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long-chain inorganic polyphosphate treated with wheat phytase on interleukin 8 signaling in HT-29 cells

        안정민,조재순 아세아·태평양축산학회 2022 Animal Bioscience Vol.35 No.6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 of wheat phytase on long-chain inorganic polyphosphate (polyP)-mediated interleukin 8 (IL-8) signaling in an intestinal epithelial cell line, HT-29 cells. Methods: Cell viability and the release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IL-8 in HT-29 cells exposed to polyP1150 (average of 1,150 phosphate residues) treated with or without wheat phytase were measured by the EZ-CYTOX kit and the IL-8 ELISA kit, respectively. Also, the activation of cellular inflammatory factors NF-κB and MAPK (p38 and ERK 1/2) in HT-29 cells was investigated using ELISA kits. Results: PolyP1150 negatively affected the viability of HT-29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100 mM polyP1150 dephosphorylated by wheat phytase increased cell viability by 1.4-fold over that of the intact substrate. Moreover, the 24 h exposure of cells to enzyme-treated 50 mM polyP1150 reduced the secretion of IL-8 and the activation of NF- κB by 9% and 1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intact substrate. PolyP1150 (25 and 50 mM) dephosphorylated by the enzyme induced the activation of p38 MAPK via phosphorylation to 2.3 and 1.4-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intact substrate, even though it had littl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ERK 1/2 via phosphorylation. Conclusion: Wheat phytase could attenuate polyP1150-induced IL-8 release in HT-29 cells through NF-κB, independent of MAP kinases p38 and ERK. Thus, wheat phytase may alleviate inflammatory responses including hypercytokinemia caused by bacterial polyP infection in animals. Therefore, wheat phytase has the potential as an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supplement in animal husbandry.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effect of wheat phytase on long-chain inorganic polyphosphate (polyP)-mediated interleukin 8 (IL-8) signaling in an intestinal epithelial cell line, HT-29 cells.Methods: Cell viability and the release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IL-8 in HT-29 cells exposed to polyP1150 (average of 1,150 phosphate residues) treated with or without wheat phytase were measured by the EZ-CYTOX kit and the IL-8 ELISA kit, respectively. Also, the activation of cellular inflammatory factors NF-κB and MAPK (p38 and ERK 1/2) in HT-29 cells was investigated using ELISA kits.Results: PolyP1150 negatively affected the viability of HT-29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100 mM polyP1150 dephosphorylated by wheat phytase increased cell viability by 1.4-fold over that of the intact substrate. Moreover, the 24 h exposure of cells to enzyme-treated 50 mM polyP1150 reduced the secretion of IL-8 and the activation of NF-κB by 9% and 1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intact substrate. PolyP1150 (25 and 50 mM) dephosphorylated by the enzyme induced the activation of p38 MAPK via phosphorylation to 2.3 and 1.4-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intact substrate, even though it had little effect on the expression of ERK 1/2 via phosphorylation.Conclusion: Wheat phytase could attenuate polyP1150-induced IL-8 release in HT-29 cells through NF-κB, independent of MAP kinases p38 and ERK. Thus, wheat phytase may alleviate inflammatory responses including hypercytokinemia caused by bacterial polyP infection in animals. Therefore, wheat phytase has the potential as an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supplement in animal husbandry.

      • KCI등재

        수리구조물에 의한 흐름 및 하상변동 연구 - 강정고령보를 중심으로 -

        안정민,정강영,신동석,류시완 한국습지학회 2017 한국습지학회지 Vol.19 No.2

        침식 및 퇴적과 관련된 수치모형을 이용한 분석은 하천에 존재하는 보와 같은 수리구조물들의 유사이송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기능보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낙동강수계에 위치해 있는 강정고령보를 대상 으로 하상변동을 예측하였다. 2차원 모형은 CCHE2D를 이용하여 유사이송이 지배적으로 발생하는 다기능보 상・하류 구간 25km를 대상으로 침식과 퇴적에 대한 모의를 수행하였다. 2006년 태풍 “에위니아”사상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 보정 하였으며, 모의결과와 관측값의 비교를 통하여 전체 모의구간에서 신뢰성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강정고령보가 건설된 이후 태풍사상에 의한 하상변동은 가동보 구간에서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상변동은 유사의 재분 배를 야기하였다. Analysis using a numerical model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associated with erosion and sedimentation near weirs and other hydraulic structures within riverine systems. The local riverbed change near a hydraulic structure (Gangjeong-Goryong multi-function weir in the Nakdong river) was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hydraulic structures on local bed change. A 2D numerical model (CCHE-2D) was employed to simulate the sedimentation and erosion over a reach (25 km) including the weir. For th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model, rainfall data from a real event (Typoon ‘Ewiniar’ in 2006) were used for flow and stage simulation. And the simulated results show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for the whole domain. From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weir could aggravate bed changes by typhoon between movable weirs, and which resulted in redistribution of sediment.

      • KCI등재

        조선족, 고려인 한국어 교사의 민족정체성 연구

        안정민,한혜민,표정민,권유선,최혜진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23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14 No.-

        This study compared the perceptions of Korea,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between Koryoin and Joseonjok, who are the representative Korean diaspora, and examined the causes from various angle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66 Josenjok and Koryoin Korean teachers, who are required high knowledge and awareness of ethnic language and its cultur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is stud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at Joseonjok teachers have a higher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fficacy than Koryoin teachers, while Koryoin teachers have more interest in Korea than Josenjok teachers. In order to find out where these differences were originated, this study examined various factors such as ethnic policy and language policy of their resident country, overseas Korean policy, and their status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the process of changing Korean Diaspora’s perception towards their home country dynamically. 본 연구에서는 재외동포 집단인 고려인과 조선족의 한국, 한국어,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그 원인을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대내외적으로 민족어와 민족문화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요구되는 조선족과 고려인 한국어 교사 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그룹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조선족 교사들은 고려인 교사들에 비해 한국어와 문화적 효능감이, 고려인 교사들은 조선족 교사들에 비해 한국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는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 원인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거주국의 민족정책과 언어정책, 재외동포정책, 한국 내에서의 위상 등 다양한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한인 디아스포라의 모국에 대한 인식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안정민,소금현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인식과 태도의 변화에 관한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없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초등학생들은 높은 흥미를 보였고, 진행된 수업에 대해 만족감을 나타냈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기후변화교육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외국어 학습 경험 인지가 한국어 교사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사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

        안정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7 국어교육연구 Vol.39 No.-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외국어 학습 경험이 어떻게 교사 인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이것이 한국어 교사의 삶과 한국어 교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교사의 인터뷰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또한 교사의 외국어와 관련해 가장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사 변인인 원어민교사와 비원어민 교사, 국내 교육현장과 해외 교육현장을 나누어 한국어 교사의 인터뷰를 살펴보았다. 교사의 외국어 학습 경험이 한국어 교사에게 끼치는 영향력은 다양할 뿐 아니라, 직접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교사는 과거의 외국어 학습 경험 덕분에 학생들의 입장을 잘 이해할 수 있고, 학습자로서 경험한 외국어 교사를 모델로 삼아 자신의 한국어 교수에 도움을 받고 있었다. 교사에 대한 모델링은 크게 두 가지의 유형이 있었는데 교사의 좋은 점을 그대로 따라 교수하는 ‘순행적 모델링’과 부정적인 경험 때문에 그와는 반대의 행동을 하는 ‘역행적 모델링’으로 구분하였다. 또, 외국어 경험은 교사가 진행하는 수업 분위기나, 수업 방식 등에 영향을 주고, 자신이 외국어를 배울 때 효과적이었던 학습 전략을 학생들에게 우선적으로 교수하는 데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 한국어 교사들은 외국어 학습 경험을 통하여 교사가 될 동기를 얻거나 관심 분야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교사로서의 전문적인 지향점이나 교사상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한국어 교사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어 교사의 외국어 경험 인지를 제도적 차원에서 고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 language teachers'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s form teachers' cognition, and how they affect Korean language teachers' lives and classrooms. The interviews of eight participants(two each: domestic native, overseas native, domestic non-native, and overseas non-native teacher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influence of teachers'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on Korean teachers was diverse and direct.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past foreign language experience helps them to understand the students' position. Students were guided by considering their foreign language teachers as a model, either a positive model to follow or a negative model to avoid. In addition, the foreign language experience influenced the classroom atmosphere, teaching style, and preferred learning strategies. Teache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gaining foreign language learning experience ​​in the same environment in which their students learn Korean. It therefore seems necessary to seek ways to enhance foreign language experience not only on the personal level but also on an institutional level.

      • KCI등재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사회통합정보망을 중심으로

        안정민,한혜민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국민을 대상으로 국어 순화적인 관점에서만 이루어져 오던 공공언어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여 한국 체류 이주민을 위한공공언어의 진단을 시도해 보는 것이다.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영어, 중국어및 일부 언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국어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한국에서 이주민으로서 겪는 정보 부족의 어려움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주민들이 대한민국에서 초기 정착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접하게 되는 사회통합정보망사회통합프로그램 페이지의 공공언어를 진단하였다. 먼저 기술적인 용어 또는 표현, 거의 쓰이지 않는 단어 또는 표현, 어색한 표현을 기준으로 사회정보망 사회통합프로그램 페이지를 분석하였을 때, 이주민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법률 용어가 많았으며 어려운 문어체 표현과 주어와 서술어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문장, 번역투 문장, 외래어표현도 눈에 띄었다. 다음으로 388개의 어휘를 분석한 결과 초급 어휘가 18.81%였고, 중급에 해당하는 어휘가 43.04%로 가장 높았으며 고급은 21.65%에 달했다. 중급 이상의 어휘가 64.69%를 차지하고 있어 초급 수준의 이주민들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기가 힘들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주민 또한 엄연한 대한민국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알 권리’와 ‘평등권’을 보장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앞으로 공공언어 개선 및 정책을 논의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공공언어의 개선에 있어서 이주민의 입장 또한 고려하여 이주민의 정보 접근성이 제고될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discussion on public language, which has been made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purifying the Korean language for the Korean language-speaking people, and to attempt to diagnose public language for immigrants staying in Korea. Considering that information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is in Korean except for English, Chinese, and some languages, it is easy to guess the difficulty of lack of information as migrants in Korea. In this study, the public language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page of the social integration information network that migrants encounter for their initial settlement in Korea was diagnosed. First, when analyzing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page based on technical terms or expressions, rarely used words or expressions, and awkward expressions, there were many legal terms that were difficult for migrants to understand, and there was no match between difficult literary expressions and subjects and predicates. Sentences, translation-to-sentences, and foreign language expressions were also noticeable.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388 vocabulary, beginner vocabulary took up 18.81%, intermediate vocabulary took up the highest at 43.04%, and advanced took up 21.65%. Intermediate or higher vocabulary accounts for 64.69% of the time, suggesting that it will be difficult for migrants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level to get information from the site without the help of others. However, migra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discussing public language improvement and policies in the future, as they are subject to the guaranteed “right to know” and “right to equality”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migrants’ access to information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migrants’ positions in improving public languages.

      • KCI등재

        Effect of Changes in Watershed Runoff Characteristics on Salinity Intrusion in Estuary Using EFDC

        안정민,이경수,류시완 대한토목학회 2020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4 No.1

        For the stable securing of water resources for farming and residential purposes, the embankment, preventing the tidal action and intrusion of seawater into the river,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mouth of many major rivers in Korea. The Seomjin River is one of the major rivers without embankment in their mouth and had been famous for the biodiversity and overall environmental health. However, the brackish water zone in the Seomjin River has been gradually extending upstream due to the factors such as extracting aggregate and dredging in the channel, reclamation of the river mouth, and the depletion of runoff discharge from watershed. The saltwater intrusion extended upstream has resulted in the problems such as abrupt changes in ecosystem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ver the brackish water areas. In this study, the extent of salinity intrusion has been estimated with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model for the total reach of the Seomjin River with the length of 78 km (from Gurye Gauging Station to Yeosu Tide Station, including the endpoint of the Seomjin River). The antecedent rainfall events has been applied to the established model for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model. In order to consider the effect of the dam construction and resulting changes in runoff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the flow duration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cases of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Juam Dam.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struction of dam and conveying water over the basins result in the depletion of the streamflow, and the depletion of discharge from watershed extend the range of salinity intrusion about 1 km upstream.

      • KCI등재

        뮤지컬을 활용한 한국어 담화 교육 방안 연구

        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3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using musical play as materials for discourse teaching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iscourse competence is difficult to obtain from general Korean textbooks. Traditional textbooks rare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Korean discourse. However the use of literature especially Musical plays offers many advantages for teaching Korean discourse socio-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It also satisfies a variety of learner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multiple intelligence. This study attempts to present the criteria required to select specific musical plays when teaching Korean using musical plays, and to present a model of Korean discourse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shows how discourse education through musical plays can be actualized by presenting the lesson plan for teaching the hearer honorific system in terms of discourse. 이 연구는 뮤지컬을 활용하여 외국인들에게 한국어 담화를 교육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 논문이다. 한국어 담화의 실제적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교육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뮤지컬이 한국어 담화 교육에 어떠한 효용성이 있는지 담화의 언어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실제 작품의 예를 통하여 보였다. 또한, 뮤지컬은 외국인들에게 최근 크게 주목받는 예술 장르이며, 종합 예술의 특징 덕분에 학습자들의 다양한 학습 전략과 다중 지능에 맞는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고에서는 뮤지컬을 활용하여 한국어 담화 교육을 할 때, 뮤지컬을 선정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고, 뮤지컬을 활용한 한국어 담화 교육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하기 어려운 요소로 꼽히는 상대 높임법을 교육 목표로 하여 뮤지컬을 통한 담화 교육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고, 교사는 어떠한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지 그 예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찰의 정보수집 활동과 개괄적 수권조항 비판

        안정민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가천법학 Vol.9 No.3

        경찰이 수집하는 정보에 대한 인권침해적 요소가 발견되면서 경찰의 정보수집과 처리에 대한 법적인 관심도 급격하게 높아졌다. 이 때문에 현재 경찰의 정보활동은 법률유보의 원칙에 따라 직무규정 뿐만 아니라 최소한 개괄적 수권조항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경찰작용의 법 적근거로서 개괄적 수권조항을 찾으려는 시도는 경찰활동을 직무규범과 권한규범으로의 이원화하려는 독일 경찰법적 사고에서 비롯되고 있다. 원래 법률의 유보는 단순한 법적인 근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작용에 대한 한계를 규정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한 점 에서 법률유보의 원칙은 경찰작용의 한계를 명확히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개괄적 수권조항은 법적근거만을 제시할 수 있는 추상적인 규정이라는 점에서 법률유보의 원칙이 요구하는 경찰작용의 한계를 충분 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기존의 해석론은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이 개인의 기본권을 침해하는가에 따라 나중에 경찰관 직무집행법 제2조 제 4호를 법적근거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법적안정성을 위험하게 만들 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경찰의 정보활동에 대한 법적 근거와 한계를 도 출하기 위해서는 경찰관 직무집행법 제2조 제4호의 법적근거와 개인정보 보호법 제3조, 제15조 제1항 및 제16조상의 법적 한계가 결합되어 적용 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새로운 해석방법은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이 개인 의 기본권의 침해여부가 불명확할 경우에도 명확한 법적인 근거를 제시 할 뿐만 아니라 나중에 침해적 행위로 밝혀진 경우에도 법적인 근거와 한계를 제시함으로써 법률유보의 원칙을 위배하지 않게 된다. Police collect information that is required for policing purposes. As more human right violations were reported due to police intelligence collection process, attention has been drawn to its legal basis for police intelligence gather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different way of interpreting legal provisions which not only provide a clear legal basis when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but also set legal boundaries of police action. In an attempt to find resonable legal basis for police information collection activities, scholars have relied on German legal theories of general clause . Under the German law, there are authority provision which empowers police to conduct certain act therefore grant authority, and duty provision which defines the scope of polices duties. The prevailing views interpretate Korean Police Law within the scope of German legal theory and claim that for the police to collect information that threatens privacy, there should be a authority provision or at least a general clause which provide legal basis for police intelligence activiti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which governs Korean legal system requires not only the perfunctory legal basis but more importantly the legal limitation of police power that exercise authority over people. So this paper argues that the general clauses might provide legal basis but it is not sufficient to set boundaries, and therefore a new method of interpretation is required.

      • KCI등재

        소셜미디어 기반 e-포트폴리오 활용수업에 대한 학습경험 분석

        안정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for understanding learners’ experience on e-Portfolio learning using social media. Participants were 187 students who experienced e-Portfolio learning using social media. The grounded data are the field notes of the researcher, the essay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73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of categorizing grounded data. Second, w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learning experience based on the paradigm model of Strauss and Corbin(1990). Third, we presented a story line and derived a core category. Finally, we developed a process model for the learning experience. The process model of ‘Discovering the Authority for Learning’ consists of four stages. In the ‘chaotic stage’, participants experience anticipation and resistance in the face of new learning method. The ‘ambivalent perception stage’ is a phase in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 two-dimensional perception in the process of e-Portfolio execution and data sharing through social media. In the stage of ‘recognition of the authority of learning’, the ambivalent perceptions are balanced and integrated. In the ‘change and discovery stage’, participants recognize the chang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iscover meaning of learning. We discussed the phenomenon of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focusing on the process model, and proposed a practical strategies to effectively implement e-Portfolio learning using social media.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 기반 e-포트폴리오 활용수업에서 학습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학습경험의 개념과 범주를 밝히고 학습경험을 구조적, 과정적 측면에서 통합적으 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 학기동안 소셜미디어 기반 e-포트폴리오 활용수업을 경험한 187명의 학습자들이다. 연구자의 현장노트, 참여자들의 e-포트폴리오 산출물과 수업에세이, 초점집단 면접자료 분석을 통해 근거자료를 범주화 하였고 패러다임 모형을 기반으로 학습경험 구조분석, 스토리라인 및 핵심범주 도출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학습경험 과정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근거자료의 범주화 단계에서 73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들이 도출되었으며 학습경험 구조분석 결과, 인과적 조건(긍정적 기대감, 수업저항감), 맥락적 조건(강요된 순응, 수업활동 장애요소 인식, 과제부담 통제욕구, 타인의 관점 통제욕구), 중심현상(버거움, 유연한 수행, 공유자료의 적극적 활용, 자료공개에 대한 내적갈등), 작용/상호작용 전략(학습방식 수용 및 적응, 주도적 학습전략 시도, 참여적 태도로의 전향), 결과(학습성취감, 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학습의 의미 발견)로 구조화되었다. 스토리라인을 통해 ‘학습에 대한 주도적 권한 발견하기’라는 핵심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학습경험 과정모형이 개발되었다. 학습초기 새로운 수업방식에 당면한 참여자들은 ‘혼돈단계’를 거쳐 학습중반 포트폴리오 수행과 소셜미디어의 공유 측면에서 ‘양가적 인식’을 경험한다. 학습후반 참여자들의 양가적 인식은 균형과 통합을 이루며 ‘학습의 주도적 권한 인식 단계’를 거쳐 이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의 의미를 발견하는 ‘변화와 발견 단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경험 과정모형을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논의하였으며 소셜미디어 기반 e-포트폴리오 활용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실천적 교수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