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 시기의 교육격차 실태 분석: 서울시 중학생을 중심으로

        안영은,이호준,이해니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원격수업과 등교수업이 병행했던 코로나19 시기에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결과 측면에서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가 발생하였는지 그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정책연구소에서 주관하여 2021년에 수집된 『서울교육종단연구 2020』 1차년도 중학생 자료(data)를 활용하여 가정배경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 실태분석 결과를 해석하고자 서울시 교원 및 교육전문직을 대상으로 FGI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시기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 발생한 격차를 살펴본 결과, 가정돌봄 측면에서 가정배경에 따른 차이가 컸던 것으로 밝혀졌다. FGI 참여자들은 가정배경에 따라 학생의 관리․지원 정도에 차이가 크고,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은 혼자 방치된 시간이 길어 디지털 기기 활용 시간이 다른 집단보다 긴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부모교육 강화, 가정 내 디지털 기기 활용 시간을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흥미로운 학습 컨텐츠 개발 등이 그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둘째, 코로나19 시기 교육의 ‘결과’ 측면에서 격차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인지적 성취뿐 아니라 사회, 정서와 같은 비인지적 측면에서도 가정배경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FGI 참여자들은 저소득층 학생의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핀셋 지원’이 부족한 점, 기존 교육격차 해소 정책의 모니터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점 등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이 같은 교육결과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학생 맞춤형 교육을 통한 공교육 내 핀셋 지원 제공, 기존 교육격차 정책 간 유기적 통합 및 촘촘한 모니터링 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활용한 토마토 풋마름병 증상 분석

        안영은,홍규현,이관호,우영회,조명철,이준구,황인덕,안율균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8 No.3

        Bacterial wilt caused by Ralstonia solanacearum is a major disease that affects tomato plants widely. R. solanacearum is a soil born pathogen which limits the disease control measures. Therefore, breeding of resistant tomato variety to this disease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susceptible variety, degree of disease resistance has to be determined. In this study, micro sap flow sensor is used for accurate prediction of resistant degree. The sensor is designed to measure sap flow and water use in stems of plants. Using this sensor, the susceptibility to bacterial wilt disease can be identified two to three days prior to the onsite of symptoms after innoculation of R. solanacearum. Thus, this find of diagnosis approach can be utilized for the early detection of bacterial wilt disease. 본 연구는 토마토의 풋마름병 감염 여부를 더 빠르게예측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위해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풋마름 병원균을접종한 토마토에서 풋마름병에 감염되어 증상을 보이기까지의 식물체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하였다. 토마토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했을 때 육안으로 보이는풋마름 증상이 나타나기 약 2 내지 3일 전부터 풋마름병에 감염된 토마토의 양수분 이동 속도가 감염되지 않은 토마토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 결과는 생물검정과 생육조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을 볼 수있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식물 생체정보 센서를 이용하여 식물의 양수분 이동 속도를 측정함으로써풋마름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 유형에 따른 대졸자의 전공만족도 분석

        안영은,김승정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creening in college admission and major satisfaction. Admission Officer System(AOS) and Regular admission which differ from the operating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analyzed in comparison.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used 5,963 cases of『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5』. The data was analyzed with chi-square verification, Ordinally Least Squares(OL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for the estim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AOS were assessed on various factors, and there tended to choose their major considering their interest in majors rather than test scores. Second, graduates with AO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 of major satisfaction in comparison to graduates with regular Admission. Third, the influence of the OLS on both male and fema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idered the control variables, the basis for the selection of majors(interests/grades) and the school type variabl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OS has a positive effect on graduate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compared to regular admiss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selection of students who consider not only their grades but also their interests and aptitude in major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future adaptation to majors and career development. 이 연구는 대학입학전형과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운영 주체와 전형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는 정시 일반전형과 입학사정관 전형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대졸자 직업 이동경로조사(GOMS) 2015』의 자료를 활용하여 경향점수매칭법(PSM)으로 입학사정관전형 학생과 정시전형 학생 간 사전 동등성을 확보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전공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요 입시요소와 전공선택요인 분석에서 입학사정관 전형 학생들은 정시 일반전형 입학생에 비하여 더 다양한 요소에 의해 평가받는다고 인지하였다. 전공 선택 요인은 시험 성적보다는 전공에 대한 흥미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사례가 많았다. 둘째,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전공만족도 분석 결과,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정시전형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전공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성별 집단에 따라 추가 분석하였을 때 남녀 집단 모두 입학사정관제의 영향력은 유의하였으며, 통제변수 중 전공 선택 근거(흥미적성/성적), 학교유형 변수에 있어 남녀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정시 일반전형 대비 졸업자의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며, 입학 전형 방법에 따라 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생 선발 과정에서 성적뿐만 아니라 전공에 대한 흥미와 적성 등 다양한 요소가 고려될 때, 대학 입학 후 학생의 학과 적응 및 진로 개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국의 언어문자정책의 두 가지 중요 논제

        안영은 한국중국문화학회 2012 中國學論叢 Vol.36 No.-

        중국은 56개의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다. 중국 인구구성의 대부분을 차 지하는 한족을 제외한 55개 소수민족 중 회족과 만주족이 중국어를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53개 민족이 80여 개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렇듯 다민족 국가인 중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이후 언어와 문자를 통일시킴 으로써 하나의 국가를 이루는 것을 언어문자정책의 근본적인 목표로 삼았다. 당 시 국가적으로 시행한 대표적인 언어문자정책에는 간체자 방안과 이체자 정리 방안 그리고 표준 중국어 보급 정책 등이 있다. 이것은 곧 언어문자의 규범화와 표준화를 위한 실천방안이라 하겠다. 표준 중국어 보급정책이 언어적 측면에서 가장 시급한 정책이었다면, 문자정책으로서는 간체자 방안과 이체자 정리방안이 비교적 시급한 정책이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베이징 올림픽과 중국 문화코드

        안영은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3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1

        This article is neither to extract the culture code that has been latent from the beginning to today’s China nor to suggest a methodology to extract the culture code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article is, through Beijing Olympics which is a media event, to understand how their culture code has been symbolized and displayed. However, the discussion is meaningful because the Beijing Olympics is not just an international sports event but an opportunity to reveal the national identify from a political and social viewpoint, directly related to the economic benefit of the host country and city, show the glory of 5000 years of Chinese history with spectacle and also leave impression of China’s today and future to the world. 이 글은 중국의 원류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잠재되어 온 그들의 문화코드를 추출하기 위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실용적인 측면에서 문화코드 추출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이 글은 소위 미디어 이벤트라고 할 수 있는 베이징 올림픽을 통해서 그들의 문화코드가 어떤 방식으로 기호화되어 전시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할 따름이다. 그러나 베이징 올림픽이라는 그 대상이 지니는 의미가 단순한 국제 스포츠 행사의 의미를 넘어서 정치적 사회적 측면에서 국가 정체성을 드러내고, 또 올림픽 개최국과 개최 도시의 경제적 이익과 직결 될 뿐 아니라, 중국에게는 5000년 역사의 영광을 스펙터클하게 재연하는 기회이자 현재적 중국과 미래의 중국을 세계 속에 각인시키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검토는 매우 중요하다. 물론 이러한 연구가 상대국의 문화코드에 맞는 문화상품을 제작하여 유통해야하는 문화시장의 입장에서 요구되는 문화코드 도출의 구체적 방법론 제시에는 취약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머지않아 평창 동계 올림픽을 통해 글로벌한 맥락에서 국가의 지향점을 어떻게 문화적으로 표현해야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시점에서 이러한 검토는 나름의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90년대 문화현상 <아제구(阿姐鼓)> 初探

        안영은 중국학연구회 2009 中國學硏究 Vol.- No.50

        90年代在中国发生了各种各样的文化现象,其中在大众文化,特别是在大众方面刮起了一股<阿姐鼓热>。本论文以<阿姐鼓热>为中心来探讨<阿姐鼓>生产方式与消费方式。本论文把<阿姐鼓热>放在80年代形成的新潮音乐发展之上。就是说<阿姐鼓>不是1995年突然发生的文化现象,而是80年代中期形成的新潮音乐之连续。 由何训天作曲,朱哲琴主唱的<阿姐鼓>,在西藏文化传统中是一面人皮鼓,一面以纯洁少女的祭神鼓,是已被废除的西藏宗教传统,没人不敢提起的对象。但在1995年,何训天把它放在90年代时代的脉络上。那作曲家如何把已被废除的对象再拿到现代中国? 由于原本之残酷性已无存在的<阿姐鼓>怎样再构成?而且<阿姐股>用什么样的方式来把它进入到世界市场里。文论文以以上的内容为主要内容。

      • KCI등재

        '어떤 곳’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 단편영화 <버터램프(Butter Lamp)>에 대한 단상

        안영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8 中國硏究 Vol.77 No.-

        Tiananmen Pavilion, Great Wall, Potala Palace, Chinese traditional living room, Olympic Main Stadium and Disneyland are all full of ideology. People dressed in traditional Tibetan costume gather at ‘someplace' and take pictures in front of a large screen printed with Tiananmen Pavilion, Great Wall, and Potala Palace. The strange tension created between a place with rich ideological colors and the Tibetan nomads stimulates the imagination of ‘someplace'. Eventually, these elements are recognized as a dispersed "force" to reveal a huge space ‘someplace' in the film ending scene. These places such as Tiananmen, Great Wall, and Potala Palace have a form of eternity make time or culture cumulate in any privileged space. These places, which have become a background for Tibetans to photograph are also places where all the time, age, forms and tastes are represented. The awareness of this study on the short film <Butter Lamp>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what format does Hu-Wei talk about the reason for a specific object? Second, what kind of story do you tell through a specific format? Third, we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place' where the story begins and ‘a specific place' as the background of the central narrative, and try to grasp heterotopia characteristic as the opposing place. 이 연구는 단편영화 <버터램프(酥油燈, Butter Lamp)>(2013)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 연구의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우선, 무언가에 대한 사유를 위해서 감독인 후웨이(胡偉)는 어떠한 형식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는가? 둘째, 특정형식을 통해서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가? 셋째, 이야기가 시작되는 ‘어떤 곳’과 중심 서사의 배경으로서의 ‘특정 장소’와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대항 장소로서의 헤테로토피아적 특징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