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사 자료 구축을 위한 한국지명 연구목록 데이터베이스 -수도권과 강원권을 중심으로

        심보경 중앙어문학회 2012 語文論集 Vol.51 No.-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present state of the construction of Korea Place Name for a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problems awaiting solution in process of construction. This study is to face up the present status of the study on the place name of Chungbu - Kw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done and to show a desirable approach. I suggest four followings in order to revitalize the research of the place name of Korea. Firstly, through a interdisciplinary consortium the related scholars have to lay ‘professional place name researchers infrastructure’ and form a network of the place name study. Secondly, the government constantly and politically have to support and train ‘professional place name researchers’ and systematically cultivate this kind of human resources. Thirdly, the trained professionals will responsible for the inspection,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the existed literal materials in the Chungbu - Kwon. Lastly, so as to distribute the materials to the related scholars and the public, not to be buried, we actively should take care of the promotion and strategies. I suggested are research methodology, objectives of the study, and new perspectives on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with respect to research materials.

      • KCI등재후보

        국어사 자료로서 [幡羅(hatara)]

        심보경 한국지명학회 2010 지명학 Vol.16 No.-

        日本 埼玉県 深谷市 幡羅町의 [幡羅(hatara)]는 신라계 도래인인 고대 해부족에 의해 명명된 신라계 차용어로서 국어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幡(hata)]계 지명은 일본 關東地方(埼玉県, 東京都, 神奈川県) 近畿地方(大阪府 奈良県), 中國地方(岡山県)과 같이 삼국인들의 활약상이 돋보였던 지역에 많이 나타나고 있다. 古代 海部族은 항해와 어업에 종사하며 주로 바다와 관계된 일을 하던 신라계 도래인들로 한국과 일본의 외교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였다. 해부족은 ‘幡陀·秦·波多·波太·判太·半太· 八太’ 등과 같은 ‘hata’계 성이 많으며, 특히, 幡陀(hata)·秦(hata) 씨는 신라계 도래인들의 인명에 부여되던 ‘連(murazi)’, ‘忌村(imiki)’가 첨가된 것으로 볼 때 이들은 신라인이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幡羅(hatara)]는 해부족이었던 신라인들이 일본에 정착하여 자신들의 핵심 공간이었던 ‘海(바 patɐr)’을 명명한 것이다. 신라어 ‘海(patɐr)’는 일본에 전수되어 어말자음 [r]이 탈락하여 [patɐ]가 되고, 이것이 [hata]로 음운변이하여 ‘幡(hata)’로 남게 된 것이다. 또한 ‘羅(ra)’는 ‘国·村’을 의미하는 지명접미사로서 [幡羅(hatara)]의 의미는 ‘바다 건너 신라에서 온 사람들이 사는 마을’이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be helpful to the study on Ancient Korean Language and to shed light on the origin of Ancient Korean’s place names reflected in Ancient Japan. Dissertation deals with the migration and exploration of the Ancient Japanese city by members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s of Koguryo, Paekche and Shilla. The word “Hatara” comes from the language of the Shilla Kingdom. It combines “hata” which was phonetically changed from “patɐr(바)” and adds the prefix “ra” which is used as a suffix for a place name meaning “village” or “nation”. The two words when used together mean “The Village in Which the People of Shilla Live”.

      • KCI등재
      • KCI등재

        英祖代 윤음언해 자료의 간행의의와 統辭 - 『闡義昭鑑諺解』「뉸음」(1756)과 『御製戒酒綸音』(1757)을 中心으로 -

        심보경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to-related tone through the phase-related data “Cheoneui-Sogam-Eonhe Yuneum”(1756) and “Eoje-Gjeju-Yuneum-Eonhe”(1757). Yuneum Eonhae has published a document to let the general public know the king's direction in managing state affairs with the King's word. Yuneum Eonhae is valued as a source of Korean studies as it provides details on the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plans to manage state affairs in the event of a national disaster, reduce tax and tribute for poor harvests, and pay compensation to the people. Yeongjo wanted to let the people know about the economy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royal authority that he first thought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Yeongjo's Yuneum Eonhae character is characterized by the colloquialization of the interrogatory question statement, the rhyming couplet syntax of the repetitive vocabulary, syntax of the repetitive vocabulary, the direct quotation syntax comprised of the performing verb. 본 論文에서는 『闡義昭鑑諺解』 「뉸음」(1756)과 『御製戒酒綸音』(1757)을 중심으로 ‘英祖代 綸音諺解’ 자료의 刊行意義와 統辭的 特徵을 살펴보았다. ‘英祖代 綸音’은 국왕의 公式文書로 성장하여 ‘國政統治媒體’로 활용되었다. 영조는 ‘李朝王位繼承의 正統性 確立’, ‘奢侈를 멀리하고 儉素한 生活’와 같은 國政指標를 백성에게 널리 公表하기 위해 『闡義昭鑑諺解』 「뉸음」과 『御製戒酒綸音』을 諺解文으로 간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英祖代 綸音諺解’ 자료는 ‘修辭疑問文構文’, ‘同一語句反復構文’, ‘話法動詞構文’ 등이 생산적이다. ‘修辭疑問文構文’은 긍정진술을 이끌어내기 위한 ‘間接話行標識’로 보이며, ‘同一語句反復構文’은 입장을 명확하게 전달하려는 ‘意志標識’로 보인다. ‘화법동사+-ᄀᆞᆯ오ᄃᆡ’, ‘NP이/NP의+-ᄀᆞᆯ오ᄃᆡ/-닐오ᄃᆡ’ 구문의 ‘-ᄀᆞᆯ오ᄃᆡ/-닐오ᄃᆡ’는 話法動詞 기능보다는 ‘~에 의하면/~에 따르면’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引用標識’로 보인다.

      • KCI등재

        대학 역량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사례 연구 - 책읽기공동체 북클럽 경험이 대학생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

        심보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책읽기공동체 북클럽 경험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제시하는 데 있다. 대학생 책읽기공동체 북클럽 경험과 핵심역량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한림대학교 의사소통교육센터 비교과프로그램 ‘심비우스우수북클럽’을 연구대상으로 북클럽 운영보고서와 심층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자의 북클럽 경험의 변화 과정을 내러티브 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같이 읽기 협업 활동’으로 ‘책읽기의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타인과의 소통으로 지적 즐거움, 관계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되었으며, 다양성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성찰하는 변화’ 양상이 나타났다. 대학생 책읽기공동체 북클럽은 ‘소통협력역량’, ‘자아성찰역량’, ‘의사소통역량’ 등에서 유의미한 교육적 효과가 있어 대학 역량교육 정책 수립 및 대학생 핵심역량 성장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 GIS를 활용한 소지명 지도 제작을 위한 연구

        심보경 한국지명학회 2004 지명학 Vol.10 No.-

        본 연구에서 소지명 지도의 작성은 대한민국 1/5000 수치 지형도(국립지리원 발행)를 기본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수치 지도의 등고선, 지명, 도로, 수계 등의 레이어를 바탕으로 GIS 소프트웨어인 아크뷰(Arc View v3.2)와 이지맵(GEOMania EasyMAP v2.5)을 이용하여 소지명 지도를 작성하였다. 지금까지 지명 연구자들에 의해 작성된 ‘지명 지도’는 대부분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연구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리정보에 대한 지명정보의 부정확성’, ‘지명 어휘 자료의 수정, 보완,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GIS를 활용한 소지명 지도 작성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지명 어휘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GIS 기법을 이용하여 작성한 소지명 지도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명 어휘 자료의 수정, 보완, 체계적인 db 구축에 있어 효과적이다. 지명 조사 직후 지명 어휘 자료를 즉시 컴퓨터에 입력할 수 있으며, 잘못된 자료를 쉽게 수정이 가능하므로 자료를 체계적,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둘째, 연구자의 이용 방법에 따라 다양한 지명 어휘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 지명, ‘-버덩’ 지명, ‘-고개’ 지명 등의 지명 어휘 지도를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된 지도를 바탕으로 속성 정보인 지명 어휘 추출이 가능하므로 지명 어휘 분석과 특징 파악에 효과적이다. 셋째, 지명 어휘 분포도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연구자는 언어 지도(소지명 지도) 작성을 통하여 어휘 자료에 대한 분석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으며, 시각화된 지명 어휘 분포도는 사용자의 이해도를 높여 준다. 넷째, 작성된 소지명 지도를 웹서비스를 통하여 지역 주민에게 공개하여 일반인들이 감수에 참여, 지명 정보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정확한 지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한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IS를 활용하여 지명 어휘 자료를 db화하면 체계적으로 지명 연구를 할 수 있으며, 국어 어휘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구축된 지명 어휘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 단위, 전국 단위의 지명 사전 출판을 가시화할 수 있다. 셋째, 지명 종합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한 지명 인프라 구축을 할 수 있다. db화된 지명 어휘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 자료(제보자 사진, 지명 사진, 제보자의 음성 자료 지명 자료 등)를 지속적으로 추가, 보완하여 종합적인 지명연구 인프라 구축을 마련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