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성애자의 얼굴표정 정서인식과 사회불안

        양재원,임민경,양은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6 인지행동치료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동성애자들의 사회불안의 정도를 확인하고, 사회불안과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정확성, 민감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정확성과 민감성은 양재원과 오경자(2009)의 실험패러다임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몰핑 기법을 이용하여 기쁨, 슬픔, 화남, 두려움의 네 가지 정서의 다양한 정서 강도를 가진 얼굴표정 자극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를 중립적 얼굴표정에서 더 강한 정서를 가진 얼굴표정의 순서대로 제시하거나(상향과제), 강한 정서에서 중립적인 얼굴표정으로 변화하는 방식으로 제시하였다(하향과제). 이 과제를 통해 피험자들이 정서가 나타나는 것 혹은 사라지는 것을 인식하는 정서 강도를 측정하여 정서인식의 민감성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그 정서를 얼마나 정확하게 인식하는지를 측정하여 정서인식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동성애자들은 이성애자들에 비해 더 높은 사회불안을 보였으며, 남성 동성애자들의 경우 이성애자들에 비해 슬픔, 분노, 기쁨 정서인식의 민감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성애자들의 사회불안과 얼굴표정 정서인식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성 동성애자의 경우에는 사회불안과 분노 정서의 정확성 간의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여성 동성애자의 경우에는 사회불안과 기쁨 정서 민감성의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이런 경향은 우울을 통제하고도 유의하였다. 동성애자들이 높은 사회불안을 보이는 것, 그리고 그것이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민감성, 정확성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그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social anxiety in lesbians and gay me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facial emotion recognition compared to heterosexuals. To measure their facial emotion recognition, we used Yang and Oh(2009)’s experiment paradigm. In their experiment, happy, sad, angry, and fearful emotional faces with diverse emotional intensities were created by using morphing technique. In ascending trials, facial emotion stimuli were presented from neutral to more intensive ones. The reverse sequence was used in descending trial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when they noticed a presence of a certain emotion in ascending trials and a disappearance of an emotion in descending trials. Additionally, they judged which emotion they recogni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ocial anxiety was higher in lesbians and gay men than in heterosexuals. In particular, gay men recognized sadness, anger, and happiness with lower sensitivity compared to heterosexual men. Moreover, the levels of social anxiety of gay me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ccuracy of recognition of angry facial emotion. On the contrary, social anxiety symptom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ensitivity to happy facial emotion in lesbia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불안 증상과 얼굴표정 정서 인식의 민감성과 인지 편향

        양재원,오경자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9 인지행동치료 Vol.9 No.2

        이 연구에서는 사회불안 증상과 얼굴표정 정서 인식의 민감성 및 인지 편향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기쁨, 두려움, 분노, 슬픔의 네 가지 정서의 얼굴표정을 선정하고 중립적인 얼굴표정과의 몰핑을 통해 각 정서별로 중립에서 정서의 극단치까지 50단계의 정서를 가진 얼굴표정을 제작하였다. 이어 Joormann과 Gotlib(2006)의 실험 패러다임과 동일하게 중립에서 어떤 특정 정서의 극단치까지 얼굴표정이 천천히 변화하도록 하고, 그 과정 중 정서가 인식되는 때의 정서 강도를 측정하였다. 추가적으로 어떤 정서의 극단으로부터 중립으로 변화하는 과정 중 그 정서가 사라졌다고 인식하는 강도도 측정하였다. 또한 제시되는 얼굴표정의 정서가 무엇인지를 답하도록 하여 정서 인식의 오류를 측정하였다. 실험을 통해측정된 정서 인식에 필요한 정서 강도와 소멸이 인식될 때의 정서 강도 및 정서 인식의 오류율과 자기보고식 사회불안 척도와의 상관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사회불안 증상이 높을수록 긍정적 정서를 더욱 높은정서 강도에서 사라진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또한 전반적으로 얼굴표정의 정서 인식에 있어서 더욱 높은오류를 보였다. 이는 사회불안 증상이 얼굴표정의 정서 정보 처리에 편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이결과가 심리치료에서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itivity in recognizing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and social anxiety symptoms. Using facial expressions of anger, fear, happiness, sadness, and neutral emotions, 50 morphed faces were created, changing 2% steps from a neutral state to the full-blown expressions of emotion. In the ascending task, like Joormann and Gotlib's study (2006), still photographs of facial expressions gradually proceeding from neutral to extreme emotions were presented and the intensity of emotion which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expressed emotion was recorded. In the descending task, the same sets of still photographs were presented in the reverse order and the participants responded when disappearance of the emotion was noticed.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the level of social anxie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intensity of happy in the descending task, indicating that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reported the disappearance of happy emotion earlier than those with low social anxiety. In addition, social anxiety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 identification errors, suggesting that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might have difficulty with recognition of facial emo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formation processing in facial emotion might be biased in social anxiety.

      • 혈액투석 환자들의 Minor Stress, 대처방식 및 삶의 질

        양재원,이문수,박상욱,오소영,고영훈,권영주,조숙행,Yang, Jae-Won,Lee, Moon-Soo,Park, Sang-Uk,Oh, So-Young,Ko, Young-Hoon,Kwan, Young-Joo,Joe, Sook-Hae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8 정신신체의학 Vol.16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말기 신질환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들에서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하는 경한 스트레스의 요인(minor stressor)의 빈도와 영향 및 취약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특성, 주관적인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말기 신질환 환자들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방법 :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생활사건인 minor stressor와 관련된 스트레스의 정도와 대응기전을 나타내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척도(Daily Stress Inventory Korean version, K-DSI)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질문지(Ways of Coping Checklist)를 각각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삶의 질은 간편형 세계보건기구의 삶의 질 척도(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로 평가하였다. 결과 : 연구 참여인원은 77명(남자 37명, 여자 40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5.92{\pm}13.71$세였다. K-DSI의 사건, 영향, 영향/사건 비 점수는 평균 $29.06{\pm}21.57$점, $88.69{\pm}75.88$점, 그리고 $2.92{\pm}1.11$점으로 K-DSI의 규준 점수와 비교하여 높은 점수를 보였다. 대인관계, 개인능력, 인지, 환경 및 기타 스트레스의 다섯 하위요인별 점수도 규준 점수보다 높았으며, T 점수 비교에서는 사건 점수가 각각 54, 53, 81, 50, 57, 영향 점수는 각각 71, 88, 94, 69, 53으로 그 중 인지 스트레스 요인 점수가 사건, 영향 점수 모두 현저히 높았다.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을 나타내는 K-DSI의 영향/사건 비와 대처 방식 중 소극적 대처 방식 점수는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였다(소망추구 사고, 정서중심 대처 각각 r=0.431, r=0.225, p<0.05). 또한, 적극적 대처방식 중에서 문제해결 대처방식 점수는 삶의 질 척도의 신체건강(r=.294, p<0.01), 심리(r=.300, p<0.01), 사회관계(r=.233, p<0.05), 및 환경 하위요인(r=.293, p<0.05)과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였다. 결론 : 혈액 투석을 받는 만성 신질환자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 경한 스트레스 요인(minor stressor)에 대한 영향을 현저히 많이 받고, 적극적 대처방식인 문제중심 대처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을 보인다. 또한, 경한 스트레스 요인(minor stressor)에 대한 취약성이 높을수록 적극적 대처방식보다는 정서중심 및 소망추구 등의 소극적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혈액 투석 환자들의 스트레스를 평가할 때 일상생활에서 흔히 경험하는 경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스트레스(minor stress) 평가와 대처방식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혈액투석 환자들의 장기 치료 접근에 있어서 스트레스 관리와 대처기술 훈련을 포함한 치료가 병행되어야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nor stress in daily life related to undergoing hemodi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r stresses, coping skills,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the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Methods : Seventy seven patients on hemodialysi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inor stress was assessed with daily stress inventory-Korean version(K-DSI), ways of coping checklist identified the use of the following coping strategies:problem-focused, seek social support, emotion-focused coping and wishful thinking. Socio-demographic data were obtained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Quality of Life Scale(brief form) was also administered to subjects. Results : Participants mean age was $55.92{\pm}13.71$ years. The mean of the event, impact and impact/event (I/E) ratio scores of K-DSI were $29.06{\pm}21.57$, $88.69{\pm}75.88$ and $2.92{\pm}1.11$, respectively. These scores were much higher than normative data of K-DSI. Among the 5 categories of this inventory, the scores of cognitive stressors were highest. 5 categories of the inventory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way of coping subscales, which showed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0.259(p<.01) and 0.495(p<.001).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inor stress subscales and quality of life. Hemodialysis patients in our study used more emotional-focused coping methods, which was considered as passive way of cope than problem-orientated coping methods. Conclusion :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atients on hemodialysis showed higher level of perceived minor stress than normal population. The patients treated with hemodialysis tend to use passive way of coping primarily. For assessing the stres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clinician has to consider both level of perceived minor stress and the ways of coping the patients primarily use.

      • KCI등재

        Effects of using Natural and Artificial Flowers in Flower Arrangement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laxation

        양재원,이민선,정다워,박범진 인간식물환경학회 2022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5 No.1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natural and artificial flowers inflower arrangement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laxation. Methods: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natural flowers in terms of physiological relaxation during flower arrangementwork,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measured while 15 people were conducting flower arrangement with natural flowersin comparison with artificial flowers.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Profile of Mood States (POMS), and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were used during flower arrangement to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s. Results: The physiological relaxation of natural flowers shows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with natural flowers duringthe first 5 minutes significantly inhibits sympathetic activity compared to artificial flowers. This result proves that flower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reduces the tension and improve relaxation. A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psychological effects, the STAI proves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can better reduce anxiety and relaxthe subjects than artificial flowers. The result of SCL-90-R test shows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cansignificantly reduce depression. The result of the POMS shows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cansignificantly reduce tension, anxiety and depression compared to artificial flowers. The result of the SD method shows thatthe subjects had a significantly more positive impression of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than that usingartificial flowers in terms of feeling ‘pleasant’ and ‘calm’. Conclusion: The result imply that flower arrangement using natural flowers can be more effective for relaxation andrecovery from stress and can improve relaxation and calmness of human body compared to artificial flowers.

      • 전기모기채에 의한 생활용 스프레이 발화가능성 연구

        양재원,김종현,김보성,류재민 한국화재감식학회 2020 한국화재감식학회 학회지 Vol.11 No.2

        In the last three years, 19 life-threatening spray fires and safety accidents have occurred. The most common type of damage was burns with seven cases, followed by six electric shocks, four fires and explosions, and two others. In May 2019, there was a home fire in our port fire station where two smoke inhalers were taken to the hospital for the same type of home fire. Most consumers are aware of this explosion damage only by being aware of the cautions and following the safety rules, and by fully aware of the precautions or the fact that an explosion can be caused by the use of household spray pesticides and electric mosquito nets. It was chosen as the theme of the 2020 conference in the mind that it can be reduced.

      • KCI등재

        Association of Insulin Resistance with Lower Bone Volume and Strength Index of the Proximal Femur in Nondiabetic Postmenopausal Women

        양재원,홍남기,심재선,심지선,이유미,김현창 대한골대사학회 2018 대한골대사학회지 Vol.25 No.2

        Background: Type 2 diabetes mellitu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osteoporotic fracture despite relatively preserved bone mineral density (BMD). Although this paradox might be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insulin resistance (IR) on bone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the association of IR with femur bone geometry and strength indices remains unclear. Methods: Using data from the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 Etiology Research Center cohort study,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analysis among nondiabetic postmenopausal women. IR was estimated using th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R (HOMA-IR). Compartment-specific volumetric BMD (vBMD) and bone volume of proximal femur were measured using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The compressive strength index (CSI), section modulus (Z), and buckling ratio of the femoral neck were calculated as bone strength indices. Results: Among 1,008 subjects (mean age, 57.3 years; body mass index [BMI], 23.6 kg/m2), BMI, waist circumference, and vBMD of the femoral neck and total hip increased in a linear trend from the lowest (<1.37) to highest (≥2.27) HOMA-IR quartile (P<0.05 for all). The HOMA-IR showed an independent negative association with total bone volume (standardized β=-0.12), cortical volume (β=-0.05), CSI (β=-0.013), and Z (β=-0.017; P<0.05 for all) of the femoral neck after adjustment for age, weight, height, physical activity, and vitamin D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vels.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HOMA-IR and vBMD was attenuated in the adjusted model (femoral neck, β=0.94; P=0.548). Conclusions: Elevated HOMA-IR was associated with lower cortical bone volume and bone strength indices in nondiabetic postmenopausal women, independent of age and body size.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사회불안 집단의 사회 및 정서 자극에 대한 해석 편향

        양재원,오경자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0 인지행동치료 Vol.10 No.2

        사회공포증 혹은 사회불안장애는 흔한 심리적 장애이며, 다양한 사회적 기능에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공포증의 발병 및 유지 기제와 관련하여 인지적 요소가 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인지-행동 모형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회공포증의 인지-행동 모형에서는 사회 및 정서 자극에 대한 다양한 인지적 편향을 사회공포증의 발생과 유지에 주요한 기제로 설명하고 있다. 이 중 해석 편향은 사회 및 정서 자극에 대해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성을 의미한다. 사회공포증의 해석 편향과 관련한 경험적 연구들을 살펴보면 일관성 없는 결과들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각 연구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험 자극과 실험 패러다임의 차이와 관련이 큰 것으로 보인다. 사회적 상황을 기술한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해석 경향성을 측정하는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 집단이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부정적 해석 편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반응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해석 편향을 확인하는 실험 연구에서는 사회공포증 집단이 사회적 상황에 대한 긍정적 해석 편향을 보이지 않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얼굴 표정을 정서 자극으로 활용한 연구에서는 실험 패러다임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들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선행 연구들을 개관하였고 그 결과들을 종합하였으며,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ocial phobia or social anxiety disorder is a common psychological disorder that may impair diverse social functions.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social anxiety suggests that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biases play crucial roles in the generation and maintenance of social anxiety. Interpretation bias, one of the information biases in social anxiety, refers to the cognitive tendency toward negative interpretation of social situations and emotional stimuli. Previous studies using social scenario paradigm suggest that social anxiety is characterized by negative interpretation of social situation. On the other hand, on-line experiments adopted with experimental cognitive psychology have provided that social anxiety groups are different from normal controls in terms of the lack of positive interpretation. Further, the recent empirical studies using the pictures of facial expression as experimental stimuli have revealed inconsistent findings,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paradigm. This paper reviews and integrates the diverse empirical findings across studies.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as well a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