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無存在(to me on) 개념과 道德的 自我의 存在性문제 : 플라톤의 Euthydemus 283b-d에 대한 하나의 해석

        梁承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93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63 No.2-3

        As a literary work, Platos Euthyedemus has long been the object of admirations for its brilliance and ingenuity in the use of comic satire, irony and humor. As a philosophical work, however, it may also be one of the most neglected dialogues of Plato of which the small interpretive essay starts from the conviction that, despite its apparent touch of light-heartedness, it is a dialogue which is full of philosophical implications covering probably Platos philosophy as a whole and therefore deserves serious philosophical as well as literary treatments. In this sense, this essay is basically in line with the efforts of Sprague, one of the few Platonic scholars who saw in Euthyedemus the germ of, or the clues to the understanding of, Platos later ontological dialogues. It appears, however, that Spragues efforts still remain as a skipping running commentary on the dialogue rather than an in-depth interpretation or a thorough going philosophical examination of it. This essay, by focusing an interpretive analysis upon a small but significant passage of the dialogue, purports to b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ultimate task of full explorations of the hidden philosophical meanings underlying its whole dialogical currents. The object of such an analysis is the initial phased of the first round of logomachy among the three in the dialogue. It corresponds to Euthyedemus 283b-d where the young here Clinias gets entrapped into a sophistic net by the sophist brothers Euthyedemus and Dionisodoros. The scene ahs already been interpreted by Sprague as signifying the issue of non-being and becoming. But Spragues main concern was so much with Platos use of logical fallacy that he went hardly any further than relating the scene somewhat mechanically and abstractly to the dialectical triad of being, non-being and nothing in Platos later ontology. He thus failed to touch upon Platos deliberate use of the verb eimi(to be) in the context. The deliberateness here lies in the fact that Plato uses the three functions of the verb, namely identification, predication and existence-confirmation, for his demonstration of the existence of on-being-in this case the existence of the moral-self, but it deals with another aspect of the moral-self of Clinias. When the scene is construed in such a manner, the meaning of the rest of the first round of logomachy seems to become clear. For the rest is not merely, as Sprague thought, a continuation of the discussion about the existence of the moral-self, but it deals with another aspect of the moral-self. The aspect is the paradox of the moral-selfs preservation of its own identity while ever changing the identity itself. But the detailed discussion about this issue must be left to another independent work, and in the present essay only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made.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生物學的 人間本性論과 政治學 硏究

        梁承兌 한국정치학회 1988 한국정치학회보 Vol.22 No.2

        70年代 中半頃부터 擡頭되기 시작한 生物政治學(Biopolitic)이 최근에 들어서는 그에 대한 學問的 關心이 약해지면서 점차 退朝하는 것 같다. 이 글은 生物政治學의 그와 같은 退潮와 關聯하여 관련學 硏究에 있어서 人間本性論의 意味를 새롭게 定立하기 위한 試論을 提示하는 데 그 目的이 있다. 그와 같은 目的을 위해서, 첫째 로렌츠(Lorenz)로 대표되는 20世紀 動物行動學(ethology)의 發展이 어떠한 過程을 통해서 政治學에서 生物政治學의 出現으로 나타나게 되었는지 그 知性史的 背境을 槪觀하였으며, 둘째로 生物政治學의 基本 內容을 生物政治學이 追求하는 政治學硏究의 目的과 方法 및 生物政治學이 基礎하고 있는 生物學的 人間本性의 槪念內容을 中心으로 整理하였으며, 세째 生物政治學이 指向하는 그와같은 政治學硏究의 目的과 그것의 生物學的 人間本性 槪念이 兩立可能한지 與否를 批判的으로 檢討하였다. 이러한 批判的 檢討의 過程을 통하여 根本的으로 生物政治學은 人間本性에 대한 自己矛盾的인 잘못된 槪念化로 인하여 旣存의 政治學硏究에 도움이 되거나 또는 새로운 좀더 科學的인 政治學을 提示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政治學 더 나아가 社會科學의 成立 自體를 否定할 수 밖에 없는, 따라서 스스로의 學問體系 自體를 否定할 수 밖에 없는 自己矛盾에 빠졌다는 점을 論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自己否定性에도 不拘하고 生物政治學은 政治學硏究에 있어서 人間本性 槪念의 本源的인 重要性을 提起한 점은 높이 評價되어야 한다. 이러한 評價와 聯關하여 人間本性 槪念이 政治學硏究 및 모든 社會科學硏究에 必然的으로 基礎할 수 밖에 없음을 밝히고, 普遍的인 人間本性 槪念을 確立하기 위해서 앞으로 追求되어야 할 硏究方向을 提示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군정기(1945~1948) 한국의 자유주의: 이승만의 ‘반공적’ 자유주의

        양승태,전재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07 한국 철학논집 Vol.0 No.21

        이 글은 한국현대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이승만의 자유주의에 대한 인식을 미군정기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이승만은 미국 선교사가 세운 배재학당에서 입학하여 기독교와 미국식 근대 교육을 습득했고, 그 후로도 그들의 도움으로 투옥중임에도 독서와 집필을 할 수 있었으며 미국 유학을 통해 박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었다. 이런 경험은 그가 전면적으로 미국식 사고방식을 수용하고 비판적 인식 없이 미국을 신뢰하게 만든 계기였다. 그의 독립운동방략인 외교론이 자력이 아닌 미국에 완전히 의존하는 논리라는 점은 그가 얼마나 미국을 신뢰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자유민주주의와 관련하여 이승만은 미국식 민주주의를 독립한국의 정치체제로 도입하고 사상, 언론, 출판의 보호 등 자유주의가 전제하는 개인의 기본권을 수용했다. 그러나 그는 개인을 우선하는 미국식의 개인주의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에 앞서 국가의 자주독립을 더 강조했다. 또한 경제부문에서도 미국식 자유주의와 달리 공익산업기관의 국유화와 상업의 정부검열 등 주장했다. 이러한 차이는 식민지의 경험과 혼란스러웠던 해방 직후의 상황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승만은 공산주의를 자유민주주의의 대립항으로 설정하고 강력한 반공주의를 내세웠다. 그는 루즈벨트 행정부의 대소 유화정책을 비판하고 군부 및 미군정과 같은 미국의 강경 반공세력과 보조를 맞추었다. 그의 반소반공 인식은 냉전이 격화되면서 정당성을 얻게 되었다. 미군정기 이승만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는 공산주의의 침투를 방어하고 통일 국가를 수립하는 일이었다. 그에게 자유민주주의는 중요한 원리였지만 반공을 위해서라면 포기 또는 유보할 수 있는 원리였다. 따라서 자유주의에 대한 그의 인식은 반공에 종속된 자유주의, 곧 ‘반공적 자유주의’라고 말할 수 있다. 결국 반공적 자유주의가 미군정기 한국 자유주의를 대표하지는 않았지만 당시 한국 자유주의에서 가장 핵심적인 측면이었다.

      • 隸屬과 解放의 論理와 非論理

        양승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1990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Vol.57 No.-

        This essay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and each of them is purported to substantiate the above theme in the following order. In the first chapter it is suggested that feminism is not simply a social cause only waiting to be institutionalized through social praxis but also an object of critical, theoretical examination. That is to say, the idea of feminism is not to be taken for granted but to be regarded as an object of critical argument. In this connection it argues that in order to explain its normative meaning clearly and concretely the proponent of feminism is supposed to explore the human ontological ground of feminism, i.e. the ground of human nature for the cause of women 's liberation. J.S. Mill 's theory of feminism appears in this context to be a major obstacle to be overcome and a critical examination of Mill 's theory of feminism constitutes the major part of the present essay. The major, second chapter puts forward the argument that Mill 's theory should be given a fresh theoretical concern because it is one of the few modern feminist theories that has an explicit appeal to human nature or woman 's nature in his attempt of proving the equality of man and woman and in his defense of equal social treatments between men and women. Despite such a well-meaning effort Mill 's theory of feminism, this essay tries to show, does not work because he is so much preoccupied with the liberal-individualistic assumption about human vature that he fails to grasp the indispensability of human ontology in feminist social praxis as well as in feminist social theory, and also fail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the socio-structural meaning of feminism. As the conclusion of the critical examinations in the second chapter the third chapter attempts to propo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quiry concerning women 's liberation should be proceeded. It suggests that an inquiry, whether empirical or normative, about women 's liberation must not be conducted in seperation from the liberation of human species in general. This means that women 's liberation must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lienation of human being from his true nature. It also argues that such an inquiry must try to answer positively what the truly human, natural values are and how the structure of a particular socially determined values instead of the truly human, natural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