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뇌탕(救腦湯)을 비롯한 한의치료로 호전된 긴장형 두통 환자 증례 보고 4례

        신지혜,조윤영,백태현,박해모,선승호,Shin, Ji-hye,Cho, Yoon-young,Baik, Tai-hyeun,Park, Hae-mo,Sun, Seung-ho 대한한방내과학회 201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8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describe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herapy on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s.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pati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s.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herapies, such as herbal medicine (Gunoe-tang), acupuncture, and cupping, in addition to physical therapy. None of the patients took any analgesics during the admission perio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for headaches was used. Results: After the treatment, the patients' complaints decreased, as shown by the results of the NRS. Conclusion: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may ameliorate tension-type headaches.

      • KCI등재

        조선후기 영악전(靈幄殿) 기능수용에 따른 정자각 평면변화 고찰

        신지혜,Shin, Ji-Hye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 건축역사연구 Vol.18 No.4

        The "Jeongjagak(丁字閣, T shaped building)" was important building from Goryeo Dynasty to Joseon Dynasty. For long period, the scale and form of the building had been changing bit by bit. The change of building results from the function. As the Jeongjagak accepted the functions of the Yeongakjeon(靈幄殿), there appeared changes of plane. The main function of Yeongakjeon was suppling space for the dead king's coffin. The Yeongakjeon was not built in the first year of King Sukjong(1674). At that time, the Jeongjagak wa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Yeongakjeon as an alternative. Starting from this, the Jeongjagak was used as space for the dead king's coffin. Because the coffin should place on from south to north, it demanded long inner space in south-north direction. Therefore the effort to make enough length in south-north direction was begun from the first year of King Sukjong(1674).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Toigu(退構) was made from the reign of King Sukjong to the 28th year King Youngjo(1852). The Toigu was temporary inner space which was made in one compartment at the Baewichung(拜位廳, the part of the Jeongjagak). But the length of the Jeongjagak's south-north direction was reduced to 61.8m(20尺6寸) at the 33th year of King Youngjo(1857) when the "Gukjosangryebopyon(國朝喪禮補編)" was completed. Also it extended to 84m(28尺)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1774~1800). Following these process of extension and reduction, the length was standardized as 72m(24尺) at the reign of King Sunjo(1800~1834). These facts explains that the main cause of plane change at the Jeongjagak was acceptance of functions that was used as space for the dead king's coffin. Also, the important points of change at the Jeongjagak were the first year of King Sukjong, the 33th year of King Youngjo and the first year of King Sunjo. When it was the first year of King Sukjong and the 33th year of King Youngjo, there were two national funerals. Because of concern about the increasing labor and tax of the nation, the scale of the Jeongjagak was changed to decreasing size. Due to the improvement of drawings and annotation on a Eugwe(儀軌) at the first year of King Sunjo, the size of Jeongjagak was standardized.

      • KCI등재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참여자 요구 분석

        신지혜,이혁규,엄훈,정정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1 敎員敎育 Vol.27 No.4

        This study aims to improve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on the Class Critique through the needs assessment and analysis. To examin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needs for the improvement of this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for the satisfaction with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interviewed with a group of participants in this training program. Findings from the needs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of this training program, this study , firstly, proposed that it offer the various cases of teaching practices. Secondly, it also suggested that this program require to guide teaching methods and procedures about class critique to those who would participate in this program. On behalf of the formation of this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t should be organized into participants' active engagement with the various activities by understanding the theory and practices of class critique. It also necessarily considered the flexibility of participants' location to facilitate dialogue and discussion. The materials in this training program should be sequentially ordered. It is also required providing appropriate feedbacks for the pre-given assignments.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results from the needs assessment and analysis, the futur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on class critique should be reset its direction for the plans and operation.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 양성기관에서 실시된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수에 참여하였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만족도를 조사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연수 프로그램 개선과 관련된 요구를 분석하였다. 개선 요구 분석 결과,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관련해서 보완되어야 할 점은 첫째, 다양한 수업 사례 제시와 둘째, 수업비평의 방법과 절차에 대한 단계적인 안내이다. 또한 수업비평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방식과 관련해서는 첫째, 수업비평에 대한 이론과 실제가 경험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활동 중심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둘째, 연수 참여자들 사이의 원활한 대화와 토론을 위해 유연한 자리배치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연수 관련 자료 제시 순서에 고려와 과제에 대한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앞으로 진행될 연수 프로그램의 계획 및 운영 방향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

        실행공동체를 활용한 교사 전문성 개발 연구 동향 분석: 음악교사 전문성 개발 연구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신지혜 한국음악교육학회 2015 음악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국내외 실행공동체를 활용한 교사 전문성 개발과 관련된 논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내 음악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5년 4월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논문을 선정하여 대상별, 연구목적/주제별, 연구방법별의 범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상별 분석 결과 미국에서 진행된 연구(43.5%), 다양한 교과 교사로 구성된 공동체에 대한 연구(58.3%), 다양한 학교급 교사로 구성된 공동체의 활동에 대한 연구(50%)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의 목적 및 주제에 대한 분석 결과 실행공동체의 효과 분석에 대한 연구(36.6%)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 방법 분석 결과 질적 연구를 사용한 논문(77%)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비슷한 경력의 동일한 학교급 환경에 있는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교사 공동체 경험이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양적 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EUNHA: a New Cosmological Hydrodynamic Simulation Code

        신지혜,김주한,김성수,박창범 한국천문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ol.47 No.3

        We develop a parallel cosmological hydrodynamic simulation code designed for the study of formation and evolution of cosmological structures. The gravitational force is calculated using the TreePM method and the hydrodynamics is implemented based on the smoothed particle hydrodynamics. The initial displacement and velocity of simulation particles are calculated according to second-order Lagrangian perturbation theory using the power spectra of dark matter and baryonic matter. The initial background temperature is given by Recfast and the temperature fluctuations at the initial particle position are assigned according to the adiabatic model. We use a time-limiter scheme over the individual time steps to capture shock-fronts and to ease the time-step tension between the shock and preshock particles. We also include the astrophysical gas processes of radiative heating/cooling, star formation, metal enrichment, and supernova feedback. We test the code in several standard cases such as one-dimensional Riemann problems, Kelvin-Helmholtz, and Sedov blast wave instability. Star formation on the galactic disk is investigated to check whether the Schmidt-Kennicutt relation is properly recovered. We also study global star formation history at different simulation resolutions and compare them with observations.

      • KCI등재

        현장실습의 반성적 사고 과정에 나타난 중등 예비 음악 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신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experienced reflective practice in field-teaching setting. The participants were 18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course titled by ‘Practice in Music Education Professional Careers,’ and they participated in survey, reflective journal, and individual interviews.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reflective practice was an important component to enable participants to deepen PC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eservice music teachers with an opportunity to think critically about music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and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and explore new alternatives and better methods. Second, direct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reflective practice on this experience greatly helped preservice music teachers develop their PCK. Especially, better understanding about students had positive influence on sense of purpose toward music teaching and teaching representations as well as knowledge on learners. Third, cooperation with peers helped preservice music teachers promote their reflective thinking and develop PCK.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실습의 반성적 사고 과정에 나타난 중등 예비 음악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PCK)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A 교육대학원 ‘교직음악현장의 이해’ 과목을 수강한 1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성찰 저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실습의 반성적 사고 과정을 경험한 후 예비 음악 교사들의 음악교육의 목적 지식, 수업 전략 지식, 학생 지식, 평가지식, 환경적 맥락 지식은 확대되고 다변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 음악 교사의 PCK 발전을 위해서 이들이 교과 내용, 수업 전략, 교과교육의 목적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이러한 영역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 등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현장실습에서 학생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하고 이에 대해서 반성적인 사고를 한 경험은 예비 음악교사들이 PCK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었다. 학습자와 소통함으로써 이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된 것이 학생 지식뿐만 아니라 음악교육의 목적 지식과 수업 전략 지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동료들과의 토론과 협동은 예비 음악 교사들의 현장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켜주고 이를 통해 이들이 PCK를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 KCI등재

        20세기 초 미국의 정신이상 외국인(alien insane)과 이주장치 ― 증기선 회사와 사회복지단체를 통해 “삶의 복잡다단한 면” 살펴보기 ―

        신지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2023 梨花史學硏究 Vol.- No.66

        This essay examines steamship companies and social service agencies as the two main migration apparatuses of the U.S. government and discusses the ways in which the “alien insane” were forced to navigate the complex web of immigration to and deportation from the United States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Steamship companies and social service agencies intervened in every step of the immigrant’s journey and were involved in the transportation and care of those deported from the United States for insanity and other mental defects. From the outside, both seem to have served the interests of the immigrants. Steamship companies fought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Immigration Bureau to provide humane care for the “alien insane,” and, of course, to reduce their costs. Social service agencies also communicated with deportable immigrants, relatives and friends, and fellow social workers stationed in foreign ports, to find a more lenient means of deportation and to bring the deportees home safely. Intentionally or not, however, they functioned as the government’s migration apparatus as well as an instrument of disease control that aided and abetted the exclusion of “undesirable” immigrants from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이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신지혜 미래음악교육학회 2023 미래음악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on preservice music teach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Blended learning was incorporated in the subject titled ‘Introduction to Music Education,’ and the survey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from 39 preservice music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n blended learning positvely affected preserivce music teachers’ learning need diagnosi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but it did not influece on choosing learning strategies. Consequently, when teacher educators pla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help preservice music teachers learn how to devise learning strategies. Second, the interaction among peers and between learners and a professor in blended learning enabled preservice music teachers to get more divergent thinking among problem solving skills. Third, reflective journal in blended learning was the main element to positvely affect evaluation el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Teacher educators need to give frequent feedback on reflective journals and increase the number of reflective journals so that they could help preservice music teachers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본 논문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이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 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과목 중 음 악교육론 과목에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고 39명의 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성 찰저널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이론과 실 제의 결합은 예비음악교사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중 학습욕구진단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학습전략의 선택에는 큰 효과를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예비음악교사들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의 수업 환경을 고려할 때 학습을 위한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는 것에 더해 이 를 바탕으로 학습전략을 구상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둘째, 블렌디드 러닝의 교수자와 학습자 간,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의 증가는 예비음악교사들의 문제해결력 중 확산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블렌디드 러닝 과정에서 성찰저널은 예비음 악교사들의 문제해결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평가 부분을 변화시킨 주요한 요인이었다. 블렌디드 러닝의 학습효과를 높이고 이 과정에서 예비음악교사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성찰저널에 대한 교수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피드백 및 성 찰저널의 횟수를 늘리는 것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영어 다독을 통한 학습자 수준별 읽기 전략 변화연구

        신지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s English extensive reading in middle school and analyzes the changes in reading strategies by the learner’s level. Methods To this end, a 12-week extensive reading class was conducted for the 3 levels of 6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observation journals, reading journals, and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transcription, coding and categorization, and theme development. As a result, high-level learners understoo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strategies well, selected and used appropriate methods for the situation, and the areas of frequently used strategi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arner's level. Results Students at the middle proficiency level students used Problem solving strategies when they faced the difficulties. Lower proficiency level students tried to activate their prior knowledge and use the pictures of the text, but with limited results. Conclusions Based on this results, the researchers would like to give some suggestions. First, Extensive reading program should be prepared beforehand. Various Extensive reading program and English library should be offered. Reading various materials will build confidence and clear goals to the students. Second, students should able to select material they can read with ease. They should not experience the frustration of reading materials beyond their reading capabiliti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침 독서 교실을 이용해 다독 활동을 진행하고 정규 수업 시간을 통해 다독 후 활동을 전개하여 관찰된 학습자의다독 전략을 상, 중, 하 수준별로 심층 분석하여 다독을 통한 학습자의 수준별 읽기 전략 변화 양상을 정립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12주에 걸친 다독 수업을 진행하였고, 학습자의 내면 변화 과정을 관찰하기위해 맥락적 관점에서 학습자를 파악하고 심층적인 정보를 얻어 유의미한 해석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으로 관찰일지, 리딩 저널, 인터뷰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한글 파일로 전사를 한 후 NVivo1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코딩과 주제화를 실시하였다. 코딩된 자료들을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삼각 검증법(triangulation)의 세 단계를 거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였다. 결과 다독을 진행하며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읽기 전략 사용을 비교해 본 결과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은 다양한 전략의 종류와 특성을잘 알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위 수준의 학습자는 총체적인 읽기 전략과 문제해결읽기 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 중위 수준의 학습자는 문제해결 전략, 하위 수준의 학습자는 지원적 읽기 전략, 문제해결 전략을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다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위 수준의 학습자는 자신의 전략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면 전략을 수정하고다시 적용해 보는 모습을 자주 보였으나 중위 수준의 학습자와 하위 수준의 학습자는 처음에는 적절한 적용 능력이 부족해 문제가발생하면 포기해 버렸던 모습에서 다독을 진행해나가면서 몇 가지 전략들을 적용하려는 모습이 보였다. 결론 읽기 전략은 연습을 통해 학습자들이 원하는 내용과 수준을 골라서 오랜 기간 동안 책을 읽는 다독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내재화될 수 있다. 다독은 역량 중심의 패러다임 내에서 영어과 창의 융합형 인재를 기를 수 있는 가장 좋은 현실적인 대안이다. 이에 각학교에서는 학령별 독본을 구비하고 다독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자유학기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등을 확보해 현실적인 다독의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