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proach to Big Data-based Reference Architecture for Specific Use Cases

        안철범,김진홍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1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6 No.6

        Recently, according to increase big data utilization, it keeps going on a various research their area. In spite of big data and the corresponding technologies being already widespread, many big data projects do fail or do not deliver the promised results. Hence, we proposed the specific case in the insurance sector and our approach is about to one reason with respective projects. But,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or analyze the business value of a specific big data use case, and this uses a different approach by analyzing the business aspects of use cases in the insurance sector. A number of possible use cases in insurance is derived from a literature study. Then these use cases are evaluated in expert interviews in order to find out, which ones do have the highest potential. Eventually, based on these requirements and a comparison of existing Reference Architectures for big data in common, a new reference architecture is designed for big data in insurance. Accordingly, the final goal is to use this reference architecture as a blueprint for deriving components in order to implement big data use cases in insurance. The reference architecture is proposed in a case study by designing a solution architecture for specific use cases.

      • KCI등재

        자가 적응형 예측 서비스를 위한 스마트 차량 네트워크 설계

        안철범,김진홍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0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5 No.6

        Recently, A variety of vehicular network services are key technologies to estimate that vehicle could be located, an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have a solution to this problem. In addition, Vehicular Ad hoc Networks emerge as ITS component that provides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vehicles and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to improve the flow of vehicles in cities. By the result, it has been a proliferation of challenges for authorities with regard to traffic management. Especially, according to consequence of congestion on traffic, accidents, and pollution, they are a still major cause, despite the development of well-made systems for traffic management and other technologies linked with vehicles. After all, it is necessary that a general system for accident management is developed. Such as, traffic congestion in most urban areas can be alleviated by the real-time planning of routes. Nevertheless, the designing of an efficient route planning algorithm to attain a globally optimal vehicle control is still a challenge that needs to be solved, particularly when the unique preferences of drivers are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the vehicular network prediction algorithms using dynamic models, often required building a system model with complex equations. Accordingly, we propose the protocol of vehicular traffic that will receive a popular interesting in the vehicular network service in this paper. It has proven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in order to apply toward an existing vehicular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he experimented existing algorithm performance,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all range from a single data, to verify the proposed algorithm.

      • KCI등재

        상황인지 응용을 위한 위치 및 SOA 모델 기반 웹서비스 프레임워크

        안철범,김태원,나연묵 한국정보과학회 2011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27 No.3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대한 관심과 보급이 확대되면서 이러한 환경(USN: 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제공하는 다양한 스마트 공간(Smart space)들이 조성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도메인 내에서 특정 상황에 따라 자동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지시스템(Context‐Aware System)의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상황인지 능력의 한계로 인해 대부분 단편적인 서비스에 제한되며, 사용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단방향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시스템들이 가지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사용자가 스마트폰과 같은 단일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생활 주변의 다양한 스마트 공간 어디서든지 서비스 제공자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방안으로 서비스지향 아키텍처(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SOA) 모델을 적용한 ‘위치기반 상황인지 웹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제안 프레임워크를 적용할 경우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 할 수 있으며, 기존 시스템이 가지는 서비스의 제약과 단방향성의 문제를 극복하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게 된다. Recently, smart spaces are being created providing USN due to increase in interests and supply o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s on Context‐Aware System which provides automated services properly according to situations in domain are expanding. However, only simple services are provided in most cases due to limits in ability to recognize contexts and there are problems of providing services in one direction regardless of the user’s will.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solve these problems existing systems have and to provide system that users can access desired service by interacting with service provider at any place in various smart spaces using single interface device such as smart phon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signed ‘Location‐Based Context‐Aware Web Service Framework’ by applying SOA model as a way of satisfying these requirements. The adoption of proposed framework will guarantee user convenience as much as possible by using various services through single user interface such as smart phone from the aspects of service requesters. In addition, it will settle problems of the limit in service and one direction existing systems have and provide a high‐quality service.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SW 유사성 탐지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안철범,김진홍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2023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Vol.19 No.1

        Currently, we live in an era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s a key technology representing this era, we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nstead of computers for most of the intelligence activities that can be performed using the human brain. Various systems and SW are gradually evolving due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W usability is increasing very rapidly. However, as SW usability increases, problems such as reproduction and misuse occur, and research institutes and companies are demanding SW similarit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sign a similarity detection model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SW replication emotion. The similarity detection model design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Few-Shot Learning in a similarity detection model proceeds with meta-learning using DataSet with sufficient data, the data with less data contained in each class, and the recognition and learning of deep learning that rationally expresses the human brain.

      • KCI등재후보

        경호관련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안철범,박준석,정성배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 2020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경호 관련학과 및 다른 전공학과를 다니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 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은 경호관련학과의 대상 중 경기도 지역에 위치해 있는 Y대학과, K대학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Window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탐 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 분석, 배경 변인과 요인간에 차이검증,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동기는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중 전공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적 동기는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중 진로결정수준에 부(-)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재적 동기는 진로결정수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내재적 동기는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중 진로결정수준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재적동기는 진로결정 수준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실로 대학에서의 진로지도와 진로상담에 활용될 수 있는 경험적인 자 료로 이바지할 것이며 경호관련 전공학생들의 진로결정을 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 하는데 있다.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the level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ecurity and other majo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 at Y and K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among the subjects of the bodyguard related department. The analysis of the data used the Window SPSS 23.0 program.The conclusions that analyz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ifference verification between background variables and factor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among sub-factor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Second, ex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Third,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mong the sub-factor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Fourth, ex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Fifth, intrinsic motiv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sub-factor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on career decision level.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ill contribute to empirical data that can be used for career guidance and career counseling in universities, and to provide basic data in career decision making for security related major students.

      • KCI등재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을 위한 XML DTD 설계 및 구현

        安哲範,羅然?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0 No.11

        The advanced medical information systems usually consist of loosely-coupled interaction of independent systems, such as HIS/RIS and PACS. To support easie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se systems and between hospitals, and to support new types of medical service such as teleradiology, it becomes essential to integrate separated medical information and allow them to be exchanged and retrieved through internet. This thesis proposes an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XML. We analyzed HL7 and DICOM standard formats, and designed an integrated XML DTD. We extracted information from HL7 messages and DICOM files, and generated XML document instances and XSL stylesheets based on the proposed XML DTD. We implemented the web interface for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which supports data sharing, information exchange and retrieval between two different standard formats. The proposed XML-based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solve the problems of current medical information systems, by enabling integration of separated medical informations and by allowing data exchange and sharing through internet. The proposed system with XML is more robust than web-based medical information systems developed by using HTML, because XML itself provides more flexibility and extensibility than HTML. 선진 의료정보시스템은 텍스트 기반 정보를 위한 HL7 표준과 의료 영상 정보를 위한 DICOM 표준을 기반으로 한 HIS(병원정보시스템)/RIS(방사선진단시스템), PACS(의료영상시스템)와 같은 독립적인 시스템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구축된다. 최근 들어 시스템(HIS/RIS, PACS) 상호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의 필요성과 환자의 타 병원으로의 이송, 원격진료(Teleradiology) 서비스, 기타 의료 데이터 공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의 개발과 인터넷을 통한 통합검색 및 교환을 위한 적절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방안으로 XML을 활용한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기존 문서의 XML화를 위하여 HL7과 DICOM 두 표준에서 제안하는 표준 문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통합 XML DTD를 설계하였다. 시스템 구현은 1)HL7 메시지와 DICOM 파일로부터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정보의 추출. 2)통합 DTD를 기반으로 한 XML 문서 인스턴스와 XSL 스타일시트의 생성 및 저장. 3)최종적으로 ASP를 사용한 웹 검색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웹상에서 데이터의 공유와 상이한 두 표준간 의료 정보의 교환 및 검색을 위한 통합 의료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XML 기반 통합 의료정보 시스템은 의료정보의 통합과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의 교환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의료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XML의 유용성과 확장성으로 기존의 HTML 기반 웹 의료정보 서비스와의 차별화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을 위한 XML DTD 설계 및 구현

        안철범,나연묵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0 No.6

        선진 의료정보시스템은 텍스트 기반 정보를 위한 HL7 표준과 의료 영상 정보를 위한 DICOM 표준을 기반으로 한 HIS(병원정보시스템)/RIS(방사선진단시스템), PACS(의료영상시스템)와 같은 독립적인 시스템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구축된다. 최근 들어 시스템(HIS/RIS, PACS) 상호간의 원활한 정보 교환의 필요성과 환자의 타 병원으로의 이송, 원격진료(Teleradiology) 서비스, 기타 의료 데이터 공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의 개발과 인터넷을 통한 통합검색 및 교환을 위한 적절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방안으로 XML을 활용한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기존 문서의 XML화를 위하여 HL7과 DICOM 두 표준에서 제안하는 표준 문서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통합 XML DTD를 설계하였다. 시스템 구현은 1)HL7 메시지와 DICOM 파일로부터 관련 데이터에 대한 정보의 추출. 2)통합 DTD를 기반으로 한 XML 문서 인스턴스와 XSL 스타일시트의 생성 및 저장. 3)최종적으로 ASP를 사용한 웹 검색 인터페이스를 구현함으로써 웹상에서 데이터의 공유와 상이한 두 표준간 의료 정보의 교환 및 검색을 위한 통합의료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XML 기반 통합 의료정보 시스템은 의료정보의 통합과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의 교환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의료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XML의 유용성과 확장성으로 기존의 HTML 기반 웹 의료정보 서비스와의 차별화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dvanced medical information systems usually consist of loosely-coupled interaction of independent systems, such as HIS/RIS and PACS. To support easie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se systems and between hospitals, and to support new types of medical service such as teleradiology, it becomes essential to integrate separated medical information and allow them to be exchanged and retrieved through internet. This thesis proposes an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using XML. We analyzed HL7 and DICOM standard formats, and designed an integrated XML DTD. We extracted information from HL7 messages and DICOM files and generated XML document instances and XSL stylesheets based on the proposed XML DTD. We implemented the web interface for the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which supports data sharing, information exchange and retrieval between two different standard formats. The proposed XML-based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will contribute to solve the problems of current medical information systems, by enabling integration of separated medical informations and by allowing data exchange and sharing through internet. The proposed system with XML is more robust than web-based medical information systems developed by using HTML, because XML itself provides more flexibility and extensibility than HTML.

      • XML을 이용한 통합 의료정보 시스템 구현

        안철범(Cheolbum Ahn),나연묵(Yunmook Nah)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Ⅰ

        기존 의료정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성격이 다른 텍스트 기반 정보와 의료 영상 정보를 HL7과 DICOM이라는 각기 다른 두 표준을 기반으로 다루어왔다. 따라서 상이한 두 표준 상호간의 정보 교환의 필요성과 최근 들어 인터넷을 통한 개방 시스템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이 증가되면서 이를 위한 적절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질적인 두 표준간의 데이터 교환과 통합을 위하여 XML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두 표준의 통합 DTD를 기반으로 XML 문서를 생성하고 통합 의료정보를 웹 상에서 검색, 저장할 수 있는 통합 의료정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하중작용강도 변화에 따른 회전굽힘 피로특성에 관한 연구

        安台煥,安哲範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大學院論文輯 Vol.2 No.-

        This study has been made investigation for the difference of fatigue strength under variable cyclic-rate, compared with three types cyclic-rate 2700cpm, 750cpm and 100cpm using smooth specimens(K_1=1.025) and center holed specimens(K_1=2.02) of SCM 440 steel were obtained through fatigue tests in the rotat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e specimen(SCM 440) is continuously softened in the field of low cyclic rate. 2. The fatigue strength become high in case of big stress intensity factor. 3. The crack growth life become fast in high stress level. 4. The time of failure can be predicted in the same conditions.

      • KCI등재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t-based Trajectory Pattern Mining for Smart Vehicular Traffic

        김진홍,안철범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3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8 No.6

        Recently, with the rapid growth and widespread use of GPS devices, RFID sensors using Internet of Things, wireless communi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t, it has become possible to track various moving objects in real-world. In addition, an increasing number of trajectories are being collected and stored in databases, often containing valuable knowledge that requires urgent analysis. As the adoption of location acquisition technologies increases, here is a growing opportunity to collect large-scale spatio-temporal datasets and discover actionable knowledge about moving behaviors, fostering the development of new applications and services. The main functionalities and modules of activity pattern discovery system include trajectory preprocessing, trajectory clustering, periodic pattern discovery, and an extensible visualization module for parameter interaction and result presentation. In the experimental part, we validat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activity pattern discovery system using taxi trajectory data from Korea. In this paper, we develop an extension of the sequential pattern mining paradigm to analyze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in this direction. In addition, we introduce trajectory patterns as concise descriptions of frequent behaviors in terms of space and time. In this setting, we propose a general formalization for the novel mining problem and then study several different instances of varying complexities. Fianlly, we empirically evaluate different approaches on real-world data and synthetic benchmarks to compar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