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노멀 시대 한국철학과 전통

        심의용 한국하이데거학회 202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2

        현대 한국철학은 일제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형성되었다. 일제 식민지 시기에 ‘근대’는 우리가 쟁취한 것이 아니라 외부에 의해서 주어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철학은 수용되었고 한국 철학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현대 한국철학은 서양 철학을 수입하는 것과 자생적인 철학을 모색하는 데에 일제 식민지 시기의 유산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따라서 한국철학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형성해나갈 것인지의 문제는 일제 식민지 시기에 외부로부터 근대와 철학이 주어진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또한 서양 철학은 당연히 토착 문화를 통한 번역과 해석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전통의 문제와 관련해서 논의할 수밖에 없다. 일제 식민지 시기 전통을 바라보았던 서양철학 1세대 지식인들은 각자의 위치와 시점에서 전통을 바라보고 철학을 실천했다. 이러한 시각을 ‘보편․제국주의적 시각’과 ‘민족․국가주의적 시각’으로 구분하여 전자에서는 주로 신남철과 박치우를 다루고 후자에서는 주로 박종홍과 함석헌을 다루며 그들이 전통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떤 철학적 시각으로 어떻게 철학을 실천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Modern Korean philosophy was formed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t era, when the concept of modernity was not achieved by Korean citizens but conferred from outside. In this process, philosophy was accepted and Korean philosophy arose. Therefore, modern Korean philosophy is not free from the legacy of Japanese colonization. Correspondingly, the question of how to view and shape Korean philosophy must begin with modernity and philosophy from outside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t period. Western philosophy naturally goes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when passed on to Indigenous cultures, compelling a discussion of issues of tradition. The first-generation intellectuals of Western philosophy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t period viewed tradition from their respective positions and perspectives and practiced their philosophy accordingly. These perspectives are divided into ‘universal and imperialistic views’ and ‘national and nationalistic standpoints.’ The former primarily concern Shin Nam-cheol and Park Chi-woo, whereas the latter involve Park Jong-hong and Ham Seok-heon. This study inquired into how these individuals viewed traditions and how they practiced philosophy with guidance from their respective philosophical perspectives.

      • KCI등재

        김창준의 기독교, 민족주의 그리고 사회주의

        심의용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7 No.-

        기독교와 사회주의는 19세기와 20세기에 수용된 종교와 사상이다. 기독교와 사회주의 는 민족해방과 통일이라는 공0동의 목적으로 함께 연대했던 민족해방운동의 사상적 토대 였다. 현재 남한과 북한이 적대와 분열을 넘어 화해와 통일을 지향해야할 때 남한의 기독 교는 사회주의와의 만남이 필요하고 북한의 체제는 다양한 종교의 인정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김창준은 주목할 만하다. 흔히 김창준은 ‘기독교민족사회주의자’로 평가받지만 월북이라는 과거의 전력 때문에 빨갱이 목사로 매도된 인물이다. 선행 연구는 김창준이 왜 기독교민족사회주의자로 평가받는지에 대해서 입체적으로 연구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은 김창준을 다소 연결되기 어려운 기독교, 민족주의, 사회주의를 연결하여 ‘기독교민족사회 주의자’로 평가하는 근거를 그의 글을 통해 분석해보려는 시도이다. 과연 그는 어떤 기독 교주의자였고 어떤 민족주의자였으며 어떤 사회주의자였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 3가지는 융합되고 통합될 수 있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Christianity and socialism are religions and ideas accept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Christianity and socialism were the ideological foundations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which united together for the common purpose of national liberation and unification. Wh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must aim for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beyond hostility and division, South Korea’s Christianity needs to meet socialism and North Korea’s system needs recognition of various religions. In this context, Kim Chang-joon is noteworthy. Kim Chang-joon is often regarded as a Christian national socialist, but he was sold as a Partisan due to his past history of North Korea. Previous studies have not conducted a three-dimensional study on why Kim Chang-jun is evaluated as a Christian national socialis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basis for evaluating Kim Chang-jun as a Christian national socialist by linking Christianity, nationalism, and socialism, which are somewhat difficult to connect. I would like to discuss what kind of Christianity he was, what kind of nationalist he was, what kind of socialist he was, and how these three could be fused and integrated..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심리학교과서』와 계몽

        심의용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1 No.-

        『심리학교과서』는 이용익(李容翊)이 설립한 출판사 보성관(普成館)에서 1907년 7월 30일에 발행한 교육용 교과서이다. 『심리학교과서』는 한국 최초의 심리학 교과서이다. 보성관은 애국계몽의 일환으로 교육용 교과서 이외에 다수 책들을 번역하며 계몽 활동을 펼친 출판사이자 사상운동의 거점이었다. 『심리학교과서』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심리학교과서』를 일본이 서양 문명을 수용하고 번역하는 맥락과 그것을 수용하고 번역하는 식민지 조선의 맥락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고찰할 것이다. 먼저 일본에서 심리학을 수용하는 과정에 전통 유학의 사유가 상호 접촉하여 심리학을 논의하는 틀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심리학교과서』에는 그 틀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심리학교과서』에는 어떤 사회정치적 맥락이 담겨 있는지에 대해 계몽과 자유의 문제를 논의할 것이다. 『The schoolbook of Psychology』 is an educational textbook published on July 30, 1907 by Boseonggwan(普成館), a publishing company founded by Lee Yong-ik(李容翊). It is Korea’s first psychology textbook. Boseonggwan was a publishing company and a hub of the ideological movement that engaged in enlightenment activities by translating many books other than educational textbooks as part of the patriotic enlightenment. No previous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schoolbook of Psychology』. This paper will research 『The schoolbook of Psychology』, considering the context of Japan’s acceptance and transl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context of colonial Joseon’s acceptance and translation of it. Firs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psychology in Japan, we will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thoughts for traditional Confucianism are mutually contacted to discuss psychology and discuss how the framework is reflected in 『The schoolbook of Psychology』. We will also discuss the issue of enlightenment and freedom as to what socio-political context it contains in 『The schoolbook of Psychology』.

      • KCI등재

        신남철과 아고니아(agonia)의 주체

        심의용 한국하이데거학회 2022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6

        When Shin Nam-Cheol (신남철) went to North Korea, he was criticized as an intellectual from the south and purged. In North Korea, he was accused of liberalism. In South Korea, the evaluation of Shin Nam-Cheol is twofold. He is criticized as a pro-Japanese critic and is regarded as a Marxist. This evaluation does not reveal the specific inner consciousness of Shin Nam-Cheol; rather, it is a one-sided judgment.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 of identity and the problem of the subject in Shin Nam-Cheol’s thought. It analyzes the human form of Agonia, which Shin Nam-Cheol refers to as the core of his theory of the subject. The human being of Agonia aims to become a cosmopolitan individual, rather than a Korean, Japanese, or Asian citizen. As a global citizen, living a tragic history with a cosmopolitan consciousness without losing cheerfulness and hope is a new aspect of life created by Agonia’s subject. 월북한 신남철은 남한 출신 지식인으로 비판받아 숙청되었다. 북한에서 신남철에게 붙여진 낙인은 ‘자유주의’였다. 남한에서 신남철에 대한 평가는 이중적이다. 친일 비평가라고 비판하기도 하며 마르크스주의자로 평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평가는 구체적인 신남철의 내면 의식을 드러내지 못한다. 모두 한편으로 치우친 낙인일 뿐이다. 본 논문은 정체성의 문제를 그가 주장하는 주체의 문제와 함께 논의할 것이다. 신남철이 말하는 아고니아(agonia)의 인간형을 핵심적 주체론으로 논의하려고 한다. 아고니아의 인간은 조선인 되기, 동양인 되기, 일본 제국인 되기를 넘어 세계인 되기를 먼저 지향한다. 세계시민으로서 코스모폴리탄적 의식을 지니며 비극적인 역사를 명랑성과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내는 것이 아고니아의 주체가 만드는 새로운 삶의 양태이다.

      • KCI등재

        정치 행위의 메뉴얼(manual)로 읽는 <주역>

        심의용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7

        There is no classic in human history that has as many annotations as I Ching. When reading the text of the scripture,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and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person who reads it are involved. The interests of the Chinese intellectuals are closely related to politics. In particular, Cheng-YiChuan(程伊川)'s interpretation of I Ching is not irrelevant to the requests of the times. Cheng-YiChuan(程伊川) read I Ching by analyzing the crisis and problems of the North Song society and presenting the right way to act as an intellectual who lives in the social and political areas. I Ching has a very good form to present such content. The 64th Hexagrams, made up of Yinyang(陰陽)'s complications, symbolizes some kind of socio-political situation. This is because it can provide directions for individuals in such situations to practice appropriateness(義理) to their respective condition. There are many papers that have studied I Ching as a literature on political philosophy. This paper assumes that this horizon of understanding was involved even when Cheng-YiChuan(程伊川) interprets I Ching, and tries to interpret I Ching in a political context. In particular, it to understand it as a manual for political action. It is intended to interpret I Ching as a political character as a literature with the intention of providing a manual of political action to intellectuals. 인류 역사상 주역 만큼 주석서가 많은 고전은 없다. 경전의 텍스트를 독해할 때에는 그것을 독해하는 사람의 이해 지평과 문제 의식이 개입한다. 중국 사대부들의 이해지평은 정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특히 정이천(程伊川)의 주역 해석은 당시의 시대적 요청과 무관하지 않다. 정이천은 북송 사회의 위기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회 정치 현실 속에서 살아가는 지식인으로서의 올바른 행위방식, 즉 의리(義理)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주역 을 독해했다. 주역 은 그러한 내용을 제시해 주기에는 매우 좋은 형식을 지니고 있다. 즉 음양(陰陽)의 착종으로 이루어진 64괘는 어떤 종류의 사회 정치적 상황을 상징하며 그러한 상황에 처한 개인들에게 각각의 조건에 합당한 의리(義理)를 실천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역 을 정치철학에 관한 문헌으로 연구한 논문들은 다수 있다. 본 논문은 정이천이 주역 을 해석할 때에도 이러한 이해 지평이 개입되었다고 전제하고 주역 을 정치적 맥락에서 해석하려 한다. 특히 정치적 행동을 위한 메뉴얼로 이해하기 위해서다. 정치적 성격으로서의 주역 을 사대부들에게 정치적 행위의 메뉴얼을 제공하려는 의도를 가진 문헌으로 해석하려는 시론적 성격의 논문이다.

      • KCI등재

        변통(變通)과 메타모포시스

        심의용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is thesis discusses the concept of the term transformation (變通), which was often used by traditional intellectuals to insist on fixing various systems and policies. In The I Ching, transformation is also a key concept. Metamorphosis is the meaning of change, disguise and a change in appearance. It is a concept similar to a trans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transformation are revealed through the method of comparing the concept of metamorphosis used in Western philosophy with the concept of the transformation. The western metamorphosis is substantial metamorphosis, which defines the Chinese line as creative metamorphosis and reveals its characteristics. The transformation are not only a changing strategy for adjusting to the times, but also a way to create a new culture. In this respect, it is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change of culture in modern society. 본 논문은 전통 지식인들이 각종 제도나 정책을 고치자고 주장할 때 사용하는 변통이라는 개념을 논의한다. 『주역』에서 변통은 핵심 개념이기도 하다. 변통이라는 개념이 현대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모색해 본다. 메타모포시스(metamorphosis)는 변양, 변신, 변태, 탈바꿈의 의미이다. 변통과 유사한 개념이다. 서양 철학에서 사용되는 메타모포시스를 변통의 개념과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주역』의 변통 개념의 특성을 드러낸다. 서양의 메타모포시스는 존재론적 메타모포시스로 중국의 변통을 생성론적 메타모포시스로 정의하여 그 특성을 드러내었다. 변통은 변화하는 시대적 적응 전략이면서 동시에 새로운 문화를 창달하는 방도였다. 이런 점에서 현대 사회에서 문화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기론(氣論)과 영성(靈性)

        심의용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0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13 No.-

        동아시아에서 기(氣)라는 개념은 세계관의 핵심을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개념이다. 현대에서는 기(氣)에 대해 두 가지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다. 한편은 한의학과 관련된 과학의 담론이고 다른 한편은 영성(靈性)과 관련된 종교 담론이다. 기는 이 두 영역에 걸쳐 핵심 개념으로 논의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본 논문은 유교에서 말하는 기(氣)가 논의되는 두 가지 시각을 다룰 것이다. 종교학에서 말하는 초월적 실재 혹은 성스러움이 논의되는 맥락과 과학에서 논란이 되는 논의 맥락을 간단하게 서술하고 영성(靈性)이라는 말이 어떻게 번역되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이런 맥락 속에서 현대 사회에서 영성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인지를 살펴보려 한다. In East Asia, the concept of qi(氣) is so important that it occupies the core of the worldview. In modern times, we are discussing qi(氣) at two levels. On one hand, it is a discourse on science related to oriental medicine and on the other, a religious discourse related to spirituality. The term qi(氣) is being discussed as a key concept across these two areas. How is this possible? This paper will address two perspectives in which qi(氣) of Confucianism is discussed. It will briefly describe the context in which transcendent reality or the sacred is discussed in religious studies and the controversial discussion context in science and discuss how the word spirituality has been translated. In this context, we are going to look at what spirituality can mean in modern socie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홍대용(洪大容)의 天涯知己와 근대성 고찰

        심의용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This paper discusses Daeyong Hong’s friendship theory in the historical context and seeks to understand its meaning as ‘modernities.’ I will look at Daeyong Hong’s friendship theory under the influence of Matteo Ricci’s influence and examines how to transforms in the context of the Joseon Dynasty. Daeyong Hong’s friendship theory was not a partisan friendship for solidarity as a comrade with political ideas. Rather, it is a politics of cosmopolitan friendship that enables deep communication and exchange. Daeyong Hong’s friendship theory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discussing the issue of East Asian modernity. 본 논문은 홍대용의 우정론을 화이론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논하고 그것이 가진 의미를 ‘근대성들’로 이해하려고 한다. 홍대용의 우정론을 마테오리치의 『교우론』과의 영향 관계 아래에서 살펴보고 조선 시대에 어떤 맥락에서 변용되고 확장되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홍대용의 우정론은 정치적 이념을 함께 한 동지로서 연대를 위한 당파적 우정이 아니었다. 오히려 깊은 차원의 소통과 교류를 가능케 하는 코스모폴리탄적 우정의 정치학이다. 홍대용의 우정론은 동아시아 근대성의 문제를 논의하는 데에 중요한 참고점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