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교화 이론에 기초한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서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 분석

        심민희,김미정,김영남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3

        The contents of ‘Nutrition and Diet for Adolescents’ in the 12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middle school 1st grade textbooks are analyzed based on the elaboration theory. The elaboration theory is the lecture strategy with 7 essential elements, proposed by Reigeluth. The elaboration strategies shown in ‘Nutrition of Adolescents’ and ‘Diet for Adolescents’ are all the same in 12 books, the conceptual elaboration and the process elabora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elaboration strategies shown in ‘Diet and Dietary Habit for Adolescents·Nutrition Issues’ and ‘Proper Eating Habit and Nutrition Issues’ are different depend upon the textbooks, all 3 conceptual, theoretical, and process elaborations strategies are shown. The element of pro study is presented by study objective, opening the thinking, and looking back. The summarizer is presented in all 11 but 1 textbooks by various activities and data. On the other hand, the element of analogy has the lowest implementation rate, only 3 among the 12 textbooks implement the analogy. The cognitive-strategy activator and learner control are shown in all 12 textbooks, mostly by data. Implementation of more activities and more analogies might be helpful to the students'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Nutrition and Diet for Adolescents’. 본 연구는 Reigeluth의 정교화 이론에 제시된 7가지 교수전략 요소를 이용하여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영양’은 개념적 정교화, ‘청소년의 식사’는 절차적 정교화, ‘청소년의 식사 및 식습관·영양문제’와 ‘올바른 식습관 및 영양문제’는 교과서에 따라 각기 개념적, 절차적, 이론적 정교화 과정이 활용되고 있다. ‘청소년의 영양’과 ‘청소년의 식사’는 학습내용이 단일 주제인 반면, ‘청소년의 식사 및 식습관ㆍ영양문제’와 ‘올바른 식습관 및 영양문제’는 여러 개의 학습주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활용되는 정교화 과정이 다양한 것으로 판단된다. 선수학습요소는 학습목표, 생각열기, 돌아보기의 명칭으로 12종 교과서 모두에 활용되고 있으며, 요약자는 11종의 교과서에서 활동과 자료를, 종합자는 10종의 교과서에서 활동의 형태를 활용하고 있다. 비유는 활용 실태가 미흡하여 3종의 교과서에서만 활용하고 있고, 인지전략활성자는 활동보다는 그림, 표, 용어·문장의 자료 활용이 많다. 학습자통제 역시 활동과 자료 형태 모두를 활용하고 있다. 인지전략활성자와 학습자통제는 12종 교과서 모두가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교과서를 집필함에 있어 다양한 자료와 함께 학생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활동을 보강하고, 특히 학습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적절하고 다양한 비유를 찾아내려는 노력이 배가되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간투사 연구

        심민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硏究 Vol.- No.65

        In recent studies, interjections wer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tem to improve Korean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is study I analyzed interjections in five elementary speaking Korean textbooks and major analysis items were the meaning of the emergence interjections and the functions of that. As a result of analysis, 14 interjections have appeared in elementary speaking Korean textbooks, and it presented in order of frequency are as follows:네>그래요>아니요>아>여보세요>저>글쎄요>와>참>어=여기요=하하=음=자. I have set analysis standards of the meaning of the emergence interjections and function of that in Korean elementary speaking textbooks. The meaning of interjections can divide as 7 parts: affirmation, negation, amazement, worry,enlightenment, notice, hesit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6 parts of meaning has appeared except the meaning of worry. It presented in order of frequency are as follows:affirmation>negation>amazement>notice>enlightenment>hesitation. The functions of interjections have 4 parts: reaction of listeners, starting of speaking, change of subject, making time. As a result of analysis, it presented in order of frequency are as follows:reaction of listeners>starting of speaking=making time>change of subject. In addition, there were no explanations about the meaning of the emergence interjections and the functions of that in the textbooks. The punctuation marks were lacking in unity. To make a better speaking textbook, it is necessary to study based on corpus,and make a list of educational interjections apply to textbooks. And if possible it is better to have explanations about the meaning and the function of the emergence interjections. It c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ir own that would be needed. The research on the use of punctuation is also needed. This study is limited to analyzing elementary speaking Korean textbooks,so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and also expanded to all kinds of educational textbooks. 최근 연구에서의 간투사에 대한 인식은 ‘군더더기 표현’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 변화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한국어 교육에서 간투사는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고, 실제 교재에도 출현이 빈번하다. 이 연구에서는 다섯 권의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 분석을 통해 해당 교재의 대화문에 출현하는 간투사의 목록과 빈도, 의미와 기능별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총 열네 가지의 간투사가 ‘네>그래요>아니요>아>여보세요>저>글쎄요>와>참>어=여기요=하하=음=자’의 빈도순으로 출현하였다. 간투사의 의미는 ‘긍정, 부정, 놀람, 걱정, 깨달음, 알림, 망설임’의 일곱 가지 기준을 세워서 분석하였는데 ‘걱정’을 제외하고 여섯 가지의 의미에 해당하는 간투사를 확인할 수 있었고 ‘긍정>부정>놀람>알림>깨달음>망설임’의 빈도순으로 출현하였다. 간투사의 기능은 ‘청자반응, 발화시작, 화제전환, 시간 끌기’의 네 가지 기준을 세워서 분석하였는데 ‘청자반응>발화시작=시간 끌기>화제전환’의 빈도순으로 출현하였다. 한편, 교재의 대화문에 간투사가 제시되어 있으나 별도의 설명이나 연습이 없고 교재에 따라, 또 동일한 교재 내에서도 문장 부호의 사용이 통일되지 않은 점을 기타 내용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말하기에서의 간투사 사용이 더 이상 군더더기 표현이 아니라 화자의 전략적 사용으로 평가할 수 있는 만큼 간투사 교수-학습에 대한 논의가 더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투사를 대화문에 제시만 할 게 아니라 문장이나 상황 내에서의 대표적인 의미와 기능 등을 설명하고, 화용적 쓰임이나 억양별 차이 등에 대해서도 교재 분량을 할애하여 학습자 스스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다섯 권의 초급 말하기 교재의 대화문에 한정되어 있어 관련 연구의 첫걸음에 지나지 않으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중고급 말하기 교재를 분석하고, 나아가 전체 교재를 대상으로 정리한 후에 개선할 방향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간투사 학습과 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Dynamin 2 inhibitors as novel therapeutic agents in cervical cancer cells

        심민희,백이선,최현진,김태중,최철훈,김병기,배덕수,이정원 대한산부인과학회 2016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2 No.-

        목적: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ynamin 2 as a potential treatment target in cervical cancer cells using various dynamin 2 inhibitors. 방법: Tissue microarray for the expression of dynamin 2 was performed in 208 early cervical cancer patients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expression of dynamin 2 and primary tumor characteristics such as tumor size and depth of invasion. Then we performed in vitro using dynamin 2 inhibitors including MiTMAB, OcTMAB, Dynasore, and DD-6 on HeLa cells with proliferation, apoptosis, and migration assay. 결과: When we compare the expression level of Dynamin 2 based on the pathological findings, tumor size more than 2 cm and tumor invasion more than half of the entire cervix were associated with higher proportion of any dynamin 2 expression compared with no expression (+1, +2, and +3 vs. 0, p=0.013, p=0.045). All of dynamin 2 inhibitors including MiTMAB, OcTMAB, Dynasore, and DD-6 significantly decreased proliferation and increased apoptotic activity in HeLa cells. And also these all inhibitors significantly decreased MMP-9 expression compared with control in HeLa cells. In migration assay, dynasore and DD-6 decreased migration in in HeLa cells coated by laminin 1. However, DD-6 most strongly decreased migration performance in fibronectin-coated wells. 결론: Targeting dynamin 2 with various specific inhibitors may be a promising new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in the future.

      • Single port laparoscopic myomectomy with modified suture technique using Hem-o-lock ligation clip

        심민희,목지원,백이선,최현진,김태중,이정원,김병기,배덕수,최철훈 대한산부인과학회 2016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2 No.-

        목적: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new approach of single-port laparoscopic myomectomy and present the operative outcomes. 방법: The inclusion criteria were symptomatic myoma measuring 10 cm or less and the number of myoma less than 3. The modified suture technique consists of continuous suture in a double layer, horizontal mattress suture with Hem-o-lock followed by “Baseball type suture”. 결과: Forty-two patients (76.4%) had single myoma. The most common type of the largest myoma was intramural (65.5%) and anteriorly located myoma (47.3%). The mean diameter of myoma was 6.8 ± 1.5 cm (range 5.0 – 9.9 cm), as measured by ultrasound.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menorrhagia in 40% of patients followed by compression symptoms in 38.2%. The mean operative time and blood loss were 100.4 ± 41.1 minutes and 137.0 ± 116.9 ml, respectively. The mean hospital stay was 2.9 ± 0.6 days. No major complications occurred. Sixteen (29.1%) patients needed an additional port, and patients who were nulliparous and/or had a large myoma size needed an additional port more frequently (p=0.007, p=0.013, respectively). Two patients were pregnant after LM and they had a full-term delivery without side effects. 결론: SP-LM using modified suture technique is a feasible and effective in selected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