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면 수업 자료 만들기 활동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 및 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애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video material making and the effect on science teaching ability after conducting non-face-to-face teaching material making activity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is activity consisted two processes. One is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duct inquiry, understand related science concepts, analyze science textbooks and then make video material. The other is that they watch video materials produced by colleagu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9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8 weeks. After this activity was completed, the perception on video material making and the effect on science teaching abilit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watching non-face-to-face teaching material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positive results in teaching-learning, video production, and emotion and attitude toward video material mak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y improved their science teaching ability through this activity and were very satisfied with this activity. However, they also mentioned several disappointments such as exclusion of learne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lack of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and errors in content of materials. This suggests that if these problems are solved, non-face-to-face classes can also be a good form of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 자료 만들기 활동을 실시한 후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활동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탐구를수행하고 관련 과학 개념을 이해하고, 교과서를 분석한 후 영상 자료를 제작하는 과정과 동료들이 제작한영상을 시청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고, 8주 동안 89명의 예비교사들에게 실시되었다. 이 활동이 종료된 후초등 예비교사들에게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한 인식과과학 교수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후 그 결과를분석하였다. 비대면 수업 자료 제작과 시청 과정에서초등 예비교사들은 영상 자료 제작에 대해 교수-학습, 영상 제작, 정서 및 태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 예비교사들은 이 활동을 통해 과학 교수 역량이 향상되었고, 이 활동에 대해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의자기 결정권 배제, 다양한 의사소통 통로 부족, 자료내용의 오류 등 아쉬운 점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면 비대면 수업도 하나의 좋은 수업 형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과 미국 초등 예비교사들의 연소에 대한 개념 비교

        신애경 ( Ae Kyung Shi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초등과학교육 Vol.33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ncepts of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n combustion, and to compare the concepts of Korean pre-service teachers with those of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study, concept test on combustion was administered to 23 Korean and 18 Americ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test composed of 6 items: ‘Definition of combustion’, ‘The reason why a candle in a glass bottle is blown out when the bottle was closed’, ‘The change of gases in the bottle when a candle burns in it’, ‘The combustion products of a candle’, ‘The combustion products of steel wool’, and ‘The combustion products of a subst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ho had scientific concepts on combustion were very low in both Korean and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groups, although they were a little different from items. However the rat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had partial concepts and misconceptions on combustion were high in two groups. The level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ncepts were a little higher than those of Americ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ncepts.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n combustion which are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seem to affect building up their concepts on combustion.

      • KCI등재

        뇌 기반 유아디자인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에 대한 분석

        신애선(Shin, Ae Sun),안경숙(Ahn, Gyoung Su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뇌 기반 유아디자인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북 G시, J시, I시의 공․사립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421명이다. 연구도구는 유아 디자인 개발(이종길, 2015)과 유아 뇌 기반 프로그램 개발(남효순, 2013)의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에서, 유아디자인교육에 대해서는 70.8%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활동의 목표는 ‘창의적인 능력을 가진 인재 양성’이 가장 많았고, 교사의 ‘상호작용자로서의 역할’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창의성 발달 및 문제해결능력의 발달’을 가장 긍정적인 효과로 여겼고, ‘디자인 교육에 대한 지식 부족 및 경험부족’으로 어려워하였다. 둘째, 유아디자인교육 활동 적용 실시 현황은, 1주간 1회 실시 및 1회 소요시간은 20~30분이 가장 많았고, ‘누리과정 미술활동 자료’를 사용하여 ‘교육과정의 생활주제에 따라 주제를 선정’ 한다가 가장 많았다. 또한, 동기유발 방법은 ‘전개되고 있는 주제에 대한 디자인을 보여주며 이야기나누기’ 가 가장 많았고, ‘시각디자인’에 가장 많이 활용하고 싶어 하였다. 셋째, 뇌 기반 유아디자인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유아의 흥미를 고려한 의미 있는 디자인 내용 구성’ 을 가장 고려하였고, ‘조형영역’에 가장 많이 적용하고 싶어 하였다. 적용 연령은 ‘5세’가 가장 많았으며, ‘뇌의 변화의 원리’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싶어 하였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 영역을 고려한 ‘게임’을 활용하고 싶어 하였으며, 희망 운영 시간은‘ 30~40’분이 가장 많았다. 희망 운영 기간은 ‘유아의 흥미가 있는 경우 1년 내내 운영’하고 싶어 했으며, 교사 연수 시 84.1%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아디자인교육 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해보았다는 점과 뇌 기반 유아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practices, and require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implementing brain based child design education. The subjects are 421 teachers from kindergartens of G city, J city, and I city at Jeolla-bukdo. The research tools are questionnaires used at the study of child design development(Lee Jong-gil, 2015) and brain based program development(Nam Hyo Soon, 2013), modified and supplemented appropriatel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of the perception and the reality of the teachers on child design education, 70.8% thought child design education is of importance, as of the purpose of activity ‘developing talented child with creativity’ was the most, ‘the role of interactive roles’ as a teacher was thought as the most important rol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was thought to be the most positive effect. Second, for the reality of implementing the application of child design education activity, once in a week and 20-30 minutes of duration was the most, and ‘selecting themes according to the curriculum’s themes using arts activities of Nuri curriculu was the most. Also, as of a motivation’ having a talk ‘while showing designs about the on-going themes’ was the most. Third, as of the requirement about the development of brain based child design acitivity program, ‘design contents composition considering the child"s interest’ was most considered, Also, they hoped to use games that consider various design fields, and operation time of wish was mostly 30-40 minutes. The operation term of wish was ‘all year if the child is interested’, and 84.1% said yes to the inclination to participate in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out the perception and the reality of teachers on child design education and that it analyzed the requirements for the brain based child design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운영되고 있는 유치원 바깥놀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 탐색

        신애선(Shin, Ae Sun),안경숙(Ahn, Gyoung 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운영되고 있는 I 유치원의 만 5세 유아들의 바깥놀이 활동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연구 및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고, I 유치원의 바깥놀이 과정에 대한 관찰 자료를 수집한 후 Lincoln과 Guba(1985)의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운영되고 있는 유치원 바깥놀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상호작용을 통해 바깥 놀이를 확장해 나가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자연물에 대한 탐색과 탐구를 통해 자연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유아들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 다. 셋째, 자연과의 상호 호혜적 관점에서 자연친화 교육적 경험을 갖게 되었다. 넷째, 놀이를 통한 통합적 학습 경험을 갖게 됨으로써 전인발달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다섯째, 호기심과 경이감을 통한 생태학적 조망수 용능력의 기회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educational meaning by analyzing 5-year olds’ outdoor play activities process based on constructivism approach of I kindergarten. Toward this aim, which was investigated by clas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of Lincoln & Guba(1985). The suggeste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interaction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expanded children’ play actively. Second, children has been constructed the knowledge about natural world together through explore and inquiring mind. Third, play was changed to the play space. Forth, play provided for the chance integrated learning. Fifth, the children originated ways of interactive playing with nature in various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