthe questions were developed including the content elements of a total of 29 questions. Second,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s,preliminary questions suited to the structure of essa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the method of presenting data and scoringcriteria to be utilized in the questions was selected. Third, to prepare the answers and the scoring criteria tables, the answersto the sample questions for each score were prepared in form of a scoring criteria table, and the objectives of the assessment,the scoring items, and the scores for each item were reviewed. Fourth, the developed questions and answers were revised andsupplemented by teachers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preliminary and mutual review on the componentsof the questions, the embodiment of the assessment objectives, the implementation of the assessment intent, and the grading.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essay-type questions and scoring criteria in essayassess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teachers enhance their learners abilityto apply knowledge in the future.

      • KCI등재

        텐진 프랑스조계의 한인독립운동 근거지 형성과 위치고증

        양지선(Yang Jisun)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8

        1910년 일본의 강제 합병 이후 정치적 불만을 가진 한인들이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텐진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을 중심으로 텐진지역 한인사회의 기틀이 마련되었고, 이후 1919년 불변단이라는 최초의 한국독립운동단체를 시작으로 1945년 해방 때까지 단절됨 없이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텐진지역 독립운동의 특징은 다양한 계열이 활동했다는 것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종일관 대한민국 임시정부와의 관계성을 유지했다는 것이다. 텐진에서 이루어진 한국독립운동은 주로 프랑스조계에서 이루어졌다. 육상과 해상교통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독립운동을 지원해주는 세력과의 교류, 신분 위장 등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는 것에 있다. 또한 프랑스 당국이 일본과의 교섭 등 정치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최소한 한인들을 조계 밖으로 추방하지 않고 활동을 묵인해 주고 있었기 때문이다. 영국조계 역시 1930년대 일본의 중국 침략이 가속화 되면서 반일활동근거지 역할을 했다. 아직까지 프랑스조계에 원형 그대로 남아 있는 한국독립운동 관련 근거지는 많지 않다. 현재 파악된 것은 13곳 정도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몇몇 곳은 정확한 지점을 찾지 못하였다. 프랑스,중국 측과의 공동연구를 통한 정확한 고증과 관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After Korea s forced annexation to Japan in 1910, Koreans with political dissatisfaction started to move to Tianjin to launch independence movements.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ommunity in Tianjin was centered by these migrant Koreans. Starting from the firs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group named Bubiantuan in 1919,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ontinued without stoppage until the country s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ianjin was launched by various affiliates. Nevertheless, it always maintained a steady relationship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Most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in Tianjin took place in the French Concession. The French Concession not only had excellent convenience in land and maritime transportation, but also other favorable conditions such as the convenience of exchanging with forces support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advantages for disguising identities, etc. In addition, the French authority didn t deport the Koreans out of the concession and overlooked their activities for the sake of political negotiations such as those with Japan. However, this couldn t take precedence over the interests of France, and thus the conditions were subject to change at any time based on the negotiation with Japan. There aren t many remain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ianjin which are kept intact. Today, there are only about 10 traceable sites which are mentioned in this paper. Moreover, the exact location of some of these sites is still unclea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historical researches on the remains by cooperating with the Chinese pa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