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초신지(虞初新志)』와 조선후기 서사(敍事)의 상관성(相關性)

        안득용 ( Deuk Yong An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0

        Yu chu xin zhi was read devoutly in late Joseon Dynasty. But we didn’t study on the reason of devout reading, so this report researched the reason. And this report focused on a attitude of writing-compilation, subject, formation, style, motive, story-element, and object in Yuchuxinzhi. With the result, we know that contemporariness(近), true feeling(眞), and a vividness effect(活) are very important in attitude of writingcompilation of Yuchuxinzhi. First, contemporariness(近) is the attitude that concentrates on the contemporary environment. Second, true feeling (眞) is th attitude that includes social conditions, desires, and everyday lives. Third, vividness effect(活) is the attitude that seeks the vividness of true feeling and vivid writings. And then, I divided the narrative of late Joseon Dynasty into three parts, namely noting material narrative, characteristic narrative, and reflectional narrative. First, I studied on noting material narrative.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Yuchuxinzhi is similar to Lee Ok(李鈺)’s Baek woonpil(白雲筆) and Ryu Deuk-gong(柳得恭)’s Gowoondangpilgi(古芸堂筆記), and is also not similar to those books. On the contrary, Yu chu xin zhi is very similar to Kang Yi-cheon(姜彛天)’s Yihwagwanchonghwa(梨花館叢話) from every point of view. Second, I studied on characteristic narrative.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Yuchuxinzhi had an strong effect on Kim Chosoon(金祖淳) and Kim Ryeo(金려)’s Yuchuxinzhi. But they changed many features. Third, I studied on reflectional narrative.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Yuchuxinzhi also had an effect on Sim ro-soong(沈魯崇)’s hoesanggi(回想記). But the influence is limited to Sim, ro-soong. To conclude, the young writers in late Joseon Dynasty made new writing trend from Yuchuxinzhi and Ming,Ching’s culture on the late Joseon’s cultural foundation.

      • KCI등재

        柳夢寅 末年 散文의 樣式과 그 의미

        안득용,An. Deuk-yong 대동한문학회 2015 大東漢文學 Vol.43 No.-

        죽음이 눈앞에 있다는 절박한 상황 속에서 柳夢寅은 지난 삶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자신의 삶이 담고 있는 사실과 진실을 꾸밈없이 전하려고 했다. 이 때문에 末年의 散文에서 우리는 그의 민낯을 보게 된다. 본고에서 유몽인 말년 산문의 양식에 관심을 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본고에서는 말년의 산문을 살피기 전에 우선 이 시기 산문의 주요 대상인 승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유몽인은 승려를 비판적으로 인식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승려들의 청탁을 거절하기 힘든 상황이 었고, 贈序와 편지의 초점을 대상이 아니라 자신에게 돌려놓으면, 동시대 혹은 후대의 독자들에게 자신의 심경과 상황을 설명하고, 자신의 감정을 토로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승려들을 대상으로 글을 썼던 것이다. 이 글들은 크게 다음의 세 가지 樣式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첫 번째가 自己 解明과 自己 解說, 두 번째가 自負와 自嘲 및 出과 處의 갈등, 세 번째가 내면의 독백과 방백이다. 그 양상과 의미를 간략하게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몽인은 말년의 산문에서 오해받을 만한 행적을 해명하고 그 의미 가 모호하게 느껴지는 글의 의미를 직접 해설하려고 혼신의 힘을 기울였다. 그 이유는 자신의 인생 행적과 이력을 오해 없이 전달함으로써 立言垂後하 려고 했던 의지에 있다. 둘째, 말년에 이르러서도 대단한 자부를 견지했지만, 세상 사람들의 제대로 된 인식부재와 세상과의 불화에서 기인한 좌절 로 인해 자조 역시 빈번히 드러난다. 또한 이 시기에 발생한 仁祖反正으로 인해 出處 사이에서 실존적 선택을 강요받고 동요하는 모습을 선명하게 드러내 보인다. 셋째, 자신의 행적을 설명하거나 실존적 선택 사이에서 동요 하는 와중에 유몽인은 대상 승려가 아니라 여타의 독자에게 자신의 내면을 傍白하고, 지독한 고민과 지난한 自問自答 속에서 자신의 속마음을 獨白한다. 이로써 보자면 유몽인은 죽음을 목전에 두고 비틀거렸지만 ‘나 자신’에 초점을 두고 자기의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내면의 소리까지도 생생하게 전달하는 산문을 썼으며, 이러한 특징적 양식은 조선중기 한문학사를 한층 다양하게 만든 주요한 계기가 되었음에 틀림없다. Ryu, Mong-in(柳夢寅) wanted to write the fact and truth of his life and introspect his past life in his prose on the brink of eternity. So this report researched his late style. This report researched his attitude to buddhist monks first.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First, he assumed a critical attitude to buddhist monks. Second, the reasons why he gave his prose to buddhist monk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circumstance made him accept requests. In the second place, He thought that he could explain his circumstance, and express his mind in the prose to Buddhist monks. This report researched his late style. And then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Those are self-justification, self-explanation, and self-confidence, self-deprecation, the confliction between the position-finding and the retirement, lately the monologue and the stage whisper. First, he tried to justify the misleading behavior and explain the ambiguous writing. Because he wanted to divulge his identity and personal history. Second, the self-confidence and the self-deprecation took turns in his late prose. And because of King injo’s restoration(仁祖反正), he was tottered between the position-finding and the retirement. Third, he said his mind in an aside, and said his inner conflict and his heart in a monologue. Judging from these, although Ryu, Mong-in was tottered in his latter years, he wrote his life and inner voice. So he was full qualified for being the central figure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 KCI등재

        자탁전(自托傳)의 각 계열에서 보이는 자기인식의 형상과 그 의미

        안득용 ( An Deuk-yong ) 한국한문학회 2018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1

        自托傳은 작가가 작품의 주인공과 자신이 다른 사람인 양 시치미 떼는 傳이다. 본고는 자탁전의 마스터플롯(master plot)인 陶淵明의 「五柳先生傳」처럼 時間性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 靜態陳述 위주의 작품군과 시간의 축이 개입되어 過程陳述이 강화된 자탁전을, 각각 「白雲居士傳」 系列과 「猊山隱者傳」 系列로 나누어 각 계열에서 보이는 自己認識과 自己形象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백운거사전」 계열은 자신이 지향하는 삶의 理想을 말하고, 왜곡에 맞서 자기를 解明하며, 자신이 좋아하는 嗜好를 표출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것은 자신의 삶을 압축적으로 상징하는 특정한 지점에 초점을 맞추어 존재를 증명하려던 의도에서 발현된 특징적 면모이다. 이에 반해 인생의 歷程에 따라 자신의 삶을 살피려는 작품군이 「예산은자전」 계열이다. 이 계열의 작품에서는 삶의 변곡점 주변을 反省的으로 성찰하면서, 그 과정과 변모의 양상을 서술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반성적 시각을 통해 좌절과 극복, 성찰과 깨달음, 즉 성장의 드라마가 부각된다는 점 역시 주요한 특징이다. 두 계열이 이처럼 뚜렷한 차이를 지닌 것은 사실이지만, 자신이면서 자기가 아니라는 ‘반성적 거리’가 이들 작품에 다소의 과장을 허가했다는 점, 두 작품군 모두에서 자신의 삶과 과거를 성찰하는 자세가 보인다는 사실 등은 공통적이다. 이 중 다소의 과장은 官歷과 履歷을 중심으로 據事直書에 무게를 둔 건조한 경향과는 다른 흐름의 자기서사 형성에 일조했다. 아울러 반성적 성찰은 단편적인 삶의 印象을 기억과 체험으로 전환시켰고, 그 기억과 체험으로 자신의 正體性을 구축하여 미래의 비전(vision)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 외에도 기존 장르에 적응함과 동시에 그것을 확대하고 변용하려 했던 시도, 주로 17세기 후반 이후 자탁전에서 보이는 개인, 개성, 정감 등을 드러내 보이려는 태도와 문학적 형상화 등은 두 계열의 자탁전 모두가 지니고 있는 특징이자 문학사적 의의이다. An allegorical autobiography is the biography of playing a part, where the artist(or narrator)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work and the other person is himself. In this paper, I divided the works of allegorical autobiography, which do not show much time, like Tao Yan Ming(陶淵明)’ the biography of Master Five Willows(五柳先生傳), and those of allegorical autobiography which strengthened the process statements, into the biography of master white cloud(白雲居士傳) series and the biography of Lion mountain hermit (猊山隱者傳) serie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elf-recognition and self-image in each series. The biography of master white cloud(白雲居士傳) series tended to express the ideals of life that they aimed at, to solve themselves against distortions, and to express their favorite tastes. This is a characteristic aspect expressed in the intention to prove existence by focusing on a specific point which is a compact symbol of one's life. On the other hand, the works that try to look at their lives in accordance with the life's rhythm are the biography of Lion mountain hermit(猊山隱者傳) series. In the works of this series, there was a tendency to reflect on the process and transformations while reflectively reflecting around the inflection point of. It is also a major feature that frustration, overcoming, reflection and enlightenment, that is, the drama of growth, is highlighted through reflection.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two series have such a distinctive difference, the fact that the ‘reflective distance’, which is both self and non-self, allowed some exaggeration on these works and that both works reflect on their lives and their past The fact that they are seen is common. Some of these exaggerations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flow of self-narr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ry tendency which weighed heavily on fairly describing facts based on facts and histories. In addition, reflective reflection has transformed the impression of a fragmentary life into memories and experiences, and contributed to the prospect of future ideals by building up their identities with their memories and experiences. In addition to adapting to existing genres and attempting to enlarge and transform them, the attitudes to reveal the individual, individuality, and emotion seen in the pre-conquest festivals since the late 17th century, and literary formations, It is a characteristic and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農淵 山水遊記 硏究

        안득용(An Deuk-y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본고는 17세기 후반 산수유기의 특징과 변화요인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농암 김창협과 삼연 김창흡의 산수유기에 주목하였다. 산수유기에 대해 적지 않은 연구 성과가 도출되었지만, 개별 작품과 시대적 변화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드물다. 이러한 미비점을 극복하고 이상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서는 대표적 작가의 산수관과 실제 작품에 대한 종합적 고찰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본고는 산수유기의 질적 변화와 양적 확대를 가져온 17세기 후반에 주목하였으며 당대 대표적 작가인 농연의 산수관과 실제 작품분석에 주력하였다.   농연은 前代보다 자연미를 중요시하는 시각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그들이 산수에 대하여 언급한 내용과 산수품평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러한 자연관은 그들 작품에서 구조와 스타일적 측면에서 반영된다. 이를 세밀하게 살펴보기 위하여 김창협의 「凜巖尋瀑記」를 구조와 의미, 스타일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 작품은 전환을 통한 점층과 긴장 해소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王安石의 「游褒禪山記」와의 비교를 통하여 교훈적 내용을 여행의 스케치 아래에 배치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행의 가벼운 스케치는 당시 소품의 유행과 일정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소품의 유행은 유연한 의식의 발현과 일정 정도 연관이 있으며, 유연한 의식에 의해 발현된 소품체의 성행은 당대 공고화되어 나가던 의식의 균열을 예감하게 하는 징후이다. 따라서 農淵은 균열에 일조하였으며, 이러한 점이 山水遊記 내에서 그들이 점유하고 있는 위치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d on Nongam Kim, Chang-hyeop(農巖 金昌協) and Samyeon Kim, Chang-heup(三淵 金昌翕)"s sansuyugi(山水遊記) in order to make a study on special features and meaning of sansuyugi in the 17th century. Many researchers studied sansuyugi, but only a few researchers thought over the individual works and the change of tide. Therefore I must make a study on representative writer"s works and the view of nature(山水觀), for ideal outcome.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the 17th century when sansuyugi was made by many people and analyzing works of Nongyeon(農淵) as representative writers.   Conclusionally, I knew that they had laid weight on the natural beauty(自然美) by making a study on their estimating nature(山水品評) and references. And then, for the sake of researching the beautiful features of their works, I made a study on Kim, Chang-hyeop"s 「Fing waterfall in Neumam (凜巖尋瀑記)」. In result, I knew that the work had the structure that made inspiration by tense strengthening-dissolution. And By comparing 「Finding waterfall Neumam」 with Wang, An-seok"s 「Traveling Mt. poseon (游褒禪山記)」, I found that the former had a lesson beneath the sketch of travel. The light sketch of travel is related to the trend of sopoom(小品). This paper found that 「Find waterfall in Neumam (凜巖尋瀑記)」 and another sopoom(小品) works were made by his flexible sense and tension of beauty.   Conclusionally, I knew that flexible sense and sopoom(小品) style cracked conventional thought, and Nongyeon made the crack to a certain degree.

      • KCI등재

        柳夢寅(유몽인) 散文(산문)에 나타난 孤獨(고독)의 양상과 그 의미

        안득용 ( Deuk Yong An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8

        본고는 유몽인의 산문에 나타난 孤獨의 내외적 요건과 그 양상을 살펴보면서 그것이 지닌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이를 세밀하게 고찰하기 위해 고독의 조건으로서 己見, 西湖, 晩年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각각 개인 적, 공간적, 시간적 조건에 부합하는 항목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유몽인의 고독은 내외적 요인 모두에 의해 유발된 것이었다. 이 중 특히 내적 조건으로서 스스로의 견해[己見]를 고수하려고 했던 태도를 지적할 수 있다. 이것은 남에게 고개를 숙이기보다 스스로의 견해를 고수하겠다는 태도인데, 스스로의 글에 대한 자부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둘째, 고독의 공간적 조건으로서 서호를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정계나 은거지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던 서 호라는 공간의 지정학적 위치가 그에게 있어 판단을 지연하고 분명하게 스스로의 견해를 피력하지 못하게 만든 주요한 요소였다. 다 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그가 지키고자 하는 최소한의 線은 지키고자 하였는데, 감추면서 보여주는 寓意와 諷刺가 서 호라는 공간에서 부각되고 있는 것이 그가 견지한 태도의 발로라고 하겠다. 셋째, 고독의 시간적 조건으로 만년을 지적할 수 있다. 서호에서 보여주었던 태 도에서 선명하게 드러나듯이 만년의 유몽인 역시 선택의 기로에 서서 고민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金剛山 이후의 모습에서도 여전히 산견된다. 다만 결국 그는 스스로에게 떳떳하고자 했으며 그로 인해 그는 죽음을 맞이하였다. 따라서 그의 죽음은 그에게 갑자기 닥친 불운이기보다 그의 선택으로 인해 도출된 결과였던 것이다. 이로써 볼 때, 유몽인은 고독 속에서 浮動하며 살았지만 스스로의 삶에 대해 반성하고, 죽은 이후 자신의 모습에 책임지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결국 이것이 그의 명성을 일깨운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무수한 좌절을 겪으면서도 자신의 길을 가려고 했던 태도 역시 고독 속에서 외롭게 하루하루를 견뎌내는 현대인들에 게도 작지 않은 의미가 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aspects and the meaning of loneliness in Ryu, Mong-in``s prose. Most of all for this aim, I focused on his own view(己見), seoho(西湖), and his latter year(晩年). These items are correspond to personal, spatial, and temporal condition respectively.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Ryu, Mong-in`s loneliness is 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Especially, internal factor is based on his own view. He didn``t want to bow his head, he want to stick to his own view. This feature showed on his prose. Second, I point out seoho as the spatial condition. Especially, seoho didn`t belong to neither the political place nor the retiring place. This geopolitical factor made him hesitate. But he wanted to hold on his line in this condition, and Allegory and satire in his prose are the features. Third, I point out his latter year as the temporal condition. He agonized about his life at a crossroads. But he want to act honorably, and he faced death because of this attitude. So his death came from his choice. Judging from these, though Ryu, Mong-in was in loneliness, he had time to reflect on himself, and made his best to take responsibility for his life. Finally, this attitude served as a moment to arouse his fame. And also his attitude is meaningful to contemporary men.

      • KCI등재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자전적(自傳的) 서사(敍事)의 창작 경향과 그 의미

        안득용 ( Deuk Yong An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본고는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에 창작된 다양한 自傳的 敍事를 종합하여 文과 史 경향으로 크게 나누어 대별한 이후, 각각의 경향이 지닌 특징적 면모를 밝히고 그 창작 배경과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특히 개별 작품을 고찰할 때는 자전적 서사의 이해에 핵심적 요소인 창작 시기, 자아를 인식하는 태도, 자전적 서사 창작 동기, 글쓰기의 특징적 면모 등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고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단편 형식의 자전적 서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申欽이나 許筠 등과 같이 삶의 시련기에 자신을 되돌아보며 스스로가 견지해온 삶의 지향을 피력하고자 자전적 서사를 쓰는 경우가 있고, 張維처럼 만년의 삶을 정리하며 살아온 대로의 지향을 지속하고자 이 장르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글에서 자조하는 모습이 부각되는 이유 역시 그릇된 세상의 지향과 달리 살려고 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不遇나 支離로 평가할 수밖에 없었던 자신의 삶을 부각시키고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한 의지에서 기인하며, 이러한 의지가 자전적 서사의 창작을 추동한 것이다. 둘째, 사대부들에 의해 기록된 연대기 형식의 자전적 서사가 지닌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자신의 삶을 압축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인데, 이와 같은 압축성은 분량의 제한이나 삶의 주요한 사건만을 세밀하게 기록하려고 했던 태도에서 발현된 양상이다. 다음으로 주목할 만한 특징은 건조한 서사 속에서도 지나온 삶에 대한 반성이 발견된 다는 점이다. 즉 자신의 삶에 대한 적극적 해명 속에 자기반성을 수록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스타일로 삶을 정리한 배경적 원인으로 자신의 역사를 스스로가 기록하려는 태도, 역사적 사건의 유일한 관찰자로서의 보고 의식, 전·후 시기 유사한 스타일의 기록이 적지 않게 창작되었다는 점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셋째, 승려들에 의해 기록된 연대기 형식의 자전적 서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우선 불교에 입문하는 과정을 그리는 서술 속에 그 필연성을 위주로 하는 신이한 이야기가 삽입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구도의 과정 속에서는 좌절로 인한 자기반성과 그 극복의 과정을 다룬 경우를 찾을 수 있었다. 특히 구도의 측면에 있어서 자아를 성찰하고 반성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통해서 자서전의 보편적인 특징을 간취하여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글쓰기 스타일에 있어서도 禪問答이나 禪詩를 사용함으로써 사대부들의 자전적 서사와는 결이 다른 글쓰기를 보여주었다. 이것이 승려들의 자전적 서사도 아울러 고찰해야 하는 이유이며 그 의의이다. 이처럼 다양한 장르와 상이한 계층마다 스스로의 삶을 표현한 방법은 다르지만 각각의 자전적 서사 모두에 자기반성과 자아성찰이 함유되어 있었다. 자전적 서사를 읽는 의의는 바로 이 지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며, 향후 좀 더 포괄적 논의를 통해 자서전을 통한 보편 문학과 고유 문학의 영향 수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This report researched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were written in the latter half of 16th century∼the first half of 17th century. And this report especially focused on a written period, the self-recognition, the creative motive, and features of writing.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First, the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focused on a particular period had following features. Some writers wrote autobiographical writings for enunciating their goal of life in the period of undergoing an ordeal like Shin, Heum(申欽) and Heo, Kyun(許筠). And the other writers wrote autobiographical writings for holding their course in their latter like Chang, Yu(張維). Finally when their life were deprived and humble, they wrote autobiographical writings for the sake of building up their identity. Second, the chronological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were written by noblemen were constrictive. Because there were restrictions on quantity and they wrote main affairs in their life choosingly. And It is another feature that their autobiographical writings contained self-reflection. Finally it is the point that the reason why they wrote autobiographical writings in this style was for the sake of describing their lives and the consciousness of writing self-history. And the circumstance in the literature of that time also made them write their autobiographical writings in this style. Third, the chronological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were written by buddhists had another features. For example they inserted mysterious stories into their autobiographical writings. And there were self-examination and self-reflection in numerous cases. Finally there were Zen riddles and Zen poetry. These are distinct features of the chronological autobiographical writings which were written by buddhists. Autobiographical writings are various like these. But it is true that there were self-examination and self-reflection on all occasions. This is the reason why we read autobiographical writings, and it is the importance to read autobiographical writings.

      • KCI등재

        김창흡(金昌翕)의 설(說)에 나타난 주제의식과 글쓰기

        안득용 ( Deuk Yong An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본고는 현실적 문제를 포괄적이면서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 金昌翕(1653~1722)의 說이 지닌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서술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주제적 측면에서는 作爲를 배제하고 自然을 따르며 天理에 순응하려는 태도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의식의 기저에는 老莊的 思維와 『周易』의 論理가 내재해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인적 수양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분규에 관한 사안일 때, 그의 설이 지닌 어조가 강개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왜냐하면 사회적 분규가 다수의 문인지식인들이 살고 있는 사회 그 자체를 와해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는 사회적 분규의 원인을 未明에 의한 작위의 발생으로 생각하고 그것을 없애기 위해 일정 정도 강제적 형식을 띤 도덕적 규범을 동원한다. 그것의 근원에 天理가 존재한다. 다음으로 서술적 측면에서의 특징은 우선 구성이 비유적이라는 사실이다. 그러나 비유적 구성은 설에서 역대로 흔히 사용되던 방법이다. 오히려 轉換의 수사를 통해 설득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방법이 개성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설이라는 장르 내에서 본다면, 이러한 서술방법은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한다는 점에서 설득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수사의 저변에는 多元的 思考가 존재하며 이와 같은 사고는 斷面的 固着을 벗어나려는 태도에 기인한다. 다음으로 세밀한 형상화를 들 수 있다. 외부 사물의 세밀한 형상화와 감정의 진솔한 표현은 공감을 불러일으켜 설득력을 높인다. 또한 이러한 서술은 그의 산문이 지닌 문학성을 생성하는 근원이 되며, 문학적 산문 창작의 저변에는 자유로운 사유와 결부된 想像力이 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김창흡은 개인적 수양의 자유를 추구하면서도 사회의 도덕적 규범 설정에 대해 등한시하지 않았으며, 삶에 대한 사유를 설득력이 높은 문학적 설로써 형상화한 작가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Kim Chang-heup`s seol[說]. Because this genre has a hard view of life and a literary feature.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First, he excluded artificiality, and followed nature. And I came to know that this thought was based on Lao-tzu[老子] and Chuang-tzu[莊子]`s thought and 『the book of change(周易)』`s logic. And he mobilized a moral standard if he extinguished social disputes. Then it is the law of nature that his moral standard. Second, his discourse is allegorical. But this way of writing is general. On the contrary, the conversion of writing is individual. And this way of writing raise the objectivity of persuasive power. Then this way of writing is based on multilateral thought. And he described all things and his feelings in detail. This way of writing is based on his imagination. And These are all literary features. In the conclusion, we can give many meaning to him. He pursuit a moral standard as well as a personal liberty. And he described his thought literally and in minutely.

      • KCI등재

        16세기 후반 영남 문인(嶺南 文人)의 산수유기(山水遊記) -지산 조호익(芝山 曺好益) 산수유기에 나타난 자연인식과 형상화를 중심으로-

        안득용 ( Deuk Yong An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5

        이 논문의 일차 목적은 芝山 曺好益(1545-1609년)의 자연인식과 형상화의 특징을 당대, 특히 영남지방 문인지식인들이 창작한 산수유기와 비교를 통해 고찰함으로써 알아보려는 것이다. 물론 16세기 후반 산수유기의 특징적 면모를 밝힘으로써 공백을 메우려는 것이 보다 궁극적인 목표이다. 退溪 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며 정통 성리학을 수학한 그는 31세(1575년)부터 시작된 17년간의 유배기 동안 두 편의 산수유기를 남겼다. 이러한 배경적 사실로 인하여 그의 작품에는 성리학자로서의 哲理的 태도와 不遇의 토로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물론 타고난 文才를 발휘하여 산수를 세밀하게 묘사하려는 특징 또한 그의 작품 속에서 볼 수 있다. 그의 산수유기에서 드러나는 철리에 대한 탐구는 神交 혹은 心融이라고 자신이 언급한 자연에 내재한 원리를 탐구하고 그것에 합일되려는 태도에서 기인한다. 그 자신이 느낀 불우에 대한 형상화는 주로 자연물에 자신의 悲感을 투영하는 방법으로 서술되는데 여타 작가들의 산수유기에 드러나는 遇不遇에 대한 형상화보다 그 비중이 확연히 커서 주목된다. 또한 그의 산수유기는 자연 형상화의 세밀함과 구성상의 안배에 있어 탁월함을 보인다. 이는 그가 지닌 문학적 역량은 물론 스승인 이황이 산문의 형상화에도 관심을 두었다는 사실과 당대 산수유기 서술에서 문학적 형상화가 점차 활성화 되어가던 시점이었다는 등의 원인에서 기인하였다. 16세기의 산수유기 중 자연미의 형상화에 중점을 둔 산수유기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영남의 문인지식인의 작품에는 철리의 탐구에 비중을 둔 작품들이 많았다. 이후 17세기 중후반에 접어들면 金昌協 系列을 중심으로 하여 자연미를 세밀히 형상화하려는 태도가 활성화 된다. 조호익의 자연인식과 형상화의 태도를 보면 전자에서는 성리학의 인식론을 추구하면서도 형상화에 있어서는 17세기 중후반의 그것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세련된 작품을 창작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그는 산수유기 창작을 통해 16세기를 인식하면서 17세기를 서술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port firstly aims to research Gisan(芝山) Cho, Ho-ik(曺好益)`s view of nature and description by comparing his sansuyugi(山水遊記, travels) with another highbrows works. Undoubtedly it is the final aim to fill up the blank of the history of travels by researching features of travels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He was taught Sung Confucianism by Toegye(退溪) Lee, Hwang(李滉). And he wrote two travels during 17-year-banishment. These factors made his works show the philosophical attitude and misfortune. Undoubtedly he had the talent to describe the landscape, so the landscape was described very closely in his travels. His philosophical attitude was caused by a posture to investigate a principle which was in landscape, and to integrate him and landscape. And his description of misfortune was caused by a posture to project his sorrow on landscape. It is important that his description of misfortune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nd his polish description was cause following two factors. Firstly, his teacher, Lee, Hwang considerde for description, Secondly, social atmosphere to describe landscape closely. 16th century`s Highbrows who lived in yeongnam(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show us the philosophical attitude in their travels. And 17th century`s highbrows show us a close description of landscape in their travels. By the way, Cho, Ho-ik shows us these two features well in his travels. So It is true that he recognized 16th century and described 17th century.

      • KCI등재

        가훈(家訓)의 전통에서 본 조선후기(朝鮮後期) 가훈(家訓)의 특징과 그 의미 (1) : 심로숭(沈魯崇)의 「이후록(貽後錄)」과 유희(柳僖)의 「이손편(貽孫編)」을 중심으로

        안득용 ( An Deuk-yong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0 No.-

        朝鮮의 家訓은 구속력의 측면에서, 간곡히 당부하거나 遺恨을 전하려는 흐름과 家法으로서 기능하거나 儀禮를 전수하려는 規範的 흐름이 공존한다. 그리고 가훈의 지향에 있어서, 특정 사안에 대한 구체적 秘法을 전하려는 계열과 보편적 윤리를 추구하는 계열 兩極으로도 나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훈에 수록된 條目에 체험이 개입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직접적인 체험에서 나온 현실적인 조언을 전하는 부류와 각종 典籍에서 교훈적인 箴言을 수집한 부류로 구분된다. 세 부류의 양극단 중 전자의 계열은 『顔氏家訓』에, 후자의 계열은 『小學』에 각각 대응하는데, 조선의 가훈은 대체로 이 양극 사이에 분포되어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振幅을 유념하면서 沈魯崇의 「貽後錄」과 柳僖의 「貽孫篇」을 통해 조선후기 가훈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았다. 개인, 가정, 사회 세 측면에서 두 편의 가훈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후록」과 「이손편」에는 모두 自己敍事처럼 개인의 경험이 투영되어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개인적 사유와 감정을 토로함으로써 自己形象 및 그 마음과 가르침을 제대로 전달하고, 반성을 통해 反面敎師로서 교훈을 주려는 의도가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현실적인 조언으로 家風과 家業을 전수하려고 간곡하게 당부했다. 그러다 보니 동시대 가훈에서조차 꺼리는 내용인, 글쓰기의 비법과 科擧 시험 대비의 방법을 거론한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삶의 현장을 도외시하지 않고, 구체적이면서 현실적인 교훈을 주려던 의도에서 발현된 것이다. 셋째, 경제적·정치적 변화를 관찰하여 포착한 사회의 변화를 가훈에 반영하고자 했다. 그로 인해 治産의 방법과 모범 사례를 제시하고, 黨爭의 폐해를 비판하며, 嫡庶의 문제를 거론하는 조목들도 가훈에 편입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사회의 변화를 면밀하게 살펴서 기민하게 대처하려던 태도에서 기인한 것이다. 후손들이 올바른 인간이 되고, 자신의 가정이 평안히 유지되기를 바란다면, 日常을 충실히 사는 삶의 가치를 알려 주어야 한다. 이 때문에 가훈은 구체적이어야 하며, 공허한 준칙만을 되뇌어서는 안 된다. 이런 사실로써 보자면, 보편적 윤리에 기반을 두면서도, 자신의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여 간곡하게 당부하며, 사회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기민하게 반영해서, 현실적인 조언을 하고 있는 조선후기의 가훈은 충분히 음미할 가치가 있다. By legally binding standards, Joseon’s home discipline includes entreaties and regrets, it also includes family rules and rituals. And in orientation, it contains the affiliation of aiming for knowhow and the affiliation of aiming for universal ethic. Lastly, by experiential standards, it covers the detailed advice which was from practical experience and an aphorism which was collected in contents of scriptures. In three categories, the former affiliation is similar to the affiliation of yanshijiaxun(顔氏家訓), and the latter affiliation is similar to the affiliation of xiaoxue(小學). This report researched Shim, Rho-soong(沈魯崇)’s home discipline(貽後錄) and Ryu, Hee(柳僖)’s home discipline(貽孫編), with keeping the amplitude of home discipline of Joseon in mind currently. This report researched home discipline of Joseon from personal, domestic, and social standpoints,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both of Shim, Rho-soong(沈魯崇)’s home discipline and Ryu, Hee(柳僖)’s home discipline revealed individual experience. This result reflected that they wanted to convey self-portrait, their wishes, and living lessons to their descendents through revealing their thinking and feelings. Second, they asked their descendents about passing down family tradition and family business earnestly in their home discipline by providing practical advice to their descendents. They also taught know-how to wright and the methods how their descendents do well in the exams. These teachings were deducted from their will to convey detailed and practical lessons. Third, they wanted to reflect societal changes in their home discipline. So there are the ways to earn money, the criticisms of party strife, and the problem of concubines sons in their home discipline. These teachings were deducted from their will to cope with societal changes quickly. If we want our descendents to be the right man and to hold their families together well, we must teach the way to live everyday life well to them. On this account, we must not repeat empty rule. To conclude, late Joseon home discipline is valuable, because that was based on universal ethic, made an entreaty based on self experience, gave descendents some advice reflected societal changes.

      • KCI등재

        자서전 코드로 읽어 본 자찬(自撰) 연보(年譜) -침로숭(沈魯崇)의 『자저기연(自著紀年)을 중심으로-

        안득용 ( Deuk Yong An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2 No.-

        This report researched autobiographical chronicles through the autobiographical code.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First, the first creative motivation is writer’s position. The writers who are ordinary or unlucky tended to write autobiographical chronicles. In the second place, the writers who wrote ‘who they are’ tended to write autobiographical chronicles. Finally, the writers who did not have an appreciative friend tended to write autobiographical chronicles. By the way, the writers described their lives in autobiographical chronicles, because of this genre’s diversity and detailedness. Second, autobiographical chronicles’ writers described both their private lives and public lives. The autobiographical chronicles which described public lives are more powerful. These chronicles wrote their lives correctly and minutely. So these chronicles make up for history’s fault. Third, the autobiographical chronicles which described private lives like the 『Jajeoginyeong(自著紀年)』are magnified in late Joseon Dynasty. These chronicles wrote self-reflection, self-examination, detailed life, and individual. And these chronicles described the everyday life minutely. Finally, the autobiographical chronicles like the 『Jajeoginyeong(自著紀年)』 woke literary possibility and the importance of everyday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