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정 방식에 따른 근관 충전용 실러와 치근단 수복 재료의 경화시간 비교

        심규연,신성진,오승한,배지명 대한치과재료학회 2023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50 No.3

        본 연구는 치과용 근관 충전용 실러와 치근단 수복에 사용되는 칼슘 실리케이트 시멘트에 대해 측정방법에 따른경화시간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근관 충전용 실러5종과 치근단 수복용 칼슘 실리케이트시멘트 4종이었다. 경화되는 동안 모든 재료는 각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혼합하여 37 ℃, 상대습도 95% 통에서 보관하였다. 측정 방법은 1/4 파운드 길모어 니들(Indenter A)과 1파운드 길모어 니들(Indenter B)을 이용해서 압흔이 남지 않는시간과 시편 두께인 2 mm를 관통하지 않는 시간, 2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압흔의 여부는 길모어 니들을 수직으로놓았을 때, 육안으로 재료 표면에 자국이 남지 않는 때를 기준으로 하였다. 같은 종류의 길모어 니들을 사용하여압흔이 남지 않는 시간과 시편 전체를 관통하지 않는 시간을 비교하였을 때, ProRoot MTA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있었고(P<0.05) 다른 재료들에서는 측정 방법 간의 차이가 없었다(P>0.05). 본 실험을 통해 압흔방법을 통해비교적 실제 임상상황과 유사한 경화시간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setting times based on the methods for dental root canal sealers and calcium silicate cement used in root-end filling. Five kinds of dental root canal sealers and four kinds of calcium silicate cement for root-end filling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s. All materials were mix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nd stored at 37 ℃ with a relative humidity of 95%. Setting time was measured using a 1/4 pound Gillmore needle and a 1 pound Gillmore needle to determine the time until indentation was no longer visible or the time until 2 mm penetration was no longer possible. The determination of indentation was based on the absence of visible impressions on the material surface when Gillmore needle was placed vertically. When comparing indentation time and penetration time using same type of Gillmore needle, only ProRoot MTA using 1 pound Gillmore need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suring methods (P<0.05) while there are no differences in measuring methods in other materials (P>0.05). By this study, we could expect to measure a setting time relatively similar to real clinical conditions through indentation method.

      • 블록 특성 기반 분리 관리를 통한 희생 캐쉬 성능 향상 기법

        심규연,최용,김종면,김철홍 한국공학안전보건예술학회 2016 한국공학예술학회 논문지 Vol.8 No.1

        최신 컴퓨팅 환경에서는 메모리와 프로세서 사이의 처리속도 차이로 인한 성능 감소를 줄이기 위하여 계층적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계층적 메모리 구조에서는 상위 레벨에서 적중률이 커야 전체 평균 메모리 접근 시간이 감소하기 때문에 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희생 캐쉬는 직접 사상 1차 캐쉬의 적중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안된 대표적인 상위 레벨 의 적중률 향상 연구 중 하나이다. 작은 크기의 완전 연관 구조를 가지는 희생 캐쉬를 1차 캐쉬 와 같은 계층에 추가하여 충돌 미스로 인해 저하되는 직접 사상 1차 캐쉬에서의 적중률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희생 캐쉬는 1차 캐쉬에서 충돌 미스로 인해 교체되는 블록들을 적재시키 는 방식으로 동작하면서 프로세서가 1차 캐쉬와 동시에 접근하게 함으로써 성능 감소 없이 1차 레벨 캐쉬의 적중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작은 크기의 희생 캐쉬에 더티 블록과 클린 블록이 번갈아 들어오게 되는 경우에는 더티 블록이나 클린 블록들이 새롭게 적재되는 블록들로 인해 재사용의 기회가 있었더라도 교체되면서 희생 캐쉬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 서는 이와 같은 기존 희생 캐쉬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블록의 특성에 따라 희생 캐쉬를 분리시켜 관리하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크기의 1차 캐쉬의 사 상 방식을 2-way, 4-way, 8-way, 16-way로 하였을 때 제안 기법이 기존 희생 캐쉬와 비교하여 성능을 정수형 프로그램에서는 평균 약 1.54%, 부동소수점형 프로그램에서는 평균 약 0.43%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Latest computing environment use hierarchical memory to reducing performance decrease because of speed gap between processor and memory. In Hierarchical memory architecture, if higher level’s hit rate is high, average memory access time is reduce. So many studies for increasing higher level’s hit rate have been conducted. Victim cache is representative research for increasing direct mapped first level cache’s hit rate. Small size fully associative victim cache is added to same level of first level cache, then can increase direct mapped first level cache’s hit rate. Victim cache loads evicted blocks due to first level cache’s conflict misses and accessed simultaneously with first level cache by processor so can increase first level cache’s hit rate without decrease performance. But, when dirty block and clean block is loaded alternately in small size victim cache, these blocks can evicted because of newly loaded block whether the block have a chance for hit or not. This can make victim cache’s performance decrea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ctim cache partitioning architecture to solve the conventional victim cache’s problem. As a result of experiment, when first level cache associativity change 2-way to 16-way, proposed technique increase performance average 1.54% in integer program, and 0.43% in floating point program compared with conventional victim cache.

      • KCI등재

        세트별 재사용 정보 기반 쓰래싱 저항 캐쉬 관리 기법

        심규연(Gyu Yeon Sim),김철홍(Cheol Hong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2 No.3

        In recent computing systems, LRU replacement policy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it can be simply implemented and applicable to most programs. However, if the working set size of the program is bigger than the actual cache size, LRU replacement policy may occur thrashing problem. Thrashing problem means that cache blocks are consistently replaced without re-referencing in the cache. This paper proposes a new cache management scheme to solve the thrashing problem in the second-level cache. The proposed scheme measures per set reuse frequency using EAF structure to find thrashing sets. When the cache miss occurs, it tests whether the address of the missed block is stored or not. If the address of the missed block is stored, it means that the recently evicted block is re-requested, so the reuse frequency is predicted high.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counter of the set is increased. When the counter value is bigger than the threshold value, we assume that the corresponding set shows high reuse frequency. The proposed scheme assigns the set with high reuse frequency to the additional small size cache to keep the blocks in the cache for a long time.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mproves the IPC by 3.81% on average.

      • 불확실성 SWMM 모형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심규범,정건희,종상,김응석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최근 이상기후 및 급속한 도시화로 이한 불투수 면적비율이 증가되면서 내수침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내수침수는 주로 내수배제의 불량으로 발생하며,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막고 효율적인 도시홍수방어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강우-유출 모형의 해석이 필요하지만 실제 자연 현상을 해석하는데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매개변수들이 가지는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고, 불확실성 정량화 지수를 제안하였다. 도시유역의 유출해석에 사용되는 SWMM 모형의 매개변수 중 6개(유역폭, 불투수면적비율(%), 투수 및 불투수유역 조도계수, CN, 관조도계수)를 대상으로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베타분포를 적용하여 Monte Carlo Sampling 기법으로 총 100개의 시나리오로 계산하였다. 계산결과 투수 및 불투수유역의 조도계수와 관조도계수의 총불확실성이 다른 매개변수들에 비해 크게 계산되어 조도계수값의 결정이 어려운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불확실성 정량화 지수를 계산한 결과 관조도계수가 가장 크고 CN값이 가장 작은 것으로 계산되었다. 유역폭, 불투수면적비율, CN값은 매개변수값이 증가할수록 총유출량도 증가하였으며, 이 중 CN값의 변화에 따른 총유출량 증가량은 매개변수 증가량을 알면 거의 정확히 결정이 가능한 것으로 불확실성 정량화 지수가 계산되어 불확실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라 총유출량의 변화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불확실한 것으로 계산되었으며, 총불확실성도 관조도게수가 가장 컸으므로, 도시유역의 유출 계산에 가장 큰 불확실성을 야기하는 매개변수는 관조도계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생태저류지의 강우유출수처리비 산정공식 개선

        종상,심규,최보경,김상단,임태효,김응석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4

        In this study, the formula of stormwater captured ratio taken into account both the weir and orifice of a bio-retention pond which is one of non-point pollutant control facilities is derived. EPA SWMM is applied to develop the formula according to different capacities of the facility. After a comparison with the formula being applied to an existing, the newly proposed formula will be calculated by intercepting more stormwater than the previous formula in the case that the pond has been installed in the same capacity. Since most of the pond may have a discharge process through an orifice, the proposed formula can be found to be able to reflect a more realistic than the previous formula. Therefore, it can be thought that the existing formular of rain captured ratio has underestimated the amount of intercepting stormwater.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저감시설들 중 생태저류지를 대상으로 위어 및 오리피스가 모두 고려된 강우유출수처리비 공식이 유도된다. 다양한 저류지 용량에 따른 강우유출수처리비 공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EPA SWMM 모형이 적용된다. 새롭게 제안된 강우유출수처리비 공식을 기존 강우 처리비 공식과 비교한 결과, 같은 용량의 저류지를 설치한 경우 제안된 강우유유출수 처리비 공식이 기존의 강우처리비보다 더 많은 강우유출수를 차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저류지들은 오리피스를 통한 방류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안된 공식이 기존 공식보다 더 현실을 잘 반영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강우유출수처리비는 차집된 강우유출수의양을 과소평가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 LID요소기술의 위치에 따른 유출특성 분석

        종상,심규,김응석,신현석,이재혁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급격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인한 도시유역의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도시의 물순환 체계를 변화시켜 우수유출수에 의한 지속적인 피해를 가져왔다. 이러한 우수유출수에 의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기존의 집중형 유출저감 시설물을 이용하으나, 집중형 유출저감 시설물들의 문제점이 들어남에 따라 미국 PGDER(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에서 처음 시행된 분산형 유출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의 계획 및 적용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다. 현제 국내에서는 LID요소기술의 적용에 따른 대상유역의 유출특성(첨두유출량, 총유출량)의 저감효과 및 비점오염원 저감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상유역내의 LID요소기술의 적용 위치에 따른 유출특성 저감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현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유역에 LID를 적용하여 모의할 수 있는 SWMM모형을 이용, LID요소기술의 적용 위치에 따른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유역은 상습침수지역을 바탕으로 동일한 특성의 소유역과 관거를 이용한 관망도를 구축하였다. 적용 LID요소기술 선정은 대상지역이 새롭게 건설되는 유역이 아닌 기존의 도심지이기 때문에 별도의 부지가 필요하지 않고 기존의 기반시설들과 연계하여 설비 가능한 옥상녹화와 투수성 포장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LID요소기술을 가상유역의 소유역 위치에 따른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소유역 위치에 따른 옥상녹화와 투수성포장의 유출특성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SWMM-LID모듈을 이용하여 옥상녹화와 투수성포장의 적용 위치에 따른 유출특성 저감효과는 적용 위치에 상관없이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SWMM모형의 옥상녹화와 투수성포장의 적용 위치에 따른 불확실성을 배제하여, 실제 유역의 적용 가능 면적 및 가격 등을 고려한 최적의 LID요소기술적용 조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