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北學議』 異本의 형성과정과 네 가지 이본 계통의 특징

        안대회 한국실학학회 2023 한국실학연구 Vol.- No.45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Bukhagui (Nor-thern Learning) by Bak Jega and its 20 variations. Among the classics written by late Joseon scholars, Bukhagu exists in many distinct copies, which have formed a certain system due to their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To accurately understand Bukhagui, it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essence of the book through the author's handwritten copy. Recently, a handwritten copy acquired by Suwon Hwaseong Museum was made public, allowing for comparison and analysis against other copies. Based on a thorough comparison, the 20 cop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1)the author's handwritten copy and its system, 2)rough drafts, 3)natural copies, and 4)modified copies. The rough drafts of 2)were established as handwritten copies of 1), and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led to the creation of natural copies of 3)and modified copies of 4), which took into account the readers and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modification. The major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ur groups include: 1)addition or omission of text and annotations, 2)significant changes in organization of outer chapters and number of items, and 3)changes in the names of individuals following the Sinyu Persecution, as well as the omission or alteration of some content. Examining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pies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acceptance of Bukhagui after the late 18th century. This process verified that the different copies hold as much significance as the author's handwritten copy. 이 논문은 朴齊家의 명저 『北學議』의 저자 친필 사본과 그로부터 파생된 이본 20여 종을 교감하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선 후기 실학자의 명저 가운데 『北學議』는 사본이 다수 전하고, 사본 사이에는 차이와 특징이 있어 일정한 계통을 형성하였다. 『北學議』를 정확하고 깊이 이해하려면 그 실상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가장 중요한 사본이 저자 친필본이다. 최근에 수원화성박물관에서 구입 소장한 친필본이 공개되어 다른 이본과 교감하고 분석하였다. 정밀한 교감을 거쳐 이본 전체의 차이를 검토한 결과 이본 20종은 1)친필본과 친필본 계통, 2)초고본 계통, 3)자연본 계통, 4)월전본 계통이라는 4개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4개의 계통은 필사의 특징과 내용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2)의 초고본이 1)의 친필본으로 정착되고, 이 사본이 轉寫되는 과정에서 원본에 충실한 3)의 자연본과 독자와 시대 상황을 고려해 수정한 4)의 월전본이 형성된 구도를 설정하였다. 4개 이본 계통이 형성된 큰 차이와 특징은 1)이본에 따라 본문과 주석이 추가하거나 탈락하고, 2)외편 항목에서 편차에 변화가 심하고, 항목의 수록에 차이가 나며, 3)신유사옥 이후 관련한 인물의 성명이 바뀌고, 일부 내용이 탈락하거나 바뀌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본의 형성과정과 각 이본의 계통적 이해는 『북학의』의 실상과 北學論이 18세기 후반 이후 조선의 학술계에 수용되는 과정을 파악하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친필본의 중요성만큼이나 여러 이본의 가치 또한 무시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騷壇千金訣 解題

        安大會 洌上古典硏究會 1991 열상고전연구 Vol.4 No.-

        <소단천금결>은 아직까지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시론에 관한 저술로서 편찬자는 이덕무이고, 필사하고 서문을 쓴 사람은 이덕무의 손자인 이규경이다. 이 책은 2권 1책으로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규경은 1825년에 쓴 서문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어느날 왕고(王考 : 즉 이덕무)께서 뽑아서 모아둔 어지러운 책더미 속에서 <소단천금결> 1책을 찾았는데 이 책은 시작(詩作)의 법도가 되는 내용중에서 공께서 손수 비평(批評)을 가하신 것이었다. 이 책을 가져다가 연구해 보니 시의 모범이 될 뿐 아니라 참으로 시창작의 탄탄대로였으니 시를 배우는 자가 이것을 버린다면 장인(匠人)이 규구(規矩)가 없는 것과 같고, 나그네가 지름길을 잃어버린 것과 같을지니 장차 어떻게 시르르 지으려고 할 것인가? 여기에서 말한대로 이 <소단천금결>은 이덕무가 초(抄)해둔 책의 하나로서 책더미속에 묻혀 있다가 손자인 이규경에 의해 가치가 있다고 하여 정사(淨寫)된 책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에서 간행된 『明心寶鑑』 抄略本의 판본과 특징

        안대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4 한국문화 Vol.0 No.105

        This paper analyzed the publication trends of Myeongshimbogam(明心寶鑑) by Fan Liben (范立本)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to the first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n Korea, the Cheongju edition (淸州本), which most closely resembled the originalfirst edition of Myeongshimbogam, was initially published, but after the middle Joseon period, readers began to welcome the abridged version, the length of which was one third of the original version. This led to the publication of dozens of edi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numerous editions sporadically published throughout four centuries in three phases and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first phase began with the publication of the banggakbon (woodblock printed) version, which was publish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used until the eighteenth century. This version wascharacterized by its title, Myeongshimbogamchoryak (明心寶鑑 抄略), and by maintaining the format of dividing the book into two parts and leaving the author anonymous. The second phase wasthe publication of the banggakbon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during which Myeongshimbogamcho (明心寶鑑抄) was commonly used as the book title, and the book was published in one part instead of two, and the author was anonymous.The printed edition became the norm during the third phase after the twentieth century. Commentaries and Korean annotations were added to this edition, published as a complete edition under the title Myeongshimbogam without using “choryak” and “cho,” thus indicating that the book is an anthology. Thi sedition also listed Chu Jeok (秋適) as its author and was mostly published asparallel text versions or enlarged versions. Publication patterns of the first edition and key features of each phase were identified through a detailed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irst edition changed over time to resemble less of the Cheongju edition and establish itself as an independent book. Furthermore, several versions of the book were newly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TheTianqi edition, published in Tianqi first year (1621, the first year of thereign of Gwanghaegun), was found and identified as the oldest edition of the first edition. Several new editions, including the Jeonghae edition (1647) published in the year of Jeonghae, were also newly discovered, and misconceptions in the academic discourse were rectified. The research and analysis in this study contributed to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how Korean readers have received Myeongshimbogam, a work tha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fields of education, literature, and publi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