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ome Conditions of Stability Soltions in Differential Systems

        An, Jeong-Hyang,Oh, Young-Sun 경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1 基礎科學 Vol.5 No.1

        O.Perron은 미분시스템의 해에 관한 안정성을 섭동이 있는 선형미분시스템의 해에 관한 안정성 문제로서 보다 단순화하여 Perron 안정성 정리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형미분시스템에서의 영해(零解;zero solution)가 안정할 필요충분조건과 보조시스템 □의 영해가 Φ(t)-점근적 안정 가능하면 섭동을 수반한 □가 Φ (t)-안정 가능할 충분조건에 대한 성질을 얻었다. 또한, 보조시스템 □의 영해가 Φ (t)-평등 점근적 안정가능하면 그 섭동을 수반하는 미분시스템의 영해도 Φ (t)-평등 점근적 안정가능하게 되는 조건을 얻었다. In this paper, we find the necessary and/or sufficient conditions of stability of solutions of the given differential systems by using the auxiliary system.

      • ON T(u)-UNIFORM STABILITY OF THE PERTURBED 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AN, JEONG-HYANG,OH, YOUNG SUN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7 基礎科學 Vol.1 No.2

        O. Perron은 미분방정식의 해에 관한 안정성을 섭동이 있는 선형미분방정식의 해에 관한 안정성 문제로서 보다 단순화하여 O. Perron 안정성 정리를 발견하였다. 최근에 1990년 T. Taniguchi가 Perron 안정성 정리를 부분적으로 일반화하였으며 S.K. Chang, H.J. Lee, Y.S. Oh 등이 페론 안정성 정리를 더욱 일반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K. Chang, H.J. Lee, Y.S. Oh의 안정성 정리중 어떤 질적성질을 갖는 조건에 대해서 조사하였으며, 주된 결과는 선형미분방정식 dy/dx=KF(t,y)의 자명해가 T(μ)-일양(점근적)안정이 성립하면 섭동을 수반한 미분방정식 dy/dx=A(t)x + f(t,x)이 T(μ+ν)-일양(점근적)안정이 될 충분조건을 찾았으며 또한 섭동이 있는 미분방정식의 자명해가 여러 가지 일양안정성일 충분조건에 관한 몇 가지 성질을 얻었다. We investigate the zero solution of the perturbed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dt/dx=A(t)x + f(t,x) and we find some sufficient conditions to ensure T(μ)-uniform stability T(μ)-uniform asymptotical stability of the zero solution of it.

      • ON SOME RELATIONS OF SOLUTIONS IN 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AN, JEONG-HYANG 慶山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7 基礎科學 Vol.1 No.2

        선형미분방정식의 해에 대한 안정성 문제는 A.M. Lyapunov(1892)에서 O.Perron(1930)을 거쳐 최근까지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여러 분야에 걸쳐 이 이론의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어왔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미분방정식에 있어서 자명해의 안정성 문제에 대한 관계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유계성 문제에서 어떤 안정성이 되는지를 아울러 밝혔다. 주된 결과는 선형미분방정식 dy/dt=g(t,y)의 자명해가 임의의 실수 μ에 대해서 T(μ)-일양 자명해이면, 그 해는 T(μ+|ν|)-준 일양 점근적 안정하고, 그 자명해가 T(μ)-일양 유계일 때 그 해가 T(μ+|ν|)-준 일양 점근적 안정함을 찾았다. 그 외에도 몇 가지 (준)일양 점근적 안정성이 될 충분조건을 찾았는데 이들 관계는 여러 형태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된다. In this paper, we present to ensure that if the zero solution of a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is T(μ)-uniformly stable, then the solutions of its perturbed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is T(μ+|ν|)-quasi-uniformly asymptotically stable. And also, we find some sufficient conditions for T(μ)-uniformly asymptotical stability of the zero solution of the perturbed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 KCI등재

        한국정당 조직의 상대적 불안정성: 집단행동이론과 계파갈등

        이종곤,안정 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5 동향과 전망 Vol.- No.95

        우리나라 정당들, 특히 새누리당계 및 민주당계 정당들은 공통적으로 오랜 기간이합집산을 반복하여 정당조직의 불안정성을 노출시켜왔다. 하지만,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두 정당의 조직적 불안정성은 상대적 차이점이 존재한다. 1990년 자유민주당의 3당합당 이후, 새누리당계 정당들은 비록 통합과 분열을거듭하며, 신한국당, 한나라당으로 변화했지만, 민주당계 정당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조직을 유지하여 왔다. 이 글에서는 슈와르츠(Schwartz)와 알드리치(Aldrich)가 제시한 정당과 관련한 집단행동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두 당의 상대적 안정성의 차이를 당내 처벌기제 및 장기적 관계 유지 문제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민주당계 정당들은 공식지도부와 계파 선거영향력이 불일치하여 처벌기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 하고, 새로운 계파의 잦은 유입으로 인해주류계파에 대한 정치적 지분이 불확실한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인에 의해 민주당계 정당들은 새누리당계 정당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조직을 유지하는데 실패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have been highly unstable for several decades. Two major Korean political parties, the New Frontier Party (NFP) and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NPAD), have failed to maintain robust party organizations in common. Nevertheless, NFPᐨrelated parties have established more stable party organizations in a relative manner.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rnal factors to aff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litical partie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suggested by Thomas Schwartz and John Aldrich. The party leaderships of NPADᐨrelated parties have been more likely to lose electoral influence and adopt new political factions, compared with NFPᐨrelated parties. These behaviors of the party leaderhships have generally weakened the effectiveness of punishment mechanism and longᐨterm trustful relationships among party members. As a consequence, NPADᐨrelated parties have failed to maintain stable party organizations in recent decades.

      • On quasi-asymptotic and uniformly asymptotic stability of the form y'= Α(t)x+h(t, x)+f(t, x)

        안정 慶山大學校 1997 論文集 Vol.15 No.1

        0. Perron은 미분방정식의 解에 관한 안정성을 攝動을 수반한 미분방정식의 해에 관한 문쟤로서 보다 단순화하여 0. Perron 안정성 정리를 발견하였으며, 최근에는 S.K. Chang, H. J. Lee, Y. S. Oh 등이 패론의 정리를 일반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섭동을 수반한 미분방정식 y'=A(t)x+h(t.x)+f(t,x)이 준 점근적 또는 준일양 점근적 안정성이 될 충분조건을 보조방정식 y'=F(t.k(t)y(t)) 또는 y'-=h(t)^(-1)F(t, k(t)y(t))을 사용하여 얻었다. We investigate quasi-asymptotic stability of the zero solution for the perturbed differential equation dx/di = A(t)x + h(t_(1),x) + f(t_(1), x) and we also find some sufficient conditions to ensure T(v)-quasi-(uniform1y) asymptotic stability of the zero solution of it.

      • [발제6] 자본 이동과 노동시장의 변화

        안정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07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2

        본 연구에서는 자본 이동이라는 자본 축적의 공간적 확장이 노동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서 자본 이동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으로서 자본 이동과 자본 축적률 사이의 관계를, 노동시장에 미치는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으로서 자본 이동과 노동시장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로의 자본 이동인 외국인 직접투자는 자본 축적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그 유입의 불안정성은 1997년 위기 이후 자본 축적을 구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인 직접투자와 노동시장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직접투자는 생산성을 증가시키지만 임금을 하락시키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분배를 악화시키고 고용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직접투자가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지만 이것이 장기적인 성장으로 연결될 것으로 단정 지을 수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에서이다. 첫 번째는 외국인 직접투자가 생산성을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앞에서 분석한 바와 같이 자본 축적률을 증가시키지 않을뿐더러 자본 이동의 불안정성은 오히려 축적률을 구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증가된 생산성이 실물자본에 대하 투자를 통해서 축적률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하지 못한다면 분배의 악화만 가져올 뿐 장기적인 성장을 담보하지 못한다. 두 번째는 외국인 직접투자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임금을 감소시키고 비정규직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현재와 같은 성격의 외국인 직접투자가 장기적인 성장의 동력으로 작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임금 증가와 비정규직의 감소가 생산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두 가지 이유로 인해서 불안정한 이동과 소득재분배의 악화 그리고 단기고용을 선호하는 현재와 같은 성격의 외국인 직접투자가 장기적인 성장을 가져올 것이라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숙련형성 시스템의 동학과 분절에 대한 연구

        안정화 ( Ahn Jung-hwa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6 산업노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한국의 숙련형성 시스템에 대한 정량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임금, 고용안정성, 숙련, 생산성으로 구성된 숙련형성의 기본 순환고리를 설정하고, 이 순 환고리와 자본, 노동, 국가의 전략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숙련 형성 시스템이 기업규모별로 분절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련형성의 기본 순환고리에 대한 분석 결과는 교육훈련의 증가가 숙련-생산성-임금-이직률로 이어지는 순환관계 속에서 선순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숙련형성 순환고리와 자본, 노동, 국가 전략의 상호작용을 보면, 신제품개발에 적극적인 혁신적인 기업일수록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하며, 이는 숙련수준의 상승, 생산성 향상, 임금 상승, 고용안정성 제고라는 선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노동조합은 교육훈련을 직접 증가시키지는 않지만 임금상승과 고용안정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숙련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것은 숙련지향적인 전략을 통해 얻어낸 결과라기보다는 임금과 고용안정 노력에 대한 부산물로 해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직업능력개발 정책의 지원은 기업의 교육훈련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규모별로 숙련형성의 특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 집단 에서는 숙련형성의 순환고리가 작동하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현재와는 다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kill Formation System in Korea. We set correlations of skill formation variable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skill, productivity, wage and turnover. We then analyzed how the correlations interacted with the strategies of the employer, union and government and whether or not segmentation of skill form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firm s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correlations of skill formation variables can lead to a low-skill or high-skill equilibrium. Second, the companies which are active and innovative in new products are more likely to invest in training, positively leading to skill improvement, increased productivity, a rise in wages and job security. Also, unions have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skill formation through wage increase and job security.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skill formation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irm size. Particular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ircle of skill formation does not work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kill form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firms become disconnec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is a disconnect within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kill formation i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 KCI등재

        통합 과학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두 중등학교의 사례 : 무엇이 통합 과학교육을 가능하게 하는가?

        안정용 ( Jung Yong Ahn ),나지연 ( Ji Yeon Na ),송진웅 ( Jin 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통합을 실천하고 있는 두 학교의 사례를 통해 학교 차원의 통합 과학교육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통합을 실천하고 있는 학교에서 일어나는 통합은 어떤 형태인지 그리고 일반 학교와 구별되는 그 학교의 상황 요소는 무엇인지를 수업 참관, 교사 면담, 학교교육계획서 수집, 수업 동영상 분석, 학생 결과물 수집과 같은 다중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는 통합의 유형, 수준, 교사의 역할, 학생 활동에서 차이를 드러냈으며 이러한 차이가 다른 모습의 통합 과학교육 사례를 보여주었다. 둘째, 두 학교가 통합을 실천할 수 있게 한 학교 상황 요소가 있었다. 통합교육을 실천한 학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했을 때 ``리더십``, ``교사 팀의 협력 활동``, ``교육계획을 위한 시간확보``, ``유동적인 시간 운영``, ``지역사회와 연계``와 같은 유사한 학교 상황요소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두 학교의 사례에서는 통합을 기존의 안정적 성격의 교육적 시도가 아닌 보수적인 교사 문화를 극복하여 학교 교육의 혁신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보수적 문화극복/혁신 추구``를 새로운 학교 상황 요소로 제안하였다. 또한 두 학교는 안정적인 교사 관계를 형성하였으나 선행 연구에 비해 단기간에 대규모로 실시되었기 때문에 선행 연구에서 제안한 ``소규모의 안정적인 학습 환경`` 대신 ``협력적 친밀한 관계``로 요소를 수정하였다. This is a case study on two schools practising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hereafter I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features of ISE in the schools actively practising ISE, to identify the contextual factors of the schools, and to give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ISE in schoo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extual factors in practicing ISE with a focus on the two schools, a middle school in Gyeonggi-do and a high school in Busan. They were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among teaching subjects and providing student-oriented instruction with problems in the real world. Th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ing classes, by interviewing teachers, and by reviewing school documents and students` repor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schools took part in ISE actively. They teach science to students providing integrated experiences mainly by using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or by solving the problems pertaining to the real world. While the former integrated subjects centering on topics, the latter focused on a project-based learning driven by students. They have differences in regard to the role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level of integration and the type of integration. Second, the contextual factors that enabled ISE to be implemented there were found. The previous studies revealed six contextual factors in practising ISE: small and stable learning environment, leadership, team activities, in-school planning time, flexible timetable and community links. This study also found similar factors. However, the cases of this study provided 1SF on a large scale and in a short period of time, instead of a small and stable learning environment. Teachers viewed the process of ISE not only as a tool to overcome the conservative culture of teachers but also as a pursuit of innovation.

      • KCI등재후보

        트레이닝 형태에 따른 심혈관 기능 및 심장 구조의 변화

        안정,고성경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1

        안정현, 고성경. 트레이닝 형태에 따른 심혈관 기능 및 심장 구조의 변화. 운동과학, 제11권 제1호, 189-198, 2002. 지구력훈련과 근력훈련 그리고 복합훈련이 심혈관 기능과 심장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초음파 심장기록을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구력훈련군(n=9), 근력훈련군(n=14), 복합훈련군(n=27) 및 대조군(n=7)으로서 총 57명이었다. 연구 결과, 안정시 심박수와 심박출량 및 수축기혈압은 복합훈련군이 56.8회와 5.57ℓ/min, 111.9mmHg로서 타 집단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대조군의 65.3회와 6.19ℓ/min 그리고 118.7mmHg에 비해 유의하게(p<0.05) 낮았다. 그러나 지구력훈련군과 근력훈련군의 밝은 대조군과 타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좌심실 질량은 근력훈련군과 복합훈련군이 91.0㎎/㎡ 91.6㎎/㎡으로서 대조군의 69.9㎎/㎡에 비해 유의하게(p<0.05) 높았다. 수축기 좌심실 중격의 두께는 지구력훈련군과 근력훈련군이 11.89㎜와 11.45㎜로서 대조군의 10.90㎜에 비해 유의한(p<0.05) 차이가 있었다. 수축기 좌심실 후벽의 두께는 근력훈련군이 12.88㎜로서 대조군의 11.18㎜에 비해 유의한(p<0.05)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지구력훈련은 심실용적의 변화율을 증가시키는 반면 근력훈련은 좌심실의 질량과 후벽 및 중격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합훈련군은 안정시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낮추며 좌심실의 질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Ann, J. K, Ko, S. K. The Change of the Cardiac Structure and the Function on the Static and Dynamic Training. Exercise Science, 11(1): 189-198, 2002.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cardiac function and structure on the static, the dynamic and the combined training, 57 students were selected and recorded by supersonic cardiac recorder. Subjects were divided 4 groups ; Control(n=7), Endurance training(n=9), Muscle Power training(n=14), Combined training(n=27).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At resting state, HR(56.8±3.6beat/min), CO(5.57±0.19ℓ/min) and SBP(111.9±4.4㎜Hg) of combine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65.3±4.6beat/min, 6.19±0.43 ℓ/min, 118.7±5.9㎜Hg). 2. The mass of left ventricle of the muscle power group(91.0±13.7㎎/㎡) and the combined group(91.6±16.1㎎/㎡) was significantly weightier than control group(69.9± 17.4㎎/㎡). 3. The systolic left ventricle septum of the endurance group(11.89±2.16㎜) and the muscle power(11.45±2.18㎜) group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control group(10.90±1.30㎜). 4. The Systolic left ventricle posterior wall of the muscle power group(12.88±1.31㎜) was significantly thicker than control group(11.18±1.49㎜).

      • KCI등재

        석재가공에서 발생한 석분슬러지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채움재로의 활용

        정진섭(Jeong Jin Seob),송갑용(Song Gab Young),안정현(Ahn Jeong Hyeon),김태형(Kim Tae Hyung)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4D

        본 논문에서는 석분슬러지의 처리 문제와 비용 절감을 위해 아스팔트 콘크리트 채움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검토되었다. 석분슬러지의 아스팔트 콘크리트 채움재 활용함에 있어 품질 기준을 확인 하고 품질 평가를 통해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일반적으로 석분은 Ouartz, Feldspar, Muscolinite, Kaolinite, Calcite의 5가지 광물 성분으로 되어 있으며, 실험 결과, 본 연구에 사용된 익산시 황등 석분은 SIO₂가 55.68% AL₂O₃, 19.63%, FeO가 2.38%이며, 기타 미량의 광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입도, 소성지수, 흐름시험, 침수 팽창 등 채움재의 품질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분슬러지를 활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마샬안정도를 측정한 결과 기층용에서는 기준배합(석분슬러지:아스팔트, 0%:4%)에서 석분슬러지를 4%로 늘이고, 아스팔트 함량을 0.4% 줄인 3.6%에서 높은 마샬안정도를 보였고 표층용에서는 기준배합(채움재:아스팔트, 2%:5.4%)에서 채움재를 석분슬러지 4%로 대체하고 아스팔트 0.2% 줄여도 마살안정도에 큰 변화가 없이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왔다. 한편, 폐기물 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 유해물질은 유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폐기물로 인식되는 석분슬러지를 아스팔트 콘크리트 채움재로 활용한다면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생산단가 절감과 더불어 상당한 비용을 들여 위탁처리하고 있는 석분슬러지의 폐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클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of waste stone dust sludges as a asphalt concrete filler. The stone dust sludges used in this study consist of 55.68% of SIO₂, 19.63% of AL₂O₃, 2.38% of FeO, and the other minor minerals. Through experiments such as plasticity index, flow test, rate of expansion under water striping resistance, it was found that the stone dust sludges were satisfied with the quality specification of filler. Marshall stability tests on the asphalt concrete containing stone dust sludges showed that the highest Marshall stability values were obtained in case of mixing 4% of stone dust sludges with 3.6% of asphalt for base and in case of mixing 4% of stone dust sludges with 5.2% of asphalt for surface,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ent of asphalt can be reduced by 0.4% for base and 0.2% for surface compared with the standard mixing design. Based on the leaching tests, in addition, only a small amount of lead below the standard level was leached, and no other harmful substances were leached. From this study, the stone dust sludges can be used as a filler for asphalt concrete mixtures, and it makes reducing the production costs of asphalt concrete and also decreases the disposal costs of waste stone dust slu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