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신저 대화의 어말 위치에 나타나는 /ㅗ/의 /ㅜ/ 대치 양상 연구

        안미애 한국사회언어학회 2023 사회언어학 Vol.31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ealization of the /ㅜ/ replacement of /ㅗ/ observed at the end of words in the messenger conversation corpus(MCC), comparing it with the results from the “Seoul Corpus(SC; Yoon Y. K. 2020)”. In the "MCC", the frequency of /ㅜ/ replacement of /ㅗ/ was investigated in the following order: postposition, connection ending, and adverbs. Among these, adverbs exhibited the highest realization rate for the /ㅜ/ replacement. In contrast, connection ending and surveys in the SC showed similar frequencies (43.8%, 52.1%). The /ㅜ/ replacement rate for connection ending was found to be 43.8%, while for surveys and adverbs, it was 52.1% and 51.3%,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ㅜ/ replacement rate of /ㅗ/ was consistently high in all linguistic contexts in the "SC" However, the text-based "MCC" exhibited a lower realization rate for the /ㅜ/ replacement of /ㅗ/ compared with to the natural speech. This discrepancy is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text-based conversations, which incorporates phonetic notation consciousness reflecting linguistic norms and the phonetic preferences of the conversation participant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realization patterns of the /ㅜ/ replacement in different linguistic contexts, shedding light on the variations between text-based and natural speech corpora.

      • 담석증 환자에서의 ^(99m)Tc-DISIDA 간담도스캔의 소견 분석

        안미애,안봉수,신재규,김진환,이헌영,노흥규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6 충남의대잡지 Vol.23 No.1

        ^99mTc-DISIDA scan findings in 90 patients with gall bladder stone (GB ston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lications of GB stone retro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90 patients with GB stone, 48 cases had simple GB stone, 25 cases were complicated with acute cholecystitis, 8 cases with chronic cholecystitis and 9 cases with IHD and CBD stones. 2. The findings of ^99mTc-DISIDA scan were normal in 41 patients(46% ), nonvisualized GB in 39 patients(43%) and delayed intestinal excretion in 15 patients(17 % ). 3. Among the 15 cases with nonvisualized GB with other findings, 7 cases had delayed intestinal excretion, 5 cases had no intestinal excretion and 3 cases had decresed hepatic excretion. The above results mean that the ^99mTc-DISIDA scan with GB stone shows various findings according to the complications of stone.

      • KCI등재
      • 대구 지역 방언에 나타나는 접속구의 경계 성조 : 대화체와 낭독체의 비교

        안미애,Ahn, Mi-Ae 한국음성학회 2006 음성과학 Vol.13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onal structures of Korean conjunctive phrases produced by Daegu dialect speakers and show that there are distinctive intonational patterns between dialogic and reading styles. In the experiment, we examined the pitch contour at the edge of conjunctive phrases including '-ko', $'-(i)my{\partial}n'$, $'-(a){\partial}s{\partial}'$, '-(nin)de', '-do' in the base which is made a coordinate and subordinate conjunctive sentence according to the relation of pre-phrase and post-phr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 has L%, $'-(i)my{\partial}n'$ has LH%, $'-(a){\partial}s{\partial}'$ has HL% and '-(nin)de' has LH%, '-do' has LH% in Daegu Dialect. And the results show the conjunctive sentences were about 20% longer when they produced in a dialogic style than in a reading style. The dialogic style has various durations, the duration of the reading style is slower than the dialogic style by a rate of 20%. This suggests that the dialogic style is more dynamic than the reading style, which may be due to the communicative interaction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 KCI등재
      • KCI등재

        환자와 간호사가 인지한 간호서비스만족의 융복합적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안미애,권명진,오소영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는 환자와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서비스 만족의 융합적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서비스 만족도 를 향상시키려는 임상간호중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6년 8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입원환자 193명과 그 병동의 간호사 184명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 은 IBM SPSS verso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간호서비스의 질, 간 호서비스 만족이었다. 본 연구결과 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요인은 직업, 간호사의 의사사통 능력, 간호서비스 질이었고, 그 설명력은 78.5%이었다.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요인은 연 령, 간호사의 의사사통 능력, 간호서비스 질이었고, 그 설명력은 70.6%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서비스만족 을 위한 개별화된 중재 시 도움이 될 것이다. 간호서비스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서비스 질 향상과 함께 지속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입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verging factors influencing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from August 1 to October 15, 2016 and the study subjects were 193 patients and 184 nurses. The IBM SPSS version 23.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atients’ perception of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were occupation, the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ing service quality,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78.5%.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nurses’ perception of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were age, the nurse’s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ing service quality, with a total explanatory power of 70.6%.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individual treatment for satisfaction of nursing service. To improve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hat can enhance continuous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ing service quality.

      • KCI등재

        메신저 대화 말뭉치에서 나타나는 통용 방언형의 사용 양상 연구 - 서울 지역어 화자의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

        안미애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5

        이 연구는 <2021년 국립국어원의 맞춤법 교정 말뭉치> 사업의 결과물 중 메신저 대화 말뭉치를 대상으로, 지역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통용 방언형의 사용 양상에 대해 논의한 연구이다. 특히 언어 간의 접촉은 언어 간의 변이와 변화, 그리고 혼합을 가져온다는 기존의 사회 언어학적인 이론을 실제 자연 발화 메신저 대화 말뭉치에 나타나는 방언형의 사용 양상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메신저 말뭉치에서는 지역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방언형이 존재하였다. 또한 서울말 화자들만으로 구성된 대화에서도 서울 외 지역의 방언형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통용 방언’의 개념을 제안하였으며 이렇게 쓰인 어형을 ‘통용 방언형’으로 규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지역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방언인 ‘통용 방언’은 기존의 표준어에 기반한 기존의 사전 기술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동학 가사집 『개도해가(開道解歌)』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 표기와 음운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안미애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6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연구되지 못한 동학 가사집인 『개도해가』의 표기법과 음운론적 특징을 국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용담유사』와의 비교를 통해 『개도해가』의 동학 가사집으로서의 위상을 논의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개도해가』는 19세기 후기에서 20세기 전기 국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음에서는 ㅅ계 합용 병서가 주로 쓰였으며, 각자 병서로는 ㅆ만 나타난다. 중성에서는 삼중 모음이 제한적으로 나타나며, 종성 표기는 거의 7종성법을 따르고 있다. 어말 자음군 표기로 ㄹ과 ㅂ계열이 관찰된다. 모음 사이의 유기음 표기는 ㅂ/ㅅ+유기음의 중철 또는 ㅂ/ㅅ+ㅎ의 재음소화 표기가 일반적이다. 치찰음 뒤에서는 주로 j가 첨가된 이중 모음 표기가 특징적이며, ㅔ와 ㅐ, ㆎ와 ㅐ 표기는 일부 어휘를 제외하고는 일관된 표기 양상을 보인다. 이 외에도 『개도해가』에 나타나는 구개음화, 전설모음화, ㆍ의 변화된 표기 등은 『개도해가』가 19세기 후기에서 20세기 전기 국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용담유사』 계미판 및 계사판과의 제한된 비교 결과, 『개도해가』가 『계미판』, 『계사판』보다 구개음화가 더 실현되었으며, ㆍ가 덜 표기된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표기에 있어 차이가 있다. 그러나 『계미판』과 『계사판』은 내용과 표기에 있어 거의 유사하며, 『개도해가』는 이 두 판본보다 좀 더 근대 국어 표기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sider writing of 'Gaedohaega' and phonological features through Korean linguistic, also to discuss status of 'Gaedohaega' as collection of the poems of Donghak compare to 『Yongdamyusa』. 'Gaedohaega' has features of Korean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First, ㅅ-oneset clusters were mainly used for consonant. Triple vowel was restrictedly used for syllable nucleus. 7-final consonants are mainly used for syllable final. ㄹ-coda clusters and ㅂ-coda clusters appear in syllable final clusters. Aspirated consonant between the vowels is usually written in Jungcheol of ㅂ/ㅅ+aspirated consonant or rephonemicization of ㅂ/ㅅ+ㅎ. Also usually j is added in the vowel after sibilant so it appears as a diphthong. Above this, 'Gaedohaega' has features of Korean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such as palatalization, vowel fronting, and ㆍ.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tricted comparison with Gyemi-pan and Gyesa-pan in 『Yongdamyusa』, it is judged that palatalization has more realised, and ㆍ has less marked in 'Gaedohaega' than 『Gyemi-pan』 and 『Gyesa-pan』. Also it is more likely to write ㆎ as ㅐ in 'Gaedohaega' than Gyemi-pan and Gyesa-pan. But 『Gyemi-pan』 and 『Gyesa-pan』 are almost similar in content and writing. However, 'Gaedohaega' is more nearer to modern Korean writing than these two 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