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콘빔CT 촬영 시 mAs의 변화에 따른 피부선량과 영상 품질에 관한 평가

        안종호,홍채선,김진만,장준영,Ahn, Jong-Ho,Hong, Chae-Seon,Kim, Jin-Man,Jang, Jun-Young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8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0 No.1

        Purpose: Cone-beam CT using linear accelerator attached to on-board imager is a image guided therapy equipment. Because it is to check the patient's set-up error, correction, organ and target movement. but imaging dose should be cause of the secondary cancer when taking a image. The aim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of appropriate cone beam CT scan mode to compare and estimate the image quality and skin dose. Materials and Methods: Measurement by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TLD-100, Harshaw) with using the Rando phantom are placed on each eight sites in seperately H&N, thoracic, abdominal section. each 4 methods of scan modes of are measured the for skin dose in three time. Subsequently, obtained average value. Following image quality QA protocol of equipment manufacturers using the catphan 504 phantom, image quality of each scan mode is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measured skin dose are described in here. The skin dose of Head & Neck are measured mode A: 8.96 cGy, mode B: 4.59 cGy, mode C: 3.46 cGy mode D: 1.76 cGy and thoracic mode A: 9.42 cGy, mode B: 4.58 cGy, mode C: 3.65 cGy, mode D: 1.85 cGy, and abdominal mode A: 9.97 cGy, mode B: 5.12 cGy, mode C: 4.03 cGy, mode D: 2.21 cGy. Approximately, dose of mode B are reduced 50%, mode C are reduced 60%, mode D are reduced 80% a point of reference dose of mode A. the results of analyzed HU reproducibility, low contrast resolution, spatial resolution (high contrast resolution), HU uniformity in evaluation item of image quality are within the tolerance value by recommended equipment manufacturer in all scan mode. Conclusion: Maintaining the image quality as well as reducing the image dose are very important in cone beam CT. I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are considered when to take mode A when interested in soft tissue. And we are considered to take mode D when interested in bone scan and we are considered to take mode B, C when standard scan. Increasing secondary cancer risk due to cone beam CT scan should be reduced by low mAs technique.

      • 뉴딜형 물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

        안종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1 환경포럼 Vol.253 No.-

        「물관리기본법」의 제정과 물관리 일원화를 통해 새로운 물관리 체계로의 전환을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경제위기 극복에 초점을 둔 현재의 물 분야 뉴딜사업은 보다 미래 지향적인 통합물관리 체계를 구현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로드맵과 그에 따른 투자 및 사업관리 계획을 통해 물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선은 수량 공급 위주의 시설 확충·정비 중심에서 지속 가능한 물관리 서비스 사업 중심으로 국내 물 시장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업자 간 경쟁 촉진을 위한 경제규제 기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사업구조의 개편을 유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으로 가능해진 ‘분산형 물 솔루션 기술’이 도시의 탄력적인 물 인프라 구축의 중요한 도구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메가시티와 2차 도시 내의 산업 지역에 물 재이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도시의 용수 확보와 물 공급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중요한 대안일 뿐만 아니라, 검증된 물관리 기술과 자금 조달이 결합한 분산형 물 솔루션에 대한 훌륭한 투자 모델이 될 수 있다. 더불어 디지털 물관리 체계의 구축을 위한 국가의 정책적 기반과 지원 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혁신적 디지털 기술과 가용성 높은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기술이 융합된 물관리 시스템 구축은 물 서비스와 수요자(국민) 간의 더 깊은 수준의 인식, 통합 및 협업을 통해 물관리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선진국과 차별화된 핵심 물관리 원천기술의 개발과 현장에서의 검증, 정부 주도의 지속적인 투자와 디지털 물 기업 육성 등을 통한 핵심역량 확보와 ICT와의 융복합 촉진이 필요하다. 물관리 디지털화의 성공을 위해서는 혁신적 기술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파트너십, 새로운 재정 체계 및 규제된 미래 지향적 비즈니스 모델 등 지원 체계가 필요하며, 디지털 생태계의 가속화를 위한 디지털 채택을 장려하는 물관리 규정 및 공공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 KCI등재

        Fibrolytic Enzyme 첨가가 반추위 발효 성상 및 착유우의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안종호,김연정,김현진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3 한국축산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는 유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유우 사료에 fibrolytic enzyme을 첨가하여 반추위내 발효 성상과 비유중인 젖소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NDF 함량 수준이 다른 TMR 사료에 fibrolytic enzyme을 3가지 수준(0, 0.05, 0.1%)으로 달리하여 첨가하였을 때 나타난 NDF 소화율은 효소 첨가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NDF 수준별로는 NDF 38 및 43% 수준보다 NDF 34% 수준에서 NDF 소화율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본 시험 사료의 조성 성분으로 보아 NDF 성분 구성상 hemicellulose 함량이 높아 이 점이 반추위내 NDF 소화율에 영향을 주었다고 사료된다. 반추위액의 pH는 fibrolytic enzyme의 첨가 수준에 의한 영향보다는 NDF 수준에 의해 영향을 더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NH_3-N 생성도 전체적으로 fibrolytic enzyme 첨가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Acetic acid의 생성량은 NDF 수준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았으나 (P<0.05) propionic acid의 생성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 생성량 모두 효소 첨가에 의한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A/P ratio 는 NDF 34% 수준의 fibrolytic enzyme 첨가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CMCase의 효소 활성은 NDF 34 및 43% 수준에서 fibrolytic enzyme 첨가구(0.05, 0.1%)가 무첨가구에 비해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Xylanase의 효소 활성은 배양 개시 후 0시간대부터 12시간대까지는 효소 활성이 완만히 감소하였고 24시간 이후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In vivo 실험을 이용하여 fibrolytic enzyme 첨가에 따른 착유우의 생산성 변화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brolytic enzyme 첨가에 의한 산유량은 enzyme 첨가구와 무첨가구에서 각각 25.80 및 23.90㎏/d로서 enzyme 첨가구에서 약 8%(1.90㎏/ d)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지방 및 유단백 함량의 경우는 fibrolytic enzyme 첨가구와 무첨가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일일 생산량으로 환산하여 평가하면 enzyme 첨가시 유성분 생산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in vitro 실험의 경우 fibrolytic enzyme 첨가시 반추위내 발효성상에 명확한 변화를 보여주지 못했지만 enzyme 첨가에 따라 전반적으로 NDF 소화율이 다소나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in vivo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착유우 사료에 fibrolytic enzyme을 첨가시 유성분의 변화보다 유량의 증가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사료섭취량을 제한한 본 실험의 특성상, 사료섭취량을 제한한 본 실험의 특성상, 사료섭취량 증진 효과가 아니라 체내 영양소 이용성 증진에 따르는 효과라고 판단되었다. 반추동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fibrolytic enzyme 이용 효과는 연구자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효소의 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We evaluated the effects of adding fibrolytic enzyme into ruminant diets on ruminal fermentation (in vitro) and lactational performances of dairy cows (in vivo). Through the in vitro experiment that was carried out with different contents of NDF (34, 38, 43%) in diets, digestibilities of NDF in the rumen appeare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addition of enzyme but were different by NDF content in diets showing higher digestibility in NDF 43% diet. It could be attributed by the relatively higher amount of hemicellulose in the current experimental diets than in conventional diets that might have been digested easily by the addition of fibrolytic enzyme in the rumen. The addition of fibrolytic enzyme tended to increase NDF digestibilities to a little extent both in 0.05 and 0.1% enzyme levels. Ruminal pH. NH_3N concentrations and VFA production in the rumen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fibrolytic enzyme. Activities of CMCase and xylanase were higher in enzyme treated diets of both NDF 34 and 38%. In particular, the activities of xylanase that slowly decreased from 0 to 12 hr but rapidly after 24 hr indicates that the major action of the enzyme in the rumen occurs in early period of incubation. Through an in vivo experiment, fibrolytic enzyme addition into the diets of dairy cows indeed affected lactational performance of milk yield. The cows fed enzyme treated diets produced 8% (1.9㎏/d) more amounts of milk than with no enzyme addition. Milk composition of milk fat and protein was not affected by enzyme addition. Overall, the results of this in vivo study indicates that fibrolytic enzyme can be used to improve milk production in lactating cows. In respect that animals in different treatments of this study had the same amounts of intake, the increased milk yield with enzyme addition may be attributed to the improved utilization of nutrients in the digestive tract.

      • KCI등재후보

        볏짚사일리지 제조를 위한 유기감귤 첨가효과

        안종호 한국유기농업학회 2007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5 No.3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organic citrus on the quality of rice straw silag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rice straw silage using agricultural by-products and therefore to secure the good quality forage sources. Firstly, looking at chemical composition of citrus added rice straw silage, crude protein content appeared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citrus to rice straw silage compared to control while NDF and ADF contents decreased. pH of the silages were different between control(4.39) and treatments(3.47~3.53). Lact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citrus added silage(4.87mM) than in control (3.65mM). External quality of the silages was also better in citrus added silage when citrus added at the equal ratio with rice straw(1:1). This trend was the same as with pH and lactic acid content. Propion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itrus addd silage but butyrate was significantly lower. DM and NDF disappearance rates in the rumen were highest when citrus added at the equal ratio with rice straw(1:1).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citrus to rice straw silage with equal ratio contributed the best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ilage and it may have been due mainly to abundant content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 in citrus.

      • KCI등재

        물과 비누의 자동 배출이 가능한 다기능 자동 수전 개발 - 디자인 기술 융합 제품 개발 중심으로 -

        안종호,김형준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4

        Since Korea was designated as water-stressed country in 1990, the country has made its effort to save water resource. Nevertheless, more water has still been used than in other countries. Water consumption in public toilets used by many people will be high, and the soap used to wash hands will be used by a large number of people, which can cause hygiene problems.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velop a faucet that could reduce water waste and improve sanitation problems caused by washing hands in public toil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ositive experience for users and managers in public toilets and to solve the issues of water resource waste and sanitation through faucets. Therefore, this paper was implemented in a way to grasp applicability through faucet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tion. The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user research, the problems of faucet and soap use were identified and the design direction was set. Second, after analyzing the applicability through the research of faucets and soap dispenser structure, multi-functional automatic faucet was designed and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onvenience and environment. The focus was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technology convergence products including both design and functional aspects. Third, the development feasibility was validated and improvement was identified through usability tes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improvements that are derived from these research results so that users can use them more easily. 우리나라는 1990년 물 부족 국가로 지정된 이래, 수 자원 절약에 여러 정책을 사용하고 있지만 물 소비량 은 여전히 타국보다 많은 것으로 되어있다. 다수의 사 람이 이용하는 공중화장실에서의 물 소비량은 많을 것이며, 손 씻기에 사용되는 비누는 다수의 사람이 사 용하기 때문에 위생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 는 공중화장실에서 손을 씻으며 발생하는 수자원 낭 비 및 위생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수전을 개발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전을 통해 공중 화장실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 함과 더불어 수자원 낭비와 위생 문제를 해결하는 것 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수전 디자인 개발·제작을 통 해 적용가능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이행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 조사를 통해 수전과 비누 사용의 문제 점을 파악하여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수전 및 비누 디스펜서 구조 연구를 통해 응 용가능성 분석 후, 복합기능을 통한 편리성 향상 및 환경개선을 목표로 다기능 자동 수전을 디자인 개발 제작하였다. 디자인 및 기능적 측면을 모두 포함한 디자인 기술 융합 제품 개발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셋째, 개발된 다기능 자동 수전의 사용성 평가를 통 해 개발 타당성 검증과 개선사항을 파악하였다. 이러 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개선사항을 반영하여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