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사회성 중재 콘텐츠 개발 경험에 대한 개발자 인식 연구

        신윤희,이경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2 No.2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을 위한 메타버스 콘텐츠 개발자들의 개발경험을 통해 개발자들의 인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개기관의 5명의 참여자들과 개별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전사된 자료는 개방형코딩과 축코딩과정으로 진행하여 최종 3개의 대주제와 6개의 소주제로 나눌 수 있었다. 연구결과 플랫폼 개발시 기획배경과 운영에 대한 인식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인들이 실생활에 입각한 사회성 프로그램으로 주로 다양한 상황과 환경에서 사회적 기술을 증진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영유아부터 성인기까지 다양했다. 또한 개발기간은 주로 3년으로 임상과정을 거치면 3년 이상이 되었다. 플랫폼의 개발과정에서는 현실과 똑같은 모의상황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였으며 몰입과 보상시스템 등 욕구와 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개발과정에서 접근성과 보급비용, 오프라인과 다른 환경이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개인정보와 윤리적 고려에 대한 부분도 고려했음을 알수 있었다. 플랫폼 개발이후 연구로서의 플랫폼 개발에서의 비판적 의견이 있었고, 이에 기술증진과 자폐스펙트럼장애 당사자에게 미치는 영향, 치료적 형태와 효용, 윤리적 문제들이고려점으로 인식되었다.

      • KCI등재

        메타버스 및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교육적 중재연구의 동향 및 분석

        신윤희,조태곤,한경인,정규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8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s trends in overall studies related to educational interventions based on metaverse and AI, and analyzes the literature of previous studies on who, what platform, and in which areas educational use was made i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hrough this, trends an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Methods The literature was selected by the PRISMA method, and the analysis tools of author, year, research title, education field, area, research method, and variabl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re-categorized by continuously extracting and organizing classifications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research group. The subject areas was recategorized into architecture, engineering, science, liberal arts, cross-curricular learning, health care, mathematics, practical subjects, language, history, art,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and mixed, and the research method platform was recategorized into mirror world, augmented reality, lifelogging, virtual world, AI, and mixed. the data were express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Studies on educational intervention using metaverse and AI is rapidly increasing since 2017, and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general education. In addition, research on AI and virtual world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I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experience-centered education using the mirror world is prioritized, but in general education, fostering future talent and in special education, improvement of the subject's function is given priority. Also, slightly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in the use of the platform, the subject of study applied, and the area of education used. Conclusions In each field of education, it was seen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subject area increases depending on who has what purpose of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what kind of platform is used for effective teaching within the subject area is determined. Thi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성찰 역량’ 함양을 위한 글쓰기 교육 시론(試論) - 딜레마 서사의 활용 가능성 탐색 및 교육적 제언을 중심으로

        신윤희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stablish the goal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post-social era and to suggest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Therefore, we considered the competencies that learners should have against the times and social trends as “reflection capabilities” and explored writing education to strengthen reflection capabilities. In order for this to be taught and evaluated objectively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was suggested to look at this reflection from a competency-centered perspective. In Chapter 3,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ilemma narrative in the novel was examined to explore the content and methodology that can teach about reflection. In order for reflection to occur, uncomfortable feelings such as a dilemma problem situation and confusion and the embarrassment caused by it must be the basis. The novel's dilemma narrative, which includes both of these elements, can be used as a textbook for excellent reflection. Finally, reflective thinking was organized, synthesized, and systematized, and writing based on this was viewed as the final goal of writing education to cultivate reflection competency. Accordingly, there were four stages of writing education to foster reflection competency: “dilemma narrative reading-create a question about a problem-rational conversation-writing.” In addition, the level of reflection was classified and proposed based on content elements so that the writing could be evaluated. 이 논문은 탈인간, 탈진실의 문화 현상을 배태한 포스트소셜 시대를 맞이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를 새롭게 정향하고 교수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술의 혁신으로 급변하는 시대·사회적 흐름에 맞서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성찰 역량’이라고 보고, 성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글쓰기 교육에 관해 탐색해 보았다. 먼저 기존 성찰적 글쓰기 교육이 다종다양하게 진행되며 교수학습법 연구를 풍성하게 남기고 있지만, 성찰의 개념이 다소 임의적이고 주관적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성찰의 개념을 실제 학습자가 함양해야 할 수행적 개념으로서 재개념화하고 이것이 교육의 영역에서 객관적으로 교수학습되고 평가되기 위해서 역량 중심 관점에서 이러한 성찰을 바라볼 것을 제안하였다. 3장에서는 성찰을 교육할 수 있는 내용과 방법론을 탐색하기 위해서, 소설 속 딜레마적 서사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성찰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딜레마적 문제 상황과 그로부터 야기되는 혼란스러움과 당혹감 등의 불편한 감정이 토대가 되어야 한다. 이 두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소설의 딜레마적 서사는 훌륭한 성찰의 교재로 활용될 수 있다. 본고는 딜레마적 서사가 잘 드러난 「가만한 나날」(김세희), 「알바생 자르기」(장강명) 두 편의 작품을 통해 성찰을 훈련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달레마적 서사의 성찰 교육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소설을 읽고 딜레마적 문제 상황과 마주한 주인공의 감정 추이를 따라가며 성찰을 훈련한 후, 그 내용을 종합하여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글을 쓰는 활동을 성찰 역량을 위한 글쓰기 교육의 최종적 지향점으로 보았다. 이에 글쓰기 교육의 단계를 ‘딜레마적 서사 읽기―문제 상황에 대한 질문 만들기―합리적 대화하기―글쓰기’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더불어 글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성찰의 수준을 내용적 요소를 기준으로 나누어봄으로써 성찰적 글쓰기 평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신윤희,안양희 지역사회간호학회 2009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0 No.2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entoring program for stress management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Methods: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CG)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mentoring intervention was delivered to 18 middle school students (males and females) but nothing was done to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18 students. The mentoring intervention was conducted by seven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s mentors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individual meetings and group activiti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stress level. Results:The program consisted of group and individual mentoring. At follow-up, although the mentees's satisfaction was high and they stated qualitatively positive experience, the difference of stress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If future mentoring programs reflect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program, they may have potential a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stress management of adolescents, and enable nursing students to gain confidence in their professional capability.

      • KCI등재

        E-Learning을 활용한 행동수정이론 콘텐츠가 예비행동지도사의 행동수정이론 지식이해도 및 강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신윤희,김진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예비행동지도사의 행동수정이론 이해를 돕기 위한 e-learning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한국과 일본의 예비행동지도사들에게 적용시켜 그들의 행동분석에 대한 지식 향상과 e-learning의 이해 및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 47명, 일본 30명의 대상에게 11회기의 강의 영상과 ppt를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전·사후의 행동수정이론 지식이해도는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별 만족도는 반복측정을 실시하였다. 만족도 설문지에서의 각 나라별 이해도와 활용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과 일본 양국의 예비행동지도사에게 제공된 e-learning 콘텐츠는 행동수정이론에 대한 지식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회기별 강의 이해도와 활용도에 있어서는 일본이 한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의 경우 1회기, 3회기, 7회기가 10회기와 11회기보다 만족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행동지도사들의 지식향상과 강의내용 활용에 있어서 e-learning 콘텐츠의 적용 가능성이 시사되었으며 나라별로 콘텐츠의 문화기반적 요소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of e-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understand ABA theory and was to exam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s to improve for preliminary behavioral therapist between Japan and Korea. We also exam their the satisfaction of 11 lecture s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7 Koreans and 30 Japanese and they saw 11 series of ABA lectures and materials (PPT version). After session, they got worksheet and disscussed the issues on lectur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2 version. We took a t-test to exam pre-post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 ABA therapy, and used repeated measures design to exam each session’s satisfaction of lecture. We also took a t-test to exam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by nationality. The two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learning contents of ABA theory has an effect on preliminary behavioral therapist in Korean and Japan, and satisfaction of Lecture for Japanese preliminary behavioral therapist has more effect than Korean. This result showed that it’s important to consider cultural factors in e-learning contents and suggested that e-learning contents were very helpful to preliminary behavioral therapist in order to improve their knowledge and application.

      • KCI등재

        특수교사 경력에 따른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 대처 및 교사의 지원요구

        신윤희,한경인,박경옥,윤주연,오정숙,박남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4 지적장애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른 심리적 소진정도와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 및 중재를 위한 교사의 지원요구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라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와 중재를 위한 지원요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웹(Web)을 활용하여 D와 U광역시 그리고 K도에 재직하는 특수교사 388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교사 경력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서 각 그룹마다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공격행동 대처,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교사의 지원요구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교사 경력에 따라 공격행동 대처와 교사의 지원요구 간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그룹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경력의 교사집단에서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에 따라 중재시급성과 중재적용정도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몇몇 교사집단에서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에 따라 중재효과성이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교사 경력에 따라 공격행동에 대한 대처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교사의 경력에 따라 공격행동 중재를 위한 교사의 지원요구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경력에 따른 심리적소진 경험정도와 공격행동 대처, 교사의 지원요구의 상관관계와 교사 경력에 따른 공격행동 대처와 교사의 지원요구의 차이를 논의하였다. 또한 향후 특수교사의 교육 경력에 맞는 적절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 support demands for managing and intervention of aggressive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upport demands for managing and intervention of aggressive behavior of students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388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urveyed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web.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rgency of intervention and the degree of interven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in the all teacher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in some teacher groups and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ir responses to aggressive behavior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need for support for aggressive behavior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experience. The cor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psychological exhaustion level, managing aggressive behavior, and support demand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scussed.

      • SSCISCIESCOPUSKCI등재

        걷기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심폐기능,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신윤희,최영희 한국간호과학회 1996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25 No.2

        Recently, the ratio of elderly in the population are fast growing due to socio-economical development and the better medical service. Proportionally, the health problems in elderly are increasing, too. Medical professionals must try so that the elderly have the better life through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as well as disease treatment.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program on the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the flexibility in the elderly women. The design of research wa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eleven elderly women over sixty years old to live in K-city, Kyonggi-do. The type of exercise was walking, which was the most popular exercise in questionnaire. The exercise intensity was 40%∼60% of the target heart-rate by Karvonen's method and maintained by the heart-rate monitor. The exercise period was five weeks and the exercise frequency was three times per week. The exercise duration was forty minutes at first and gradually increased up to an hour.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we measured VO/sub₂ max, resting heart -rate, systolic/diastolic blood pressure, FVC, FEV/sub₁, the flexibility before and after the five week's exercise program. The data are analyzed by the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AS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hypothesis that cardiorespiratory function will be improved was partly supported. In VO/sub₂ max(p=0.0001), resting heart-rate(p=0.0030), systolic/diastolic blood-pressure(p=0.0387/ p=0.002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VC and FEV/sub₁ were increased after the exerci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hypothesis that the flexibility will be improved was support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lexibility(p=0.0140). As the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the effect with more refined design. We also need to try meta-analysis abou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btained in the experimental setting and compare our result obtained in the field setting with them.

      • KCI등재

        시 해석 교육의 방법론 탐색을 위한 이론적 고찰 -Ricœur 해석론의 시 교육적 적용 가능성 탐색을 중심으로-

        신윤희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4 한국학연구 Vol.- No.72

        이 논문은 학습자가 시 텍스트와 교감하며 해석의 주체로서 능동적으로 해석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시 해석 교육의 방안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학 담론의 변화에따라 시 교육의 내용과 방법도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지만, 시 교육에는 언제나 학습자의 해석 능력 신장이라는 변치 않는 목표가 자리잡고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가 교육 현장에서 시를 해석하고, 그러한 경험이 시 해석 능력으로 전이되어, 학습자의 시 해석 능력 신장이라는궁극적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교육 현장의 여건 상, 학습자의해석 경험은 늘 부족할 수밖에 없고, 해석의 다양성 수용에 대한 주장은 자의적, 인상적 해석에 대한 우려로,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시 교육은, 학습자 중심, 독자 반응 중심으로의 교육 패러다임 전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사의 설명 중심, 지식 중심으로 이루어고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고는 이러한 시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가 해석에 대한 이론적 기반의부족과 그에 따른 일관된 방법론의 부재 때문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고는 Ricœur의 해석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시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Ricœur 의 해석 이론은 텍스트가 저자의 의도 및 담화의 상황으로부터 떨어져나옴으로써 의미론적자율성을 지니며, 이로써 추상화된 텍스트는 미래의 독자 누구와도 연결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텍스트의 문면에 드러난 문자적 표현을 통해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표층 의미론에서, 독자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지시의 세계를 새롭게 창조하는 심층 의미론으로 나아가는 단계적 해석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해석의 마지막 단계로, 낯선 텍스트의 세계를 통해 자기 자신을 이해하는 ‘전유’의 단계를 둠으로써, 시 텍스트로부터 독자로 이행해가는 해석의 과정을 제안한다. 이러한 Ricœur의 해석 이론을 토대로, 본고는 ‘대략적으로 이해하기’-‘추론-검증을 통해 설명하기’-‘능동적으로 이해하기’-‘낯선 세계와 조우하기’ 의 네 단계의 시 해석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heoretically consider the method of Poetry interpretation education in which learners can actively perform interpretation activities as the subject of interpretation. According to change in literary discourse, the paradigm of poetry education has undergone several changes , but the goal of poetry education has always been to improve learners' interpretation ability.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learner interprets poetry in class, and the experience is transferred to the ability to interpret poetry, having achieved the ultimate goal of enhancing the learner's ability to interpret poetry. Despite the shift in educational paradigm to learner- centeredness, poetry education is still centered on teachers' explanations and knowledge. This paper determined that the chronic problem of this poetry education was due to the lack of a theoretical basis for interpretation and the lack of a consistent methodology.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examine Ricoeur's theory of interpretation and explore its applicability to poetry education based on this. Ricoeur's theory of interpretation argues that texts have semantic autonomy. And, he suggests a step-by-step interpretation plan from a surface semantics that constructs meaning through literal expressions on the text to a semantics of depth that mobilize the reader's imagination to create a new world. In addition, as a final step in interpretation, he propose a process of interpretation from the poetry text to the reader by setting the stage of ‘appropriation’. Based on Ricoeur's theory of interpretation, this paper proposed a four-step poetry interpretation education plan: ‘approximately understanding’ - ‘reasoning-explaining through verification’ - ‘active understanding’ - ‘contacting an unfamiliar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