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애장왕대의 假王子 파견 시도와交聘結好의 의미

        안주홍 부경역사연구소 2022 지역과 역사 Vol.- No.51

        This article analyzes diplomatic activities with Japan during the reign of King Aejang of Silla. Silla saw Japan as a servant(蕃國) of the Tang Dynasty, just like her. At the same time, Silla regarded itself as the center of the world, so it thought superior to Japan. In this worldview(天下觀), Silla exchanged envoys and to be a good relationship(Gyobingyeolho交聘結好) with Japan in 803. Through this, King Aejang was able to reveal the dignity of the emperor(天子, 皇帝) inside Silla. Meanwhile, in 802, Silla tried to make Kim Kyun-jeong a fake prince(假王子) and send him to Japan as a hostage(質). Kim Kyun-jeong is the grandson of King Wonseong and is not a fake prince. In Silla the male royal family was called the prince. Nevertheless, the record as a fake prince is due to the sense of distinction within the royal family. Silla sent a prince to Tang for diplomatic activities (Prince Sukwi 宿衛王子). It i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by monopolizing diplomacy. King Aejang tried to send a prince to Japan by imitating this form and purpose. 이 글은 애장왕대 假王子 파견 시도와 交聘結好의 의미를 파악한 것이다. 760년에 일본은 신라에 專對人의 파견을 요구하였는데, 이는 외교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한다. 신라는 재위 왕의 아들만을 왕자라 칭하지 않았다. 원성왕의 손자로 흥덕왕 사후 왕위계승을 다툰 김균정을 가짜 왕자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일본이 왕자의 파견을 요구하였고, 이를 수용하여 802년에 김균정을 가왕자로 삼아 일본에 보내려 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802년의 가왕자 파견 시도 기록은 원성왕계이지만 인겸계는 아니라는 분파 의식이 반영된 것이다. 774년에 신라는 일본에 修好聘問의 관계를 표방하였고, 이를 신라 내부에 공식화한 것이 803년의 交聘結好이다. 802년의 질자 파견 시도는 교빙에 따른 交質이다. 聘은 예기 에 근거한 것으로, 제후가 대부를 시켜 다른 제후를 방문하는 것이다. 신라왕은 당의 제후이자 신라의 천자라는 이중적인 천하관을 표방하였다. 신라는 교빙결호를 통해 일본이 자신과 같은 당의 제후임을 인정하면서도, 일본과 당의 교류를 중개하여 일본에 대한 자신의 우위를 드러내었다. 애장왕과 섭정 김언승은 왕권 강화의 한 수단으로 803년의 대일외교 의례를 활용하였다.

      • KCI등재

        신라 혜공왕대의 종묘제 개편과 그 함의

        안주홍 부산경남사학회 2019 역사와 경계 Vol.111 No.-

        Silla reorganized its royal ancestral shrine into the Founding Father(始祖), the Inviolable Royalties(不毁之宗) of Kings Taejong and Munmu, and Familial Shrine 2(親廟2)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Zheng Xuan(鄭玄) regarded the inviolable tombs of Kings Wen(文王) and Wu(武王) as 2tiaos(2祧). 2tiaos are the distant shrines(遠廟) that only the Son of Heaven(天子) can have. Meanwhile, Wang Su(王肅) considered the two kings’ inviolable tombs as recommended examples(權5) and excluded them from the number of royal ancestral shrines(廟數). Since Silla included inviolable tombs in the number of royal ancestral shrines, the kingdom had 2tiaos suggested by Zheng Xuan. Hence, reorganiza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aimed for 7 shrines of the Son of Heaven.(天子七廟) Familial Shrine 2 included 2 lineal ancestors(直系二親) and can reveal genealogy unlike 2tiaos(distant shrines). Enshrining(祔廟) Familial Shrine 2 was possible under the perception that it would be sufficient to include 2 lineal ancestors only. As the status hierarchy(位次) and the genealogical hierarchy(世次) were mixed up due to brother successions, 2 lineal ancestors were highlighted as evidence for royal legitimacy. In the 3rd year(739) of the reign of King Hyoseong, The Grandfather and Father's Shrine(祖考廟) means that King Hyoseong relocated the tomb(遷廟) of his father's older brother King Hyoso and enshrined the tomb of his father King Seongdeok in King Hyoso’s place. King Hyegong differentiated himself from other rulers through 2tiaos and tried to reshuffle the ruling group through Familial Shrine 2. Maintaining 5 feudal lord shrines(諸侯五廟) while establishing 2tiaos was due to the duality of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of Three Hans.(一統三韓) As a ruling system centered around the incestuous royal family was established since King Taejong Muyeol, Distinguishing and exclusion were made within the royal family. 2 lineal ancestors became the basis that determined the scope of the incestuous royal family. By enshrining Familial Shrine 2, King Hyegong revealed his legitimacy and reorganized the royal family to exclude the princes(princesses) of King Sinmun and their offspring from the scope of the incestuous royal family. 신라는 혜공왕대에 始祖와 태종대왕과 문무대왕의 不毁之宗 그리고 親廟 2로 종묘를 개편하였다. 鄭玄은 文王과 武王의 불훼묘를 2祧로 보았다. 2祧 는 천자만이 가지는 遠廟이다. 반면 王肅은 두 왕의 불훼묘를 權5로 보고廟數에서 제외하였다. 신라는 불훼묘를 묘수에 포함하였으므로, 정현이 말한2祧이다. 따라서 혜공왕대의 개편은 천자 7묘를 지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친묘 2는 직계 2친으로, 원묘인 2祧와 달리 혈연적 계보를 밝힐 수 있는 조상이다. 직접적인 조상은 직계 2친만으로 충분하다는 인식 속에서 친묘 2 의 祔廟가 가능하였다. 형제상속으로 位次와 世次가 어긋나면서, 정통성의 근거로 직계 2친이 강조되었다. 효성왕 3년(739)의 祖考廟는 효성왕이 큰아버지인 효소왕을 遷廟하고 그 자리에 아버지인 성덕왕을 부묘한 것을 의미한다. 혜공왕은 2祧를 통해 다른 지배자집단과의 차별성을 드러내고, 친묘 2를통해 권력 집단의 재편을 꾀하였다. 2祧를 세우면서도 제후 5묘의 묘수를 지킨 것은 일통삼한의 천하관이 가지는 이중성 때문이다. 태종무열왕 이후 근친왕족 중심의 지배체제가 확립되면서 왕족 내부에 구별과 배제가 이루어졌다. 직계 2친은 근친왕족의 범위를 규정하는 잣대가 되었다. 혜공왕은 친묘 2를부묘하여 자신의 정통성을 드러내고 아울러 천묘된 신문왕의 왕자(녀)와 후손들을 근친왕족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재편을 도모하였다.

      • 일 정신병원에 입원한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및 임상적특징

        안주홍,김학렬,김명규 조선대학교 부설 의학연구소 1999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4 No.2

        Objectives and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nical characteristics, season of birth and consequence of these characteristics in recently admitted schizophrenics and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earlier studies. The author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hospital records of the 103 schizophrenics admitted to Naju National Mental Hospital from January to December 1997.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chi-square test. Results: 1)Age distribution was most frequent in the 20s for both sexes(47.6%), and the sex ratio of male: female was 1: 0.9 2)Unmarried(92.6%), non-religion(66.7%), unemployed(83.3%) was more frequent in male patients and the mean age of onset was earlier(24.4) in male patients. 3)Married or cohabiting(42.9%), Christian(65.3%), employed(57.1%) was more frequent in female patients and mean age of onset was later(27.4) in female patients. 4)Education level, subtype and age of onset were most frequent in high school(52.4%), paranoid type(68.0%) and in the 20s(57.3%) for both sexes respectively. 5)ln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bi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of onset and subtypes. 6)Subtyp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of onset.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an age of onset is similar in both sexes of recent times. The catatonic and disorganized type has a descending tendency in incidence according to the progression of tim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eason of birth and age of onset, subtype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age of onset and subtype.

      • KCI등재

        신라 하대 원성왕대의 宗廟와 瑞祥

        안주홍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09

        King Wonseong ascended the throne as the 12th-generation descendant of King Namul. King Taejong Muyeol and King Munmu were also descendants of King Namul. King Wonseong recognized both King Namul and King Taejong Muyeol as ancestors. Depending on the patriarchal system, the person who accedes to his father’s position was called Jongja(宗子) and the other sons, Jija(支子). The lineage of the head family is called Jongtong(宗統). When there is no Jongja, the Jija is considered as the successor to inherit the Jongtong. King Wonseong succeeded to the throne as the Jija. Emperor Guangwu of the Later Han Dynasty is the ninth-generation descendant of Emperor Gotti of the Former Han Dynasty. He held a memorial service for Emperor Xuan and Emperor Yuan at Jongmyo Shrine. Guangwu built a private tomb(私親廟) for his father, grandfather, great-grandfather, and great-grandfather. King Wonseong gave the title of the Great King(大王) to his father, grandfather, great-grandfather, and great-grandfather. He also held a memorial service for his grandfather and father at Jongmyo Shrine. It is like a Sijo holding a memorial service for his ancestors at Jongmyo Shrine. King Wonseong was actually a founder and advocat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royal command. Like King Mu of the Zhou Dynasty, King Wonseong used the red crow, which means fire, as an auspicious sign. This means the establishment of a new king. 이 글은 원성왕의 종묘 개편과 서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종법제에 따르면 宗統은 宗子가계승하며, 나머지 아들은(別子, 支子) 小宗의 시조가 된다. 종자가 없으면 지자가 종통의 후사가 되어(爲人後者) 대종을 계승한다(入繼大統). 원성왕은 나물왕의 12세손으로 왕위를 계승하였으므로, 지자로서 대통을 계승한 것이 된다. 그는 선덕왕과 모계로 형제뻘이지만 재위한 왕의 아들, 손자, 증손, 사위, 외손에 해당하지 않는 방계였다. 원성왕은 만파식적의 수수를 통해 중대 왕실의 계승을 표방하였다. 이는 원성왕이 나물왕계이자 태종무열왕계라는 중첩된 계보인식을 가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前漢의 宣帝는 武帝의 증손으로 즉위하였는데, 아들이 천자이면 아버지를 천자로 제사한다는 예에 따라 아버지를 위한 皇考廟를 세웠다. 반면 後漢의 光武帝는 전한 고조의 9세손으로 즉위하였는데, 위인후자설에 따라 직계 4친을 私親廟로 격하하여 제사하였다. 원성왕과 관료들은 『한서』, 『예기』 등을 통해 위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원성왕은 지자로서 직계 4 친을 私親으로 대해야 했으나, 재위왕과 같은 대왕으로 추봉하였다. 또 선제와 같이 아버지만을 부묘해야 했으나, 직계 2친을 종묘에 부묘하였다. 이는 새로운 왕통의 개창을 표방하려는 원성왕의 의사가 어느정도 관철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원성왕은 즉위하며 赤烏를 받았는데, 적오는 이때 처음 등장하는 서상이다. 적오는 周 武王의 대업을 상징하는 서상으로 火德에 해당한다. 전한의 고조와 후한의 광무제도 화덕을표방하였다. 당시 패강진 두상인 김암은 오행설에 근거하여 적오를 헌상하였고, 원성왕은이를 통해 새 왕통의 확립을 선전하였다. 이후 그의 후손인 애장왕, 헌덕왕은 화덕을 표방하며 적오를 서상으로 삼아 왕위 계승의 정당화를 꾀하였다.

      • KCI등재

        신라 애장왕대의 종묘개편과 천자 지향

        안주홍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嶺南學 Vol.0 No.73

        이 글은 애장왕대의 종묘개편에 반영된 지위 관념을 분석한 글이다. 애장왕대의 개편은 『예기정의』와 대력 14년(779)의 묘의를 참고하여 王肅의 설에 따라, 제후 5묘로서 二昭二穆의 친묘 4를 부묘하고 태종대왕과 문무대왕의 불훼묘를 소목의 수에서 별립한 것이었다. 두 대왕은 여전히 종묘에 모셔진 것이므로, 두 대왕의 별립을 근거로 원성왕계의 확립을 말하기 어렵다. 혜공왕대의 개편으로 태종대왕과 문무대왕은 백제와 고구려를 평정한 大功德으로 대대로 허물지 않는 宗이 되었다. 이는 천자가 功德에 따라 祖宗을 세운 것과 같다. 신문왕 12년(692)의 태종 묘호 논쟁은 조종의 호를 둘러싼 갈등이었다. 태종호에 반영된 천자의식은 혜공왕대의 개편으로 문무왕까지 확대되었다. 조종은 시조와 같은 불훼묘였는데, 이는 시조와 같은 공통의 조상이 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원성왕은 ‘조종의 만파식적’을 계승할 수 있었고, 애장왕은 두 대왕을 계속 종묘에 모실 수 있었다. 皇祖, 皇考의 皇은 황제, 皇家를 의미한다. 이는 漢 宣帝가 皇考廟를 설립한 것과 唐 중종이 신룡 원년(705)에 종묘를 복원하며 皇家의 태묘, 皇考, 皇兄이라 표현한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애장왕대에 친묘 4를 부묘한 것은 증조 할아버지인 원성왕과 함께 할아버지인 혜충대왕을 계속 모시기 위한 것이었다. 섭정인 김언승은 개편을 통해 원성왕이 구축한 황가가 황조 혜충대왕과 황고 소성대왕으로 이어지는 것을 드러낼 수 있었다. 결국 애장왕대의 개편은 원성왕계라는 왕족의 확립이자 인겸계라는 근친 왕족의 분지화를 꾀한 것이라 하겠다. This text analyzes the Jongmyo reforms that occurred during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Aejang (801) and traces the concepts of rank reflected in the reforms. The reforms at the time referred to the discussion on the Jongmyo(廟議) in the 14th year of dali(大曆) of Tang(779) and lijizhengyi(禮記正義) that follows Wang Su(王肅)'s interpretation. Therefore King Taejong and King Munmu were excluded from the number of zhaomu(昭穆). Placed the four shrines of blood relatives(親廟 4) means that the number of the ancestral tablet(廟數) was five royal shrines(諸侯五廟) of two of zhao(昭) and two of mu(穆). The two great kings still was placed the Jongmyo.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King Wonseong's bloodline was established because their tablet was located in another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King Taejong and King Munmu became the permanent ancestral tablet(宗) for their great achievements(大功德) in conquering Baekje and Goguryeo. This follows the logic of Giving the name 'Jojong(祖宗)' to ancestors with great achievements in the Cheonja seven shrine system. And Jojong means common ancestor. The dispute of The title Taejong in the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hinmun (692) was a conflict over the title of Jojong The title Jojong was extended to King Munmu due to the reform of King Hyegong's reign. This perception continued into the reign of Aejang. Hwang(皇) in Hwangjo(皇祖) and Hwanggo(皇考) means emperor and Imperial Family. This can be seen through two things. One is that king Xuandi(宣帝) of Han(漢) built a Hwanggomyo(皇考廟). The other is the discussion on the Jongmyo(廟議) in the first years of Shenlong of Tang(705). It can be said that the reforms were made to maintain the permanent memorial tablets of the two kings, who were common ancestors, while at the same time keeping the memorial tablets of King Wonseong, who was the king's great-grandfather, and King Hyechung, who was the king's grandfather. In the end, through reform, the near-chin royal family called the lineage of Ingyeom(Hyechung) was established within the royal family called the lineage of King Wonseong.

      • KCI등재

        686년 신라 대당 외교의 내용과 목적

        안주홍 대구사학회 2022 대구사학 Vol.146 No.-

        This article analyzes the diplomatic activities of Silla and Tang Dynasty in 686. Silla accepted the newly compiled "Yegi(禮記)" and "Yegijeong(禮記正義)" from the Tang Dynasty during the reign of King Jindeok. Therefore, the view that Silla accepted "Yegi" in the Tang Dynasty in 686 and completed the Jongmyo(宗廟) system in 687 cannot be followed. Yegi, which Silla requested to the Tang Dynasty in 686, is Dangrye(唐禮). In 648, the Tang Dynasty gave "Jinseo(晉書)" to Silla. Silla learned Orye(五禮) after reading “Jinseo”. King Jindeok of Silla accepted the Tang Dynasty's Jeonggwanrye(貞觀禮). Tang Dynasty reorganized Dangrye in the 670s and Silla requested that. In 683, King Shinmun married on the basis of Dangrye. As such, Silla had no problem in reorganizing the national ritual based on Dangrye. The Tang Dynasty presented 'Confucian scriptures' to other countries. This was a good way to turn neighboring countries into subordinate countries. Silla tried to create a good relationship by requesting "Dangrye" from the Tang Dynasty. In 681, King Sinmun dispatched envoys to the Tang Dynasty to announce the death of King Munmu and his ascension. In 684, envoys were dispatched to the Tang Dynasty. Tang Dynasty asked Silla for help so that Japanese students(日本遣唐學生) could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Silla actively accepted the Tang Dynasty's demands. In 685, Silla founded Mangdeok Temple(望德寺) for the Tang Dynasty. In 686, a envoy was dispatched to the Tang Dynasty to announce this news. Wu Zeitian(武則天) again replaced the emperor in 686. She tried to show off her power by fulfilling Silla's request. 이 글은 686년의 신라의 대당 외교 활동을 분석한 글이다. 삼국사기 에는 686년에 신라가 예기를 요청하였다고 한다. 이에 이듬해 태조와 직계 4친으로 구성된 祖廟에서 致祭한 기록과 연결하여, 신라가 예기 를 수용하여 제후 5묘를 정립하였다는 해석이 있다. 그러나 신라는 진덕왕대에 신정 예기 와 예기정의 를 수용하였다. 따라서 686년의 예기는 예기 가 아니라 구당서 와 신당서 의 기록대로 당례이다. 그런데 신라는 진덕왕대에 진서 를 통해 오례의 개념을 알았고, 정관례 도 수용하였다. 태종무열왕대는 양국의 관계가 긴밀하였으므로 현경례 도 수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당은 677년, 678년에 당례를 개편하였다. 686년에 신라가 요청한 당례는 바로 이것이다. 그런데 신문왕은 새로운 당례를 수용하지 않아도 국가의례를 정비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다. 기왕에 수용된 당례에 따라 683년에 국왕의 혼례를 거행한 것에서 알 수 있다. 당은 군신적 세계질서를 구축하는 방법의 하나로 경전을 사여하였다. 따라서 신라는 대당 관계의 개선을 위해 당례를 요청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문왕은 즉위 초부터 대당 관계를 개선하고자 외교 활동을 벌였다. 681년에 당에 사신을 파견하여 문무왕의 사망과 자신의 즉위를 알렸다. 684년에도 사신을 파견하여, 당의 요청에 따라 그해 12월에 일본의 견당학생의 귀국을 도왔다. 685년에 망덕사를 창건하여 이 소식을 686년에 파견한 하정사를 통해 알렸을 것이다. 686년의 기록은 신라의 요청이 성사된 시점이다. 당 측천은 686년에 다시 임조하였고, 자신의 위상을 드러내기 위해 신라의 요청을 이행하였다.

      • KCI등재

        역사박물관 학예사의 박물관 교육 운영과 실천

        안주홍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본고에서는 역사박물관 학예사들이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실천하는 전 과정에서의 박물관과 박물관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방법,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이들의 인식과 실천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공과 경력, 개인적 신념 및 경험・흥미, 상황적 요인 등이 상호작용해서 박물관 현장에서 드러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 교육을 ‘역사교육’의 일환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전공과 경력에 따른 차이로 박물관 교육목표는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박물관 교육의 큰 틀을 ‘역사교육’안에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필수적인 지식을 역사내용지식과 소장 자료에 대한 이해였다. 이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역사내용지식은 단순한 역사지식이 아닌 역사학의 기본개념과 원리, 그리고 역사의 학문적 구조와 역사가의 태도까지도 포함하는 것이었고, 전시물외에도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장 자료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들은 자신들이 생각하고 있는 박물관의 교육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려고 했고,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기초로, ‘주제중심 학습’과 ‘인물학습’으로 구성했고, 교수학습방법은 ‘강의법’, ‘제작학습’, ‘체험학습’을 적절하게 혼합해서 활용하고 있었다. 다만, 경력과 전공・박물관 상황적 요인, 개인적 경험과 신념에 따라 이들의 실천 양상은 차이가 있었고, 실제 기획의도와 다르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경력과 전공, 박물관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따라 몇 가지 박물관 교육학예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남길 수 있다. 박물관 교육과정에서 박물관의 특성과 경력, 전공을 고려해야 한다. 초임자와 경력자를 구분하고, 교육학 전공자와 아닌 자, 역사계 전공자와 아닌 자, 국공립박물관과 사립박물관, 박물관의 규모에 따라 교육담당학예사의 교육이 달라져야 한다. 첫째, 초임 학예사들에게는 각 박물관 차원에서 소장 자료 교육이 따로 이루어져야 한다. 초임자들은 자신의 이론적 경험을 토대로 생각해 왔던 박물관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므로 박물관 차원에서 이들에게 새로운 이론적 경험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면, 박물관 내부에서 박물관의 정체성과 교육목표에 대해서 논의할 수 있는 교육도 마련이 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 전공자라 하더라도 초임자라면 한 박물관에서 5년 이상 프로그램을 꾸준히 발전시켜온 경력자의 사례를 공유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간접 경험으로 간접 경력을 더 쌓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는 학예사는 자주 박물관을 바꾸기 보다는 한 박물관에서 오랜 기간 교육프로그램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 역사학전공자들의 경력은 역사교육전공자의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를 보완해주기도 한다. 실제 경력자는 교육학전공자가 아니지만, 실제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교육방법을 발전시켜왔다. 하지만, 이론적 바탕이 없기 때문에 자신감을 표출하지 못했다. 이를 근거로, 굳이 교육학 전공자만을 고집하기 보다는 교육학전공자가 아닌 사람들도 전문성을 꾸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자문단을 구성해서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urators of history museums perceived museums and museum education and how curators operate the education program.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factors influenced the curators' perception and practice using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that various factors influenc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curators. Factors such as major, career, individual faith, experience, interest, and museum situation, are revealed in the museum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them. The study participants thought of museum education as a part of ‘history education’. However, the education purposes they perceived were different because of their different majors and careers. As the study participants perceived the framework of museum education within ‘history education,’ they regarded the history cont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useum collection as necessary knowledge. The history content knowledge they thought of as important included the basic concept and principle of history, academic structure of history, and attitude of historians, not just historic knowledge. They also thought that there was need to fully understand the materials the museum possessed as well as exhibits. To realize educational purpose of museums, they wanted to design a ‘systematic education course,’ constructed the eduction into ‘themecentered learning’ and ‘figure learning’ based on ‘learners’ development stage’ and used the teaching & learning method where ‘lecture method,’ ‘manufacturing learning,’ and ‘experience learning,’ are appropriately mixed. However. their practice aspec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areer, major, museum situation, individual experience and faith and there were cases that were practiced differently from actual planning intention. Despite the practical efforts of them, they felt difficulties according to career, major, and museum situation. These give some implication about education for museum education curators. In the process of museum re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s and career and major of curators should be considered. The education for curators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if they are beginners or experienced curators, if their major is education or historyrelated or others, if the museum is national or private museum, and if the museum is large or small. First, the beginners should receive separate education for museum collection from the museum. The beginners want to realize the museum education that they have been thinking based on theoretical experience. Therefore, if museums need to suggest new theoretical experience to them, the museums should prepare the education that enables curators to discuss the identity of the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 within the museums. Second, Even if beginner majored in pedagogy, there is a need to share the cases of experienced curators who have steadily developed the programs in one museum for more than 5 years. Through such indirect experiences, they can accumulate indirect career. And education curators need to improve the education program for a long time in one museum rather than changing their museum. Also, the museums should make an environment where curators always can receive educational and contentwise advices by constructing an education program advisory panel to steadily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urators who did not major in education rather than persisting with only education majors. In addition, it is also desirable to open an education theory reeducation course.

      • KCI등재

        신라 太宗 廟號와 일통삼한 의식

        안주홍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2

        이글은 신라의 태종 廟號와 一統三韓 의식을 검토한 것이다. 크게 세 가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태종 호칭의 성격 문제이다. 태종은 功德에 따라 올린 祖宗의 칭호로 不毁廟이다. 신라는 태종무열왕대에 종묘제를 수용하여 제후 5묘를 세웠다. 이미 종묘가 성립되었으므로, 태종은 종묘에 올려진 묘호이다. 둘째, 봉호의 시점이다. 문무왕은 662년에 즉위 의례를 거행하였다. 당의 책봉을 받고, 중시를 임명하며, 大赦를 하였다. 또 탐라의 복속을 받고, 백제 평정을 기리는 개선의식을 행하였다. 이때 태조의 정당한 계승자라는 의미로 무열왕에게 태종의 묘호를 올렸다. 셋째, 태종 칭호에 반영된 신라의 천하관이다. 일통삼한은 백제와 고구려의 평정과 같은 의미이다. 신라는 삼한이라는 천하를 평정한 천자를 표방하면서도, 당의 제후를 인정하는 이중적인 천하관을 가졌다. 문무왕은 668년에 선조묘(종묘)에 고구려 평정을 고하는 개선의식을 행하였다. 이때 태종에게 일통삼한의 공덕을 올렸다. 신라의 종묘는 662년에 즉위 의례를 거행한 공간이자, 665년에 취리산 회맹문을 보관한 장소이다. 또 668년에 백제와 고구려의 평정을 고한 곳이었다. 이러한 의식을 거행하며 종묘는 국가 제사의 祭場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신라 하대 문성왕대의 정국

        안주홍(安珠鴻) 신라사학회 2010 新羅史學報 Vol.0 No.19

        文聖王(慶應, 839~857)은 興德王(秀宗, 826~836) 사후 3년에 걸쳐 벌어진 왕위쟁탈전의 결과 즉위하였다. 문성왕의 치세는 신라가 곧 와해되지 않고 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던 중요한 시기였다. 따라서 문성왕대의 정국ㅇ르 통해 당면한 문제는 무엇인지, 어떠한 방향으로 해결해 나갔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이것은 신라하대 지배집단의 지향성을 해명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문성왕은 왕위쟁탈전의 결과 즉위하였기 때문에, 즉위 초 지지기반은 부친(神武王)을 지원한 공신세력 뿐으로 굉장히 협소하였다. 당시 정계에는 閔哀王 휘하의 세력을 비롯하여 다양한 세력들이 존재하였다. 이들은 이해관계에 따라 이합집산할 여지가 컸다. 문성왕은 즉위 초 관직의 수여를 통해 공신세력과의 관계를 공고히 하였는데, 특히 張保皐를 통해 왕권을 안정시키고자 하였다. 아울러 숙부 誼靖을 시중으로 삼아 지지기반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장보고의 浮上은 지방세력의 성장이라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었으며, 귀족세력의 재편성은 상대적으로 소외된 귀족세력들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었다. 840년 12월 일본과의 교섭을 통해 독자적인 관계를 시도하는 등 장보고의 독자성이 강화됨에 따라, 문성왕은 왕권의 안정과 지방세력의 억제를 위해 귀족세력들과 연합하여 841년 11월 장보고를 암살하였다. 당시 신라조정은 청해진을 해체하거나 직접 관리할 여력이 없었기 때문에 武州 別駕 閻長을 통해 청해진을 운영하였다. 그의 직함은 신라관직체제 내의 것이므로 향상된 중앙의 통제력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방세력의 정치적 위치가 상승함에 따라 신라조정의 求心點이 약해지면 그들이 독자세력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다. 신라조정은 지방통제력을 회복하기 위해 상황에 따라 지방세력에 의한 간접지배나 844년 穴口鎭 설치와 같은 직접지배방식을 다양하게 활용한 것 같다. 淸海鎭은 851년 혁파되고 碧骨郡으로 徙民되었다. 이것은 중앙의 통제력이 강화된 것과 동시에 지방통제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완전히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 장보고 사후 문성왕에게 남은 문제는 지배집단의 재편성이었다. 문성왕은 841년 弘弼이 난을 일으켰을 때 진압할 수 없었다. 그러나 847년 공신인 良順인 반란을 일으키자 진압하여 복주하였고, 849년 金式, 大昕이 반란을 일으키자 복주하고 昕?을 연좌하였다. 반란은 지배집단이 재편성되는 과정에서 일어난 것이었고, 진압과정을 통해 왕권이 강화되어 갔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문성왕은 金陽, 의정, 啓明을 중심으로 지배집단을 재편하였고 김양이 사망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한편 문성왕은 847년 당 황제의 再?封을 활용하여 국왕과 왕태자를 정점으로 하는 지배구조를 공고히 하였다. 이러한 정국의 안정은 국왕의 절대적인 힘의 결과가 아니라 귀족세력들의 결속에 의한 것이었다. 憲安王이 문성왕의 遺詔에 따라 즉위하는 것도 이와 같은 구조 속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