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인식하는 유아보육교사의 자질과 문화효능감이 기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신준섭(Shin, Jun Seob),최옥주(Choi, Ok Jo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질이 기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다문화효능감이 이들 변인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분석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를 위해 유아보육기관에 자녀를 보내는 다문화가정 학부모 201명을 무작위 추출방식을 통해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0.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그리고 AMOS를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보육서비스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이용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육 능력과 문화적 포용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배려가 높을수록 보육서비스, 행정서비스, 이용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보육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평가함에도 불구하고 유아보육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이 실질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아보육기관에서 다문화교육이 적극적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변화와 정기적인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how the qualifications of childcare teachers influence institutional satisfaction as well as how multi-cultural efficacy works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ose two variables. The study randomly selected two hundred and one (201) multi-cultural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daycare centers as a study sampl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reliability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0.0 for Windows and AMOS module. The analyses suggested the following: (1) the higher the teachers' expertise, parents perceived the lower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parents perceived; (2) the higher the teachers's expertise, teachers demonstrated the higher the capablities of teaching multiple cultural aspects and cultural tolerance; (3) the teachers more considerate towards multi-cultural households, the parents perceive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childcare service, administration service, and institutional usage; and (4) the teachers' expertise influenced childcare service significantly. These implied that people highly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but there might be a gap between theoretical and actual practices going on in the field. Our results suggest that it is required to achieve the shift of teachers'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toward multi-cultural households and to provide continuing education of multiple cultures for the teachers on a regular basis in order to encourage beneficial multiple cultural education at childcare institutions.
장애아 가정의 가족 건강성이 비장애 형제, 자매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신준섭 ( Jun Seob Shin ),양호정 ( Ho Jung Yang ),백에스더 ( Esther Baik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family health and school adjustment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ervening roles of self-esteem and stress were also analyzed between the relationship.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n = 178) residing in Seoul, Kyunggi, and Choongcheong participated to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amily health perceived by the siblings showed meaningful effect on their self-esteem and level of stress. A partial intervening role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this study implying causal relationship family health → high self-esteem → better school adjustment for the sibling. However, stress didn`t have an intervening role. Based on the results,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identified focusing on strategies to enhance overall family function of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신준섭(Shin, Jun-Seob),이강훈(Lee, Kang-Hoon),김경수(Kim, Kyong-Soo),이용일(Lee Yong-Il)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7
본 연구는 장애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낙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요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지역사회 재가 장애인 대상의 서비스 개입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낙인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충북 충주시와 음성군에 거주하는 173명의 재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지각된 낙인은 우울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며, 또 이 관계는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가 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키고 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차원의 개별적이고 임상적인 서비스의 개발 및 제공의 필요성과 함께 장애인에 대한 낙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of social stigma,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 focus was given to the empirical tests of the interven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tress between the relationship of social stigma and depression. One-hundred- seventy-three(173) people with handicapped living in the community in Chungju and Eumseong participated to the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stigma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this causal relationship was due to intervening roles of self-esteem and stress between the relationship. Drawn from the results, the need for enhancing self-esteem and managing stres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Further, a need for developing more broad systematic approach in community level dealing with social stigma on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identified.
신준섭(Jun Seob Sh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0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7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폭력이 궁극적으로는 사회복지활동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근거로 아동보호서비스 현장 종사자들에 대한 아동의 부모 및 보호자에 의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와 폭력의 부정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전국 43개 아동보호전문기관에 근무하는 207명의 종사자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는 2007년 한 해의 경우 아동의 부모와 보호자에 의한 폭력 경험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62.8%(n=130)로 나타나 다른 서비스 영역의 종사자와 유사한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경험은 현장실무경력이 많고, 직급이 높은 종사자에게 좀더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폭력을 경험한 종사자는 불쾌감, 지침, 소진, 당황등과 같은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어려움은 여성 응답자에게서 좀 더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폭력 경험은 응답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 같은 업무 관련 요인에도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lient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may imped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interven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alence and negative effects of client violence among child protection workers. A national sample of 207 child protection workers participated to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62.8%(n=130)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violence by children`s parents or other guardians in the year of 2007. This prevalence was similar level to that of other service fields. However, perception about client violence of the respondents was more serious than workers in other fields. Respon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ent violence showed emotional reactions such as angry, burnout, frustrated. This emotional reaction impacted more on woman respondents. This study further found that client violence had negative effects on such work-related variables as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신준섭(Jun Seob Shin),이영분(Young Boon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8
지난 200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에 대한 신상공개 제도는 위헌논란을 중심으로 많은 사회적 관심과 함께 첨예한 찬반논란을 불러온 정책이다. 이 제도는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에 대한 신상공개라는 강력한 사회적 처벌을 매개로 청소년 대상 성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이를 통해 잠재적 범죄자의 범죄행위를 억제하는 일반예방효과에 초점을 둔 정책이다. 따라서 미국의 Megan법과는 달리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에 대한 사법당국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성범죄자의 지역사회 거주사실을 공지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지역사회보호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이와 같은 정책목적에 대한 현행 제도의 효과성 탐색을 위해 본 연구는 고교생 이상 성인 1,409명을 대상으로 이 제도의 시행이 일반 시민들의 청소년 대상 성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하는데 얼마나 영향을 주었으며 또 이와 관련이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현행 제도가 청소년 대상의 성범죄에 대한 일반인의 경각심을 높이는 효과를 일정 수준에서 지지하였으며, 신상공개제도에 대한 관심 및 지지, 공개대상자의 지역사회 거주 사실 확인 등이 응답자의 경각심 제고에 중요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신상공개제도의 일반예방효과를 높이고 이를 통해 이 제도의 궁극적 정책목적인 성범죄의 위험으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notification policy of sexual offenders against adolescents on enhancing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of sexual crimes. The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heightening public awareness can be a starting point in combating such crimes. Results of the data, drawn from a sample of 1,409 respondents across the nation, showed that the notification policy enhanced public awareness. Factors related to this increase in awareness were respondents` concern about or familiarity with the policy, and their experience in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known sexual offenders in their commun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ategies for enhancing public awareness of sexual crimes on adolescents were formulated. The need to develop treatment programs for sexual offenders and to conduct future research for evaluating current policy`s effectiveness were also discussed.
신준섭(Shin, Jun-Seob)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적 측정을 위한 조직혁신성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척도개발을 위해 먼저 문헌분석과 전문가 조사로 조직혁신성 측정을 위한 37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예비 문항에 대한 사회복지현장실무자 178명 대상의 1차 설문조사자료로 실행한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7요인(리더십 혁신, 팀워크 혁신, 업무 혁신, 프로그램개발 혁신, 환경관리 혁신, 프로그램기술 혁신, 아이디어 혁신), 31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들 7요인 구조의 적절성은 2차로 실시한 사회복지현장실무자 409명 대상의 설문조사자료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또 조직혁신성 척도의 7개 하위 요인 모두는 조직혁신문화 변인과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정(+)의 유의한 관계로 나타나 조직혁신성 척도의 준거타당성이 확인되어 추후 연구에서 사회복지조직의 혁신적 측정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mpirically-based inventory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Review of literature on innovation research and panel study resulted thirty-seven(37) pre-items for measuring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re-items drawn from the first survey data of 178 social workers revealed seven(7)-factor structure of 31 items. The factors included leadership innovation, team work innovation, task innovation, program development innovation, program technology innovation, idea innovatio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second survey of 409 social workers also indicated relevance of seven(7) factor structure of the inventory. Further these seven factors showe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measures for innovation culture indicating the inventory ha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Although additional work remains in methodological issues,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have shown that this inventory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can be an useful tool for assessing innova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신준섭 ( Jun Seob Shin ),안형기 ( Hyung Ki Ahn ) 한국행정학회 2013 한국행정학보 Vol.47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novativenes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nonprofi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 national survey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21 organization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path analysis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 organizational commitment → organizational performance showed that innovativeness had both a direct positive effect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a path of innovativeness →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performance did not show a meaningful causal relationship, since job satisfaction had no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Rather, additional analysis revealed that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us,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organizational members` work attitudes were partially suppor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encouraging innovation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are suggested.
전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현황과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이충환 ( Chung Hwan Lee ),신준섭 ( Jun Seob Shi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지방행정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ivation level of childbirth policies by local governments and their effect on birthrates. The data on current status of childbirth policies were collected through a national survey on local government employees who were in charge of childbirth policies in local governments except for Jeju-do. Data Base of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were used for childbirth rate and socioeconomic factors on local governments in 2009. Major findings included that healthcare support, information supply, child care support policie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However, policies on childbirth-friendly social atmosphere and manpower/supplies support have been poorly activated implying a need to promote balanced policies to encourage childbirth. The activation level of the policies were not differ by local governm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birthrate in 2009 revealed that the on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f economic support policy on birth rate suggesting a limited effect of the policies on the birthrate. Among the economic support policie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was detected in childbirth grant policy only. Based on these results, a need for more balanced childbirth polices and for reconstruction of current policy responses to encourage childbirth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