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른 유능감, 또래지지, 학습몰입의 차이

        양수민,이귀숙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중다목표지향적 관점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을 학습목표와 수행목표의 조합에 따라 어떻게 유형화 할 수 있는지 분석한 후 각 유형별로 유능감, 또래지지, 학습몰입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한 K중학교 2학년 187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검사, 유능감척도, 또래지지척도, 학습몰입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군집분석, 일변량분석 및 Scheffé방식의 사후검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목표와 수행목표 조합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 유형은 낮은 성취목표지향형, 평균 성취목표지향형, 수행목표지향 우세형, 학습목표지향 우세형의 네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목표지향 우세형은 다른 유형에 비하여 더 높은 유능감, 또래지지, 학습몰입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라 지도할 때 학습관련 요인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변인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chievement goal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multiple goal perspectiv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mpetence, peer support, and learning flow made by achievement goal pattern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7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Korea. Measure includ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mpetence, peer support, and learning flow. For data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OVA, and Scheffé were appli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our distinct achievement goal patterns of a combinations of learning goal and performance goal: low-achievement goal oriented, middle-achievement goal oriented, performance goal oriented, and learning goal oriented. Second, learning goal oriented group had higher competence, peer support, and learning flow than three other groups. These results imply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s relations with perceived self and peer factors not as well learning factors.

      • KCI등재후보

        가족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양수민,조규판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amily volunteering activity on adolescents’ family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9 adolescents whose families were volunteering at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in Busan were selected. 15 among 29 adolescents were plac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4 adolescents were placed to the control group. 15 adolescents i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family volunteering activity which was consisted of 21 sessions from April till August 2012.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COVA was conducted on the result of the post test of the two groups, using the pre test as the covariate.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First, the family volunteering activity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family strengths. It positively effect most of the sub-factors of family strengths, such as respect, attachment, communication, sharing values and purpose, devotion to one’s rol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ocial bond. Second, the family volunteering program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t positively effect most of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conclusions, the family volunteering activity is strongly recommended to improve adolescents’ family strengths and school adjustments. The family volunteering activity is an effective practical method to improve family strengths. Moreover,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to resolve the increasing problem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본 연구는 가족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가족자원봉사단으로 활동하는 가족구성원 중 가족자원봉사활동에 참여를 희망한 청소년 29명을 표집하여 이중 15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14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1~2회에 걸쳐 총 21회기 준비활동, 봉사활동, 교육활동, 정리활동의 내용으로 구성된 가족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가족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의 학교적응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방법의 하나로 가족이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가족자원봉사활동의 적극적 장려가 필요하다. 가족이 여가를 함께하는 방안으로써 가족자원봉사활동은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방법으로서 효과가 있으며, 증가하고 있는 청소년의 학교적응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아이돌보미의 직무열의 및 보육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양수민,정혜영,서영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7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job engagement and childcare efficacy on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99 childcare workers who were working at fiv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in Busa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childcare efficacy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 WIN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ildcare worker’s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ubjective quality of life, subjective health status, reason for activity, family reaction income,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engagement, childcare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ird, job engagement affected the childcare worker’s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workers, ways to increase both job engagement and childcare 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아이돌보미의 직무열의, 보육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가정 내 아이돌봄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5개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현재 아이돌보미로 활동하고 있는 29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과 Tukey 방식의 사후검증,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이돌보미의 개인 특성인 주관적 삶의 질, 주관적 건강상태, 활동이유, 가족반응, 활동소득에서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열의와 보육효능감, 직무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열의가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육효능감 뿐만 아니라 직무열의를 높이는 방안도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

        하악 유구치 치근단 병소에 의해 변위된 계승 영구치의 맹출유도

        양수민,김재곤,백병주,양연미,한지혜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2

        적절히 치료받지 못한 유치의 치수 감염은 치근단 주위로 확산되고 그 치근단 병소는 계승 영구치의 조기 맹출, 법랑질의 저형성이나 저석회화, 발육정지 등의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유치의 치근단 감염은 계승치의 변위를 야기할 수 있으며, 계승 영구치배의 위치변화는 선행 유치의 치수변성으로 인한 것이 가장 많다. 본 증례보고는 하악 유구치의 치근단 병소에 의해 계승치가 변위된 경우로서, 증례 1은 하악 우측 유구치 하방의 치근단 낭에 의한 계승치의 변위가 관찰되어 유치 발치 및 조대술을 시행한 후 obturator를 장착하였고, 증례 2는 하악 우측 제2유구치 하방의 치근단 농양에 의한 계승치의 변위가 관찰되어 유치를 발거하고 공간유지장치를 장착하였다. 본 증례를 통하여 하악 유구치 치근단 병소에 의해 계승 영구치가 심한 변위을 나타낸 경우, 적절한 치료를 통해 계승 영구치의 적절한 맹출을 유도할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rimary teeth and the permanent successor must be understood as interdependent units, where each one of them interacts with and depends upon the other. The spread of pulpal inflammation in primary teeth to the periradicular tissues can lead to early eruption, enamel hypoplasia or hypocalcification, developmental arrest of permanent successor. Also the periapical inflammation cause permanent tooth displacement in various direction. We describe here two clinical cases of displaced permanent successor caused by periapical lesion of mandibular primary molar in children.

      • KCI등재

        젠더 갈등으로 대두된 기업 위기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귀인 양상 Biterm Topic Model을 이용한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양수민,이신행 한국언론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9 No.3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dentity conflicts of online community users and the changes in topics and attribution in the context of a corporate crisis with gender conflicts.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case of GS25’s man-hating controversy in 2021 and collected 13,319 comments to analyze the th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issue in male-oriented and female-oriented communities using topic modeling. First, by capturing the thematic charac- teristics of the comments and categorizing them into anti-feminist and feminist topics in the context of gender conflict, we found that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male and female communities is aligned with the gender bias of the discourse around the GS25 crisis. In other words, the community‘s collective identity was reaffirmed and reinforced through comments, creating an exclusionary discourse with comments on issues of gender conflict. We also inferred attributions of responsibility for the crisis and explored how attributions played out in the community, finding that the narrative of holding companies accountable shifted to a narrative of gender confrontation and hate. The differentiation of attribution in gendered online communities transformed the corporate crisis into a conflict based on group identity.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internal attribution of the cause of the crisis as a problem internalized by the company was buried in a narrative of gender conflict, and that the debate over responsibility for the GS25 has relatively mu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basis for companies to formulate crisis response strategies, and contribute to the academic literature by analyzing how online collective identity conflicts relate to responsibility attribution.

      • KCI등재

        『청맥』 지식인 그룹의 관전사(trans-War History) 의식과 한국전쟁의 재의미화 -『청맥』의 베트남전쟁 담론을 중심으로-

        양수민 한민족문화학회 2024 한민족문화연구 Vol.85 No.-

        『청맥』 지식인 그룹은 한국의 국제관계에 큰 변화를 가져온 베트남파병 및 한일협정을 기점으로 베트남과 한국을 구조적 상동성을 가진 아시아 국가로 인식했다. 이는 베트남파병을 통해 서구 식민주의를 답습함으로써 오리엔탈리즘적인 수사 속에 한국을 아제국(subempire)으로 상상해온 국가주의적 담론과 정면으로 대결하는 것으로서 근대화 담론과 결합한 냉전의 논리를 탈각한 것으로 이해된다. 식민과 냉전의 패러다임이 접합되던 당대의 복합적인 문제를 베트남파병 및 한일협정을 근거로 지적하며 한국의 보수적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과 더 나아가 신제국주의 미국의 냉전아시아정책에 대한 비판을 전개했던 『청맥』지는 1980년대에 본격화된 탈식민․탈냉전적 시각의 초석으로서 연구 가치가 있다. 『청맥』에 드러난 베트남전쟁 담론은 식민성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고 미국의 과오를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지만 한국과 베트남의 구조적 상동성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파병 문제에 있어서는 대개 침묵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당대의 시대적 한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Vietnam and Korea were recognized as Asian countries with structural homology by the “Cheongmaek” intellectual group, starting with the dispatch of Vietnamese troops and the Korea-Japan agreement that brought about a major change in Korea’s international relations. This is a direct confrontation with the nationalist discourse that has imagined Korea as a sub-imperial in orientalist rhetoric by following Western colonialism through the dispatch of Vietnamese troops, and is understood to have eliminated the logic of the Cold War combined with modernization discourse. The “Cheongmaek” paper, which criticized Korea’s conservative political reality and the new imperialist U.S. policy toward Cold War Asia, is worth researching as a cornerstone of the post-colonial and post-Cold War perspective that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The discourse of the Vietnam War revealed in “Cheongmaek”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s at the world anew through a re-recognition of colonialism and points out the mistakes of the United States, but it shows the limitations of the time in that it usually remains silent when it comes to troop dispatch despite the perception of structural homology between Korea and Vietnam.

      • 2P-354 Behavior of 8-hydroxypyrene-1,3,6-trisulfonic acid trisodium and fluoresceinamine in various supporting polymers for extending the ranges of pH measurements

        양수민,( Hong Dinh Duong ),이종일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Two pH-sensitive fluorescent dyes such as 8-hydroxypyrene-1,3,6-trisulfonic acid trisodium salt (HPTS) and fluoresceinamine (FA) are doped into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or melamine formaldehyde (MF) sphere particles and then incorporated with several kinds of supporting polymers for fabrication of the pH-sensing membranes. The response of the pH-sensing membranes seems to be depended on properties of the conjugated polymers since the conjugated polymers can interact or prevent charged species upon protonation or deprotonation of the pH-sensing membranes and lead to the changes in the linear pH measurement range. This study shows the extending of pH measurement ranges of the pH-sensing membranes by demands of specific ap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