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GOCI-II 대기상한 반사도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남한 지역 시간별 에어로졸 광학 두께 산출

        양세영,최현영,임정호,Seyoung Yang,Hyunyoung Choi,Jungho Im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5

        Atmospheric aerosols not only have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but also exert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the climate system. Consequently, it is imperative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aerosols. Numerous research endeavors have been undertaken to monitor aerosols, predominantly through the retrieval of aerosol optical depth (AOD) via satellite-based observations. Nonetheless, this approach primarily relies on a look-up table-based inversion algorithm, characterized by computationally intensive operations and associated uncertainties. In this study, a novel high-resolution AOD direct retrieval algorithm, leveraging machine learning, was developed using top-of-atmosphere reflectance data derived from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II (GOCI-II), in conjunction with their differences from the past 30-day minimum reflectance,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from numerical models. The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 (LGBM) technique was harnessed, and the resultant estimates underwent rigorous validation encompassing random, temporal, and spatial N-fold cross-validation (CV) using ground-based observation data from Aerosol Robotic Network (AERONET) AOD. The three CV results consistently demonstrated robust performance, yielding R<sup>2</sup>=0.70-0.80, RMSE=0.08-0.09, and within the expected error (EE) of 75.2-85.1%. The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SHAP) analysis confirmed the substantial influence of reflectance-related variables on AOD estimation.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AOD in Seoul and Ulsan revealed that the developed LGBM model yielded results that are in close concordance with AERONET AOD over time, thereby confirming its suitability for AOD retrieval at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i.e., hourly, 250 m). Furthermore, upon comparing data coverage, it was ascertained that the LGBM model enhanced data retrieval frequency by approximately 8.8% in comparison to the GOCI-II L2 AOD products, ameliorating issues associated with excessive masking over very illuminated surfaces that are often encountered in physics-based AOD retrieval processes.

      • Beacon을 활용한 사용자맞춤 서비스 플랫폼

        김희주 ( Heejoo Kim ),양세영 ( Seyoung Yang ),임성희 ( Sunghee Lim ),김형종 ( Hyungjo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IoT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업에서도 Beacon을 활용하여 다양한 플랫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사용자들은 개인마다 필요로 하는 서비스기능이 다르고 제공되는 상황적 시나리오 또한 정적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만족을 충족시켜주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직접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기능을 구현하며, 플랫폼의 계를 극복하였다. 우리의 연구는 비콘이 제공하는 위치정보와 데이터베이스정보와의 효율적인 매핑을 통한 새로운 플랫폼을 구현한다. 비콘을 활용한 플랫폼서비스 연구에 좋은 시작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군산과 목포화교의 비교연구 ― 초기 이주과정과 일제 강점기 상업활동을 중심으로 ―

        양세영 ( Yang¸ Se-you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호남학 Vol.0 No.68

        본 고는 호남의 대표 항구이자, 개항과 일제강점기의 유사한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며 호남지역에서 화교의 진출과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군산과 목포를 대상으로 화교사회에 대한 비교연구를 시도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초점은 두 도시에 거주했던 화교들의 이주와 상업활동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굴하고 그 이유를 규명하는데 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예상과 부합되는 많은 공통점을 보여주었으나 동시에 차이점도 상당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공통점으로는 먼저 개항이후 적어도 1937년 중일 전쟁 이전까지는 지속적으로 화교인구가 성장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또한, 포목점을 비롯한 상업활동이 화교사회의 핵심 사업이었다는 점이다. 셋째, 일제의 견직물 고관세 조치에 사업구조를 개편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상업활동을 지속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금융활동 측면에서 적극적인 대출과 아울러 높은 저축률을 통해 건실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사업활동을 영위하였다는 점이다. 차이점은 먼저 군산이 도시 전체인구는 목포 보다 적었지만 대부분의 시기에 화교인구는 2배 이상의 규모를 유지했다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군산은 포목업과 잡화점을 함께 운영하였고 판매방식도 도매와 소매를 겸업하는 형태인데 반해 목포는 상대적으로 도매와 소매가 구분되는 방식으로 영업을 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포목업의 경우 군산은 서울과 인천에 있는 대형상점의 지점형태가 주류를 차지한 반면 목포는 지역상인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사업형태를 보였다는 점이다. 넷째, 금융활동면에서 목포는 군산과는 다르게 예금액이 대출액을 능가하거나 균형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보다 튼튼한 재무구조를 형성했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나타난 이유에 대해 시대적 및 지역적 배경을 통해 분석을 시도하였다. 향후 이 부분은 보다 다양한 차원에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comparative research on the society of Overseas Chinese(Hwagyo) in Gunsan and Mokpo, which were the most active ports in the Honam region and shared similar historical experiences in the period of opening ports and Japanese colonial eras, and in which Overseas Chinese activities were most activated. The focus of the study was to find common ground and differences in the migration process and commercial activities of Hwagyo in the two cities and to find out wh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many commonalities consistent with these expectations, but at the same time,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common, the population of Hwagyo continued to grow until at least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In addition, commercial activities, textile sales in particular were the core business of the Hwagyo society in two cities. Third, they continued their commercial activities by actively responding to the Japanese government's high tariff measures on silk fabrics, includ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business structure. Fourth, the companies of Hwagyo engaged in business activities based on a sound financial structure, as evidenced by its active lending and high savings rates in terms of financial activities. The difference is that though the entire population of Gunsan was smaller than Mokpo, the population of Hwagyo was more than doubled in most times. Second, The textile companies of Hwagyo in Gunsan operated a wholesale and retail store together, while in Mokpo operated separately. Third, the textile business of Hwagyo in Gunsan was running by the branch types of large stores in Seoul and Incheon, while in Mokpo by their own business style centered on local merchants. Fourth, in terms of financial activity, Mokpo, unlike Gunsan, has formed a stronger financial structure in that deposits exceed or balance loans.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reasons for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historical and regional backgrounds. In the future, this part needs to be analyzed at a more divers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