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센서 측정기와 회로형 순환 유닛(GRU)을 이용한 실내 공기 품질 측정 및 추세 예측 시스템

        안재현,신동일,김규호,양지훈,Ahn, Jaehyun,Shin, Dongil,Kim, Kyuho,Yang, Jih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6 No.9

        실내 공기 품질 측정은 측정 대상 공간의 대기 상태 유지, 외부 변인으로 인한 대기 이상 현상을 검출하려는 방법이다. 실내 공기 품질을 주기적으로 기록하면서 변인에 따른 공기 변화에 특정 패턴이 발생함을 관측할 수 있었으나,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계수를 찾아 나가기엔 파라미터의 개수나 그 영향력을 추산하기 어렵고 결과가 시간에 의존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이것을 공식화하는 대신, 측정 주기마다 추이를 예측하는 관측치 중심의 기계 학습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은 실내 대기 품질을 주기적으로 전송 및 저장하는 측정기의 기록 데이터로 공기 품질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설명하고 시계열 분석 모델을 구축한다. Indoor air quality analysis is conducted to understand abnormal atmospheric phenomena and the external factor affecting indoor air quality. By recording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s periodically, we are able to observe patterns in air quality. However, it difficult to predict the number of potential parameters, set parameters for a given observation and find the coefficients. Moreover, the results are time-dependent. Thus to address these issues, we introduce a microchip capable of periodically recording indoor air quality and a model that estimates atmospheric changes based on time series data.

      • PEF와 입사제안 수용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직매력도의 매개역할 : 강소기업의 채용선발 장면을 중심으로

        안재현(Jaehyun Ahn),이선옥(Sunok Lee)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18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0 No.2

        본 연구는 강소기업의 선발 및 채용 장면에서 대졸 구직자가 지각한 개인-환경 적합성(POF: person-organization fit)의 하위요소인 개인조직, 직무능력 및 욕구 적합도와 입사제안 수용 의도와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조직매력도의 매개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다. 만약 대졸 취업준비생들이 중소기업이라 할지라도 조직, 직무(욕구), 직무(능력) 적합성 인식을 촉진시킬 수 있다면, 이는 중소기업에 대한 조직매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입사제안을 수용함은 물론, 향후 원활한 조직사회화 및 직무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환경 적합성을 세 가지 차원으로 세분화시켰으며, 각 하위요소들이 조직매력도(organizational attraction)와 입사제안 수용의도(intentions to accept job offer)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개인-환경 적합성은 크게 조직과의 적합성(POF: person-organization fit), 직무와의 적합성(PJF: person-job fit)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을 다시 ‘욕구(needs-supplies fit)와 능력(demands-abilities fit)’으로 구분하였다. 190명의 응답자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조직매력도가 개인-환경 적합성의 하위요소와 입사제안 수용의도 간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세 가지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실증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att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er’s perceived person-environment fit and acceptance of job offers, focusing on small giant firm’s recruiting and selection scene. If the applicants are able to promote the perceived organization and job fit even if they are small giant firm, this positively affects the organizational attrac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effective socialization and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is study divides person-environment fit into three factors, and the effect of each sub-factors on organizational attraction and intentions to accept job offer. PEF is divided into P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PJF (person-job needs supplies and demand abilities fit). The three hypotheses that the organizational attraction’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person-environment fit and intentions to accept job offer suggests that the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190 respondent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가뭄심도 분류기준의 개선방안 제시

        권진주,안재현,김태웅,Kwon, Jinjoo,Ahn, Jaehyun,Kim, Taewoong 한국수자원학회 2013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6 No.2

        가뭄은 불가피성과 반복성을 가진 자연 현상이므로 가뭄 발생 전 사전대비계획과 가뭄발생시 가뭄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그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의 가뭄심도를 평가하여 가뭄상황에 대처하고자 우리나라에 적합한 가뭄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관측년수 30년 이상의 강우자료를 확보한 61개 지점에 대해 1973년부터 37년 기간의 월강우량 자료를 사용하였고, 현재 국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뭄상황단계를 그대로 적용하여 가뭄 구간을 총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기존의 주요 가뭄발생현황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가뭄심도의 분류기준을 가뭄 발생의 누가확률 98~100%는 예외적인 가뭄, 94-98%는 극심 가뭄, 90~94%는 심한 가뭄, 86~90%는 보통 가뭄으로 구분하였다. 각 지점의 가뭄지수(SPI, PDSI)를 내림차순으로 작성하여 가뭄심도 분류기준에 맞는 가뭄지수의 정량적 값을 산정하였다. SPI와 PDSI의 가뭄심도 분류 결과와 실제 가뭄을 비교하기 위해 년 단위 비교와 월 단위 비교를 분석한 결과, 년 단위 비교와 SPI의 월 단위 비교는 각 지역의 가뭄지수 평가가 대부분 일치하게 나타났으나 같은 기간의 PDSI의 월 단위 비교는 일치하지 않는 기간도 나타났다. 이는 이들 지수의 상호보완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s drought is phenomenon of nature with unavoidability and repeated characteristic, it is necessary to plan to respond to it in advance and construct drought management system to minimize its damage. This study suggested standard for classification of drought, which is appropriate for our nation to respond to drought by assessing drought severity in the regions for this study. For data collection, 61 locations were selected - the locations keep precipitation data over 30 years of observation. And data for monthly precipitation for 37 years from 1973 were used. Based on this, this study classified unified drought interval into four levels using drought situation phases which are used in government. For standard for class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fit to our nation, status of main drought was referred and these are classified based on accumulated probability of drought - 98~100% Exceptional Drought, 94~98% Extreme Drought, 90~94% Severe Drought, 86~90% Moderate Drought. Drought index (SPI, PDSI) was made in descending order and quantitative value of drought index fit to standard of classification for drought severity was calculated. To compare classification results of drought severity of SPI and PDSI with actual drought, comparison by year and month unit were analyzed. As a result, in comparison by year and comparison by month unit of SPI, drought index of each location was mostly identical each other between actual records and analyzed value. But in comparison by month unit of PDSI for same period, actual records did not correspond to analyzed values. This means that further study about mutual supplement for these indexes is necessary.

      • KCI등재

        Copulas 기반의 결합가뭄지수를 이용한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 곡선의 적용

        류정수,안재현,김상단,Ryu, Jung Su,Ahn, Jaehyun,Kim, Sangdan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10

        본 연구에서는 copulas 기반의 결합가뭄지수를 적용한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곡선을 작성하여 가뭄의 시공간적 거동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전국 60개 지점의 기상청 월강수량자료로부터 JDI를 산정한후, 이를 다시 EOF와 Kriging 기법을 이용하여 $10{\times}10$ km의 공간적 해상도를 가진 JDI 값으로 할당하였다. 격자기반의 JDIs를 가뭄의 지속기간별 영향면적별로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가뭄 사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JDI-SAD 곡선을 작성하였다. JDI-SAD 곡선을 통하여 과거에 발생한 가뭄 사상을 시공간적으로 특성화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가뭄 상황에 대한 정확한 영향평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drought Severity-affected Area-drought Duration (SAD) curves a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emporal and spatial behavior of drought. A copulas-based joint drought index which is studied recently is applied to express the severity of drought. JDIs across the country with 60 points are calculated monthly basis, and using EOF and Kriging techniques, locational JDIs are spatially extended into gridbased JDIs with spatial resolution of $10{\times}10$ km. JDIs by lattice is analyzed by drought duration and by affected area, and JDI-based SAD curves are created to represent Korean historical drought events. Though created curves, drought events that occurred in the past in our country can be spatially and temporally characterized. In addition, curv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termine the exact situation on the current drought condition have an impact to some extent.

      • KCI등재

        상수도관망 재난관리 및 복구를 위한 데이터기반 이상탐지 방법론 개발

        정동휘,안재현,Jung, Donghwi,Ahn, Jaehyun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8

        상수도관의 파열은 과도한 압력, 노후화, 온도변화 나 지진 등에 의한 지반이동에 의해 발생한다. 상수도관 파열이 대규모 단수, 싱크홀 등과 같은 더 심각한 피해 이어지지 않도록 신속하게 탐지 및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관 파열 탐지를 위해 개선 Western Electric Company (WECO)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선 WECO 방법은 통계적공정관리기법 중 하나인 기존 WECO 방법에 임계치 조정자(w)를 추가하여 대상 네트워크에 적합한 이상탐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개발된 개선 WECO 방법을 미국 텍사스 오스틴 관망에 적용 및 검증하였다. 상수도관 파열 발생 시 측정한 비정상데이터와 수요량 변동만 고려한 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 및 개선 WECO 방법을 비교하였다. 최적 임계치 조정자 w값을 결정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계측시간 간격 데이터(dt = 5, 10, 15분 등)의 영향도 분석하였다. 각 경우 별 탐지성능은 탐지확률, 오경보확률, 평균탐지시간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WECO 방법을 실제 상수도관 파열 탐지에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Water distribution system (WDS) pipe bursts are caused from excessive pressure, pipe aging, and ground shift from temperature change and earthquake. Prompt detection of and response to the failure event help prevent large-scale service interruption and catastrophic sinkhole generation. To that end, this study proposes a improved Western Electric Company (WECO) method to improve the detectio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original WECO method. The original WECO method is an univariate Statistical Process Control (SPC) technique used for identifying any non-random patterns in system output data. The improved WECO method multiples a threshold modifier (w) to each threshold of WECO sub-rules in order to control the sensitivity of anomaly detection in a water distribution network of interest. The Austin network was used to demonstrated the proposed method in which normal random and abnormal pipe flow data were generated. The best w value was identified from a sensitivity analysis, and the impact of measurement frequency (dt = 5, 10, 15 min etc.) was also investigated. The proposed method was compared to the original WECO method with respect to detection probability, false alarm rate, and averaged detection time. Finally, this study provides a set of guidelines on the use of the WECO method for real-life WDS pipe burst detection.

      • KCI등재

        위성자료를 활용한 미계측유역의 홍수피해액 추산기법 개발 및 적용

        염웅선,박동혁,안재현,Yeom, Woong-Sun,Park, Dong-Hyeok,Ahn, Jaehyun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12

        Economic analysis is a basic step in establishing disaster mitigation measures, but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results due to uncertainty. Therefore, the scope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is wid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amount of damage caused by flooding because the collection of relevant data is limited in the ungauged basin. In this study, distributed runoff analysis and flooding analysis were performed, and a method of estimating the amount of flood damage in the ungauged basin was proposed using collectible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and flood analysis results. For distributed runoff analysis and flooding analysis,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and G2D (Grid based 2-Dimensional land surface flood mode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were used. The method of substituting collectible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into the simple method and improvement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amount of flood damag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estimate the amount of flood damage using satellite data and social and economic indicators in the ungauged basin.

      • KCI등재

        자연용수공급지역에서 가뭄상황판단을 위한 실시간가뭄지수

        심현준,류정수,안재현,김정숙,김상단,Sim,Hyun-Jun,Ryu,Jung Su,Ahn,Jaehyun,Kim,Jeongsuk,Kim,Sangdan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5

        가뭄은 인위적인 용수공급 시스템이 잘 갖추어진 도시지역보다는 아직까지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비도시지역에서 더 빈번하게 느껴지며, 또한 가뭄은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에서 가장 먼저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일 단위로 실제 가뭄상황을 판단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가뭄지수가 제안된다. 제안된 가뭄지수는 표준강수지수, 용수공급량 및 수요량의 실시간 자료를 활용하여 시/군/구 단위로 산정된다. 1980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164개 시/군을 대상으로 제안된 가뭄지수를 산정한 결과, 과거 주요 가뭄사상을 비교적 잘 재현하고 있음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가뭄지수가 인위적인 용수공급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은 지역을 대상으로 실제 가뭄상황을 판단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rought occurs more frequently in non-urban area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are not well equipped than in urban area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are well equipped, and occurs the first in such non-urban communities. In this study a drought index which can be applied to determine actual drought conditions on a daily basis at a region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are not well equipped is proposed. The proposed drought index is calculated on a basic local government basis using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the real-time available amount of water supply and water demand. It is applied at 164 basic local government regions during the period from 1980 to 2012.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index can reproduce well major historical drought events. Hence, the drought index propos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well applied for determining real-time drought conditions in communities where artificial water supply systems are not well equipped.

      • KCI등재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가뭄평가 - 보령지역을 중심으로 -

        정진홍,박동혁,안재현,Jung, Jinhong,Park, Dong-Hyeok,Ahn, Jaehyun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12

        Drought is caused by a combination of various hydrological or meteorological factor, so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ssess drought event, but various drought indices have been developed to interpret them quantitatively. However, the drought indexes currently being used are calculated from the lack of a single variable, which is a problem that does not accurately determine the drought event caused by complex causes. Shortage of a single variable may not be a drought, but it is judged to be a drought.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developing indices using unstructured data, which is widely used in big data analysis, is being carried out in other fields and proven to be superior.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calculate the drought index by combining unstructured data (news data) with weather and hydrologic information (rainfall and dam inflow) that are being used for the existing drought index, and to evaluate the utilization of drought interpretation through verification of the calculated drought index. The Clayton Copula function was used to calculate the joint drought index, and the parameter estimation was used by the calibration metho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drought index, which combines unstructured data, properly expresses the drought period compared to the existing drought index (SPI, SDI). In addition, ROC scores were calculated higher than existing drought indices, making them more useful in drought interpretation. The joint drought index calculated in this study is considered highly useful in that it complements the analytical limits of the existing single variable drought index and provides excellent utilization of the drought index using unstructured data.

      • KCI등재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유출변화에 따른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 평가

        어규,이찬희,심우배,안재현,Eo, Gyu,Lee, Chan Hee,Sim, Ou Bae,Ahn, Jaehyun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4

        기후변화 영향으로 미래의 유출량은 변화할 것이다. 미래 유출량의 변화는 수자원시설에 유입량을 변화시켜 발전량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유출변화에 따른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을 평가하였다. 수자원시설에 대한 발전량은 물의 에너지에 의해 수차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력을 발생시킨다. 즉, 물의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고 운동에너지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평가 결과,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은 현재보다 2011년부터 2040년까지 감소하였고, 2041년부터 2100년까지는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 북한 수자원시설의 발전량은 미래에 감소하거나 현재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신규 북한 수자원시설의 발전량은 단기적으로는 감소하지만, 중장기 미래에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북한 수자원시설은 기후변화 영향에 취약하고, 신규 북한 수자원시설은 기후변화 영향에 유리하게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runoff will be changed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and this phenomenon affects the flood inflow to Water Resources Facilities (WRF) and its production.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of WRF in North Korea as climate change. The WRF can produce the electric power by rotating the hydraulic turbine using the energy of water. In other words, it converts the potential energy to the kinetic energy, then the kinetic energy to the electric energ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WRF in North Korea decreased from 2011 to 2040, and increased from 2041 to 2100, comparing with present. In other words, the productivity will decrease at first (2011~2040) but increase (2041~2100). It is because there will be new facilities for climate change, and the capacities of them will be getting far better than the existing facilities. The existing North Korean WRFs are vulnerabl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it is judged that the new North Korean WRFs are advantageously located in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