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MG Classification 기반의 로봇의수 제어와 착용형 햅틱 디바이스 기반의 자기수용감각 피드백의 폐루프 통합시스템

        차형도,양승운,안시온,박상현,박석호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1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내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6

        Many currently robotic prosthetic hands are controlled based on electromyography (EMG) signals, and amputees use their visual feedback to recognize robotic prosthetic hand movements. However, controlling robotic prosthetic hand without vision makes high cognitive loads and is inaccurate. To solve the limitations, we propose a wearable haptic device for proprioceptive feedback with high DOF and introduce a rule-based feedback method. Also, through various experiments, the recognition accuracy of the wearable haptic device for proprioceptive feedback was evaluated on 10 types of grips. And, to recognize the user's intentions, a CNN model for EMG classification was learned with 6 channel EMG signals. Finally, a closed-loop integrated system is constructed using the proposed wearable haptic device, the robotic prosthetic hand, and the EMG classification. We also evaluate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integrated system through experiments on users.

      • KCI등재

        한국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의 수렴에 대한 연구

        최두열 ( Doo Yull Choi ),안시온 ( Sion An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4 財政政策論集 Vol.16 No.3

        본 연구는 한국의 15개 시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의 추이를 Phillips and Sul(2007)에 의해서 개발된 패널 수렴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시도별 1인당 GRDP의 동태적 수렴 현상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한국의 15개 시도별 1인당 GRDP는 전체적으로는 발산하고 있으나 그룹별로 보면 2개의 그룹별로 나뉘어 수렴하고 있다. 그 수렴하는 생산액 수준에 따라 상위 생산액 그룹으로서 서울, 충남, 전남, 경북, 울산 및 경남으로 구성된 제1그룹과 하위 생산액 그룹으로서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전북 및 제주 등 10개 시도로 구성된 제2그룹으로 나뉘어 그룹 내 구성원 시도들간에는 수렴하면서 그룹간에는 발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내 구성원 시도들간의 수렴 속도는 상위 생산액 수준의 제1그룹은 높지 않으나 생산액 수준이 낮은 제2그룹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2개의 수렴 그룹으로 나뉘는 요인에 대하여 지역별 물적 자본(1인당 누적 설비투자액)과 인적 자본(1인당 교육연수)을 설명 변수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인적 자본 보다는 물적 자본에 해당하는 지역별 1인당 누적 설비투자액 규모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존의 지역균형개발 전략하에서는 지역간 GRDP 격차는 확대될 것이므로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저소득 시도 그룹에 대하여 설비투자액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정책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 run convergence behavior of the per capita GRDP of 15 provinces of Korea, by using the Phillips and Sul (2007)``s newly developed log convergence test method.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15 provinces of Korea converge in tw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 capita GRDP. The 1st group is composed of 5 provinces - Seoul, Chungnam, Jeonam, Kyungbuk and Ulsan-Kyungnam and the 2nd group is composed of 10 provinces, such as Pusan, Daegu, Incheon,Kwangju, Daejeon, Kyunggi, Kangwon, Chungbuk, Jeonbuk and Jeju. About the speed of convergence among the member provinces within the group, the 2nd group has higher than the 1st group. By using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the main reason of this group convergence is analyzed as the difference among provinces in equipment investments(proxied by per capita cumulative investment) rather than the per capita human capital (proxied by years of schooling) in the region.

      • 한국의 지역별 소득 수렴에 대한 연구

        최두열(Doo Yull Choi),안시온(Si on A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4 No.1

        본 논문은 한국의 15개 시도별 1인당 국민 소득의 추이를 Phillips and Sul(2007)에 의해서 개발된 패널 수렴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시도별 1인당 국민소득의 동태적 수렴 현상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한국의 15개 시도별 1인당 소득은 전체적으로는 발산하고 있으나 그룹별로 보면 2개의 그룹별로 나뉘어 수렴하고 있다. 그 수렴하는 소득 수준에 따라 상위 소득 그룹으로서 서울 충남 전남 경북 울산 및 경남으로 구성된 제1그룹과 하위 소득 그룹으로서 부산 대구 인천 광주대전 경기 강원 충북 전북 제주 등 10 시도로 구성된 제2그룹으로 나뉘어 그룹 내 구성원 시도들끼리는 수렴하면서 그룹끼리는 발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내 구성원 시도들끼리의 수렴 속도는 상위 소득 수준의 제1그룹의 수렴 속도는 높지 않으나 소득 수준이 낮은 제2그룹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2개의 수렴그룹으로 나뉘는 주된 이유는 지역별 1인당 누적 설비투자액 규모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지역 균형 개발 전략하에서 지역간 소득 격차는 확대될 것이므로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하여는 저소득 시도 그룹에 대하여 설비투자액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다 근본적인 정책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ng run convergence behavior of the per capita GDP of 15 provinces of Korea, by using the Phillips and Sul (2007) s newly developed log t convergence test method.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the 15 provinces of Korea converge in tw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 capita GDP. The 1st group is composed of 5 provinces Seoul, Chungnam, Jeonam, Kyungbuk, Ulsan-Kyungnam and the 2nd group is composed of 10 provinces, such as Pusan, Daegu, Incheon, Kwangju, Daejeon, Kyunggi, Kangwon, Chungbuk, Jeonbuk, Jeju. About the speed of convergence among the member provinces within the group, the 2nd group has higher than the 1st group. By using multinomial logit regression, the main reason of this group convergence is analyzed as the difference among provinces in per capita cumulative investment in the region.

      • KCI등재

        대전,충남 가계부채의 현황과 소비에 대한 영향

        황진영 ( Jin Young Hwang ),이선호 ( Sun Ho Lee ),안시온 ( Si On An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6 財政政策論集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대전·충남 가계부채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기별·월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가계부채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대전과 충남의 가계부채는 다른 지역에 비해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최근 들어 그 증가율이 상승하고 있다는 데 주의할 필요성이 있다. 실증분석은 두 가지 형태의 자료, 즉 분기별 자료와 월별 자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2003∼2014년의 분기별 자료를 사용한 일련의 모형에서는 가계부채의 대리변수로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을 사용하며, 소비는 가계최종소비지출로 나타낸다. 또한 2007년 12월∼2015년 2월의 월별 자료를 이용한 일련의 모형에서는 예금취급기관(예금은행+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을 가계부채의 대리변수로, 그리고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를 소비의 대리변수로 사용한다. ARDL 한계검정법에 기초해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모형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대전의 예금취급기관의 기타대출이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친 사실을 제외하고는 모든 모형에서 장기와 단기의 구분 없이 가계부채는 소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대전·충남에서 가계부채가 소비를 통해 유도하는 생산이나 고용 증대효과는 미미하였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household debt in Daejeon and Chungnam and analyzes the impacts of household debt on consumption using time series data. Household debts of Daejeon and Chungnam are not relatively serious compared to other regions, we ar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rapidly rise of household debts in these regions. In this point, we use two types of empirical analysis that are using quarterly data from 2003 to 2014 and monthly data from December 2007 to February 2015. Based on the results of ARDL bounds test approach, household debt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s on consumption both long-run and short-run in all models. Exceptionally, the long-run impact of other loans of depository financial institution on the sales index at large retail stores is nega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aeje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ousehold debt does not induce the impacts increasing production and employment by increasing consumption in Daejeon and Chungn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