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등 정보교사 복수전공 특별양성과정의 개선방안

        신수범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19 창의정보문화연구 Vol.5 No.3

        As the 2015 Revised Secondary Information Curriculum was reorganized into a software-focused curriculum, a number of information teachers were needed. For this purpose, a special training course for multiple majors for secondary information teachers was established, and produced about 100 teachers with multiple majors. To improve this training program, this study surveyed the trainees joined in this program. As the result of the survey, there were findings that the short training period made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curriculum, and that they had a loss of learning due to the burden on another major. Therefore, long-term training is necessary to train informatics teachers, and by realizing the reinforcement of specialty through pre-training and main training, and by organizing a gradual curriculum, substantiality should be sought. 2015 개정 중등 정보교육 과정이 소프트웨어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됨에 따라 다수의 정보 전공 교원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중등 정보교사 복수전공 특별양성 연수 과정을 개설하여 올해까지 약 100여 명의 복수전공 정보교사를 배출하였다. 복수전공 특별양성 과정은 단기간 내 관련 교원을 확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문제점도 존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별양성과정 연수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편재 및 평가, 교육 운영, 수업 운영, 행사, 교육실습환경, 교육 효과 등에 관한 설문을 하였다. 설문결과, 기초가 부족한 상태에서 교육과정이 진행되어 교과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였고 짧은 연수 기간과 과도한 주당 시수 편재 등으로 인해 많은 학습 스트레스를 받았으며, 복수전공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 향상은 효과가 높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최소한 1년 이상의 긴 연수 기간이 요구되며 사전연수를 포함한 본 연수를 통해 전문성 강화를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블랜디드 학습에 기반한 통합교과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효과

        신수범,한희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9 No.4

        Although the e-learning system is being introduc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corporating it into the regular curriculum is difficult. Other problems include the lack of sessions and connection to regular courses in realistically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regular school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applied, and analyzed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to resolve such issues. Specifically,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concept of blended learning and IT-oriented, project-based learning was conducted. The theme for learning based on integrated courses was also selected, and the 5-stage project-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concretized. The concretization strategy involved discussion, role division, and alternative evaluation strategy. The class progressed in formats of on-class online, on-class offline, and off-class online. As a result, students experienced inconvenience since the project only last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Nonetheless, they responded positively to the effect of project-based learning in general. This study was abl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e-learning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and propose the direction for digital and learner-oriented teaching. 초중등 학교교육에 e-러닝 체제가 도입되고 있지만, 정규교육과정에의 도입이 어려운 형편이다. 또한, 프로젝트 학습을 정규교육과정에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시수 부족이나 교과 접근에 대한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블랜디드 기반의 프로젝트 학습 전략을 수립하고 적용,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블랜디드 학습 및 정보통신기술 기반 프로젝트학습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하였다. 또한, 통합 교과기반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5단계 블랜디드 프로젝트 교수학습 전략을 구체화하였다. 구체화 전략은 토론, 역할 분담, 대안 평가 전략 이었으며 온클래스-온라인, 온클래스-오프라인, 오프클래스-온라인의 유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적용 결과 학생들은 짧은 기간으로 인하여 아쉬움을 나타냈지만, 전체적으로 프로젝트 수업 효과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이에, 본 연구는 e-러닝을 정규학교교육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디지털 기반의 학습자 중심 수업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정보과 교육과정에서 컴퓨팅사고력과 연계한 디지털소양 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개발

        신수범,김철,박남제,김갑수,성영훈,정영식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1

        이 연구에서는 정보과 교육에서 컴퓨팅사고력과 연계한 디지털소양의 개념과 주요 영역 그리고 학년별 성취 목표를 제시해 보았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 디지털소양의 개념 분석, 디지털기술의 변화 트렌드 분석, 주요 조 직의 디지털소양 내용 요약, 정보과 교육의 성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과 교육에서 필요한 디지털소양은 소프트웨어교육을 지원하는 내용, 컴퓨팅사고력과 연계된 내용, 정보사회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되 어야 하는 점을 시사점으로서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총 67개의 성취목표에 대해 16명의 정보 교육전문가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전체적으로 디지털소양 즉 정보생활의 타당도는 기준점을 모두 상회하였으나 일부 합의도가 기준점을 하회하여 패널 토의를 통해 재조정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생활의 성 취기준은 초등1-2학년이 5개, 초등3-4학년이 13개, 초등5-6학년이 23개, 중학교 16개로 나타났다. This study provided digital literacy concept, core area and class achievement connected computational thinking in order to reestablish digital literacy keeping pace with trend change. Main study’s contents analyzed digital literacy concept and changing trend of digital technologies, provided characters of information subject matter education. Implications from these analyses is that necessary digital literacy is to support software education, contents being connected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ntents being necessary. And we committed Delphi inves- tigation to 16 information education expert on total 67 achievements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Survey results totally surpassed CVR criterion of digital literacy called information life and then readjusting parts of achievements through panel discussions because of partially being lower than Validity criterion. Finally achievements of Information Life came into existence 5 items for 1st, 2nd of elementary school level(ESL), 13 items for 3rd, 4th of ESL, 23 items for 5th, 6th of ESL, 16 items for middle school Level.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사이버 교수학습 운영 전략

        신수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1

        정보통신기술의 지속적 발전을 바탕으로 교육체제의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이버교육은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를 해결하고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체제이다. 최근 선진 국가를 중심으로 가상학교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초중등 사이버교육체제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사이버교육은 사이버교육의 잠재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이 미흡한 수준이고 미성숙한 초중등 학생들을 사이버공간에서 충분히 안내하기 위한 불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수학습이 가지고 있는 특징과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전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에 근거한 교수학습 전략을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서 교육과정의 양을 탄력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적시적인 교수학습 전개를 위해서는 빠른 응답체제의 운영과 다양한 검색도구의 제공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반고립적인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신뢰감을 조성하고 학생간 그룹을 결성하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사이버교수학습 실현을 위하여 전문적 교사 육성이 필요하며 이를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는 인센티브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Based o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diversity of educational system is expanding. In particular, the cyber education is a new system which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s well as solving various requirements of learners. Recently the cyber school is becoming popular in some advanced countries and the cyber education system is expanding in our nation\ 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 well as higher education. Unfortunately, however, the cyber education which has been implementing in our nation is not sufficient to utilize the potentiality of the cyber education in terms of its strategy, and not good enough to guide those immatur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yber space. In this study, accordingly, I have sugges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yber teaching-learning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Also I have suggested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specifically based on that. When it comes to operating the educational curriculum, I have made overtures of providing learners with the amount of the curriculum flexibly in accordance with their individual levels, and suggested an operation of the quick response system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search tools to learners, paving the way to implement teaching-learning in a timely manner. Also I have suggested that we need to make up mutual confidence between students and help them to form groups to cope with the semi-isolated environment effectively. Besides, we need to train teachers with the expertise of communication, coordination capability and sound information fundamental to realize the learner-centered cyber teaching-learning and to introduce an incentive system to encourage them to join this program as well.

      • 건강 의료용품의 소비자 선택역량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수범,이경구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2021 한몽경상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건강 의료용품의 소비자 선택역량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자가 의료용품을 활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미국의 유명 네트워크 설문조사기관인 서베이몽키(ko.surveymonkey.com)를 이용하여 SNS를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선택역량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 되었다. 소비자의 선택역량 가운데 가격역량 과 품질역량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자인역량과 소비자추구 혜택역량은 재구매의도에 영향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선택역량 가운데 가격역량과 품질역량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디자인역량과 소비자추구 혜택역량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alyse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onsumer selection competency on health and medical products on purchase behaviors. The date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the consumers of health and medical product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over the period from July 1 to July 31, 2019. The researcher conducted this survey using Survey Monkey (ko.surveymonkey.com), a renowned US network survey company and the SNS with the consumers of medical product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empirical analyses on the influence of the selection competency of the consumers on their purchase behaviors. In all hypotheses, the factors of the consumer selection competency, which were independent variables, would affect the purchase intent for the dependent variables. First, the selection competency of the consumers was found to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 As for the influence of the selection competency on the purchase and repurchase intent, the price competency and quality competency had significance. However, the design competency and the competency for the benefits sought by the consumers were found not affecting the repurchase inten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e price competency and quality competency of the selection competency of the consumers were found to affect the word-of-mouth intent. However, the design competency and consumer benefits competency did not affect the word-of-mouth intent,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hypothesis.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 관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내용 주요 내용 탐색

        신수범,한규정,Shin, Soo-bum,Han, Gyu-j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2

        초중등 소프트웨어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교과교육과정에 대해서 어떤 기준에 의해 강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내용지식 4가지를 기준으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는 교육내용과 교수법에 집중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을 기준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교육내용을 제시하여 보았다. 주요한 내용은 4개 영역을 모두 삽입하였고 교육내용과 교수법을 가장 강조하여 구성하고 소프트웨어교과교육 전문가에게 타당성 검토를 의뢰하였다. 전문가 설문 조사 결과 대부분 타당도와 합의도가 기준치를 넘었지만 학생관리 분야에 대해서 CVR값이 기준값을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importance of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that can run K12 school SW education is raised.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study on the standard of SW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in domestic. In this study, we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based on four kinds of contents knowledge. Domestic cases were found to be concentrated on curriculum contents of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in domestic and abroad, we presented the content of SW education based on knowledge of teaching contents for preliminary teachers. The main contents are all four areas, and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he teaching method are emphasized the most, and the SW subject education experts are asked for the feasibility study.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although the validity and consensus exceeded the standard, the CVR value for the student management field was lower than the standard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