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惺齋 琴蘭秀의 心齋의 추구와 그 의미

        신소윤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嶺南學 Vol.- No.88

        본고는 惺齋 琴蘭秀의 마음공부와 이러한 학문적 노력이 시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마음공부와 그 시문학이 지닌 의미를 밝힘으로써 성재를 종합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성재는 退溪의 문인으로, 24세 때부터 『心經』을 접하며 마음공부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마음공부에 있어서 敬을 중시했는데, 특히 顏淵의 ‘心齋’를 닮고자 노력했다. 심재의 마음 상태를 지향하며 虛心을 유지하기 위해 경을 통한 ‘고요함’의 확보와 ‘조장하지 않는[勿助長]’ 태도를 강조했다. 성재는 꾸준히 일상에서도 마음공부를 도모했으므로, 그의 시에 이에 대한 노력과 성취를 찾아볼 수 있다. 시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本然之性을 회복하기 위해 비어있으면서도 고요한[虛靜] 상태를 지향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심재의 마음으로 자연을 관조하며 興趣를 느끼는 것이다. 전자는 마음공부의 실천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면, 후자는 마음공부가 體化되어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그 안에 내재된 즐거움을 나타낸다. 한편, 성재의 마음공부와 그 시문학이 지닌 의미로서, 현실 인식과 대응 문제를 주목하였다. 성재는 다양한 일상에 관심을 가졌으며, 자신이 마주한 현실에 대하여 도학적 이념을 실천하는 것으로 대응하고자 했다. 즉, 성재는 도학적 세계관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 것인데, 그 이면에는 실천과 自得이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ungjae's mind study and how these academic efforts were embodied in poetry. In addition, I tried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Sungjae by revealing the meaning of mind study and its poetry literature. Sungjae is a writer of Toegye(退溪) and has been interested in studying his mind since he was 24 years old. He emphasized Gyeong(敬) in studying the mind, especially trying to resemble the "Shimjae(心齋)" of Anyeon(顏淵). He maintained his heart by emphasizing the securing of "silence" through Gyeong(敬) and emphasized an "unpromising[勿助長]" attitude. Sungjae steadily promoted mental study in his daily life, so he can find effort and achievement in his poetry. Poetry is largely divided into two aspects. One is to pursue a Hujung (虛靜) state in order to restore Bonyonjisong(本然之性) and the other is to see nature with the heart of Shimjae and feel pleasure. The former shows an active practice of mind study, while the latter shows the joy inherent in it, although it is embodied. On the other hand, as the meaning of Sungjae's mind study and its poetry literature, the problem of reality recognition and response was noted. He had interested in various things, and wanted to respond to the reality of reality. In other words, Sungjae made an effort to realize a moral worldview, and behind it, it can be seen that practice and self-satisfaction(自得) work importantly.

      • KCI등재

        「하외십육경(河隈十六景)」과 「하회 구곡(河回九曲)」의 공간 형상과 그 의미

        신소윤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trends of the Yeongnam region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rough the spatial shape and meaning of 「Hahwaesipyukgyeong(河隈十六景)」 and 「Hahoegugok(河回九曲)」. The two works are literary embodiments of the Hahoe area through dots and lines, respectively, and are representative works that give various meanings to the Hahoe area. Moreover, these works not only embody Hahoe as a cultural space. It is noteworthy that it shows a series of efforts made by Yeongnam intellectuals in the 17th-18th century, especially Pungsan Ryu clan, to solve the problems faced by the time.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Hahwaesipyukgyeong」 and 「Hahoegugok」 and examined how the two works construct the same space through different structural methods, and how Hahoe area appears in the actual contents of the work. 「Hahoegugok」 is a work that was greatly influenced by 「Hahwaesipyukgyeong」, as there is such an influence relationship, the two works show many similar appearances in shaping Hahoe. This paper examined this by dividing it into an interest in everyday space, an expression of excitement, and an ascetic and Taoistic space for ancestors. In addition, discussions were conducted by linking the meaning of these works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Yeongnam region of the time. In a situation where Yeongnam's political alienation and the need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Pungsan Ryu Clan are required, Pungsan Ryu Clan among Yeongnam intellectuals created such work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ime. It was examined that behind the work, there is a creative consciousness to expand family consciousness by implementing family consciousness and combining academic background. 본고는 「하외십육경(河隈十六景)」과 「하회구곡(河回九曲)」의 공간 형상과 의미를 통해 17-18세기 영남 지역의 사회․문화적 일경향을 이해해보고자 시도되었다. 두 작품은 각각 점과 선을 통해 하회 일대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하회 일대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더욱이 이 작품들은 하회를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형상화할 뿐만 아니라, 17-18세기의 영남 지식인, 그 중에서도 풍산 류씨들이 당대에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했던 일련의 노력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하외십육경」과 「하회구곡」을 분석하여, 두 작품이 같은 공간을 다른 구조 방식을 통해 구성해나가고 있으며, 실제 작품의 내용에서 하회 일대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회구곡」은 「하외십육경」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작품이며, 이러한 영향관계가 있는 만큼 두 작품은 하회를 형상화함에 있어 유사한 모습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본고는 이를 크게 일상공간에 대한 관심과 흥취 표출, 선조에 대한 존숭과 도학적 공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의 의미를 당대 영남지역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결시켜 논의를 전개하였다. 영남의 정치적 소외와 풍산 류씨의 입지 강화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상황 속에서 영남 지식인 그 중에서도 풍산 류씨들이 당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작품을 창작하게 되었으며, 그 작품의 이면에는 가문의식을 구현하고 또 학맥을 결합시킴으로써 가문의식을 확장하려는 작가의 창작의식이 작용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 노계 박인로의 시가 문학에 나타난 충효 인식과 그 의미 - <소학충효도(小學忠孝圖)>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신소윤 ( Shin So-youn ),조유영 ( Jo Yu-young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2 백록어문교육 Vol.29 No.0

        이 연구는 박인로의 <소학충효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충효사상이 국문시가에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박인로의 <소학충효도>가 지닌 특징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박인로는 <소학충효도>를 제작함에 있어 『소학』 <명륜편>의 충과 효만을 도상화시켰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방식을 계열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실천성’을 강조하였다. 3장에서는 이러한 충효 인식을 문학적으로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가에 대해 살폈다. 박인로는 그가 지은 국문시가 작품을 통해 유학의 핵심적 가치인 충과 효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였으며, <소학충효도>를 통해 제시된 충과 효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행위들을 자신이 창작한 시가 작품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박인로의 충효 인식과 그의 국문시가 창작이 어떠한 맥락에서 관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박인로의 시가 작품에는 충효를 통해 안빈낙도를 추구하는 모습이 다수 나타난다. 이는 그가 평생에 걸쳐 충효라는 가치를 통해 자신의 삶을 구축해 왔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그의 국문시가는 충효에 대한 박인로의 이러한 인식과 실천 의지를 보여주는 수단이 되었다. 따라서 <소학충효도>는 그가 지녔던 충효 인식을 도식화하여 정리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그의 시가 작품들은 이러한 인식이 노래로 구체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Park In-ro’s < sohagchunghyodo(小學忠孝圖) >, and discussed how the idea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s embodied in poetry and what its meaning is. Park In-ro painted only the part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e production of < sohagchunghyodo(小學忠孝圖) >. In addition, ‘practicality’ was emphasized by sequencing and presenting specific ways of action to practice this. Park In-ro literary embodiments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he core values of studying, through his poetry works. In addition, specific practices for loyalty and filial piety presented through < sohagchunghyodo(小學忠孝圖) > were actively reflected in his poetry work. n Park In-ro’s works of poetry, there are many images of pursuing ‘Anbinakdo(安貧樂道)’ through loyalty and filial piety. This is understood because he has built his life through the value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hroughout his life. His poetry became a means of showing his awareness and willingness to practice loyalty and filial piety.

      • KCI등재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 북경체험의 문학적 형상화와 지향의식

        신소윤(Shin, So-Y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7 No.-

        본고는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의「연계여유일기(燕薊旅遊日記)」와 관련 시를 대상으로, 북경체험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과 지향의식을 분석하였다. 이상룡은 당시 일본 및 서양 열강에 의해 국권을 상실한 조선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던 인물로, 그의 북경체험 역시 국권을 회복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의한 북경체험이었으므로, 그의 북경체험 기록에서는 이와 관련된 문학적 형상화를 찾아볼 수 있다. ‘정세(情勢)에 따른 군사 지도자의 인식 변화’와 ‘고적(古蹟)에 대한 관심과 시대문제의 내면화’가 그것이다. 이러한 문학적 형상화는 현실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에서 이상룡의 문학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을 가진 작품들을 ‘현실지향적인 문학’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당대 지식인들과 비교해보아도 이상룡은 투철한 경험적 태도를 바탕으로 현실지향적 성격이 강한 문학을 창작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Suk-Ju Lee Sang Yong(1858~1932)’s Yeongye-tourismdiary(Peking Travel Diary)and the poems related thereto for interpreting the pattern of literary figuration and his orientation consciousness of experience in Peking. Lee Sang Yong was a person who tried to restore Joseon Dynasty"s sovereignty, which was lost by the Japanese and Western imperialism. His Peking experience was also aimed at restoring national sovereignty. Whereby, his records of Peking experience reveal literary figurations related to this clear purpose. This is represented by "Changes in the perception as a military leader on national circumstances", and "Interests for historical monuments related to internalization of the period problems". These patterns of literature figuration show his literary characteristics in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reality problems. Works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defined as the "reality-oriented literature". Even compared to any other intellectuals of that contemporary time, Lee Sang Yong can be considered unique in that his literature based on his strong empirical attitude is very close to reality.

      • KCI등재

        Determining Genotypic Drug Resistance by Ion Semiconductor Sequencing With the Ion AmpliSeq™ TB Panel in Multidrug-Resist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박준홍,신소윤,김경종,박건,신소영,임춘화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8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8 No.4

        Background: We examined the feasibility of a full-length gene analysis for the drug resistance- related genes inhA, katG, rpoB, pncA, rpsL, embB, eis, and gyrA using ion semiconductor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ose obtained from conventional phenotypic drug susceptibility testing (DST) in multidrug-resistant Mycobacterium tuberculosis (MDR-TB) isolates. Methods: We extracted genomic DNA from 30 pure MDR-TB isolates with antibiotic susceptibility profiles confirmed by phenotypic DST for isoniazid (INH), rifampin (RIF), ethambutol (EMB), pyrazinamide (PZA), amikacin (AMK), kanamycin (KM), streptomycin (SM), and fluoroquinolones (FQs) including ofloxacin, moxifloxacin, and levofloxacin. Enriched ion spheres were loaded onto Ion PI Chip v3, with 30 samples on a chip per sequencing run, and Ion Torrent sequencing was conducted using the Ion AmpliSeq TB panel (Life Technologies, USA). Results: The genotypic DST results revealed good agreement with the phenotypic DST results for EMB (Kappa 0.8), PZA (0.734), SM (0.769), and FQ (0.783). Agreements for INH, RIF, and AMK+KM were not estimated because all isolates were phenotypically resistant to INH and RIF, and all isolates were phenotypically and genotypically susceptible to AMK+KM. Moreover, 17 novel variants were identified: six (p.Gly169Ser, p.Ala256Thr, p.Ser383Pro, p.Gln439Arg, p.Tyr597Cys, p.Thr625Ala) in katG, one (p.Tyr113Phe) in inhA, five (p.Val170Phe, p.Thr400Ala, p.Met434Val, p.Glu812Gly, p.Phe971Leu) in rpoB, two (p.Tyr319Asp and p.His1002Arg) in embB, and three (p.Cys14Gly, p.Asp63Ala, p.Gly162Ser) in pncA. Conclusions: Ion semiconductor NGS could detect reported and novel amino acid changes in full coding regions of eight drug resistance-related genes. However, genotypic DST should be complemented and validated by phenotypic DSTs.

      • KCI등재

        Effect of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on Biomarker Stability in Plasma and Serum Samples

        이재은,김신영,신소윤 질병관리본부 2015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tectives Vol.6 No.6

        Objectives: The stability of circulating proteins can be affected by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on the plasma and serum concentrations of eight proteins [interferon-γ, interleukin (IL)-8, IL-15, IL-17A,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7, tumor necrosis factor-α,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VEGF receptor 2 (VEGF-R2)]. Methods: We assessed the concentration changes of these proteins in 30 plasma and serum samples subjected to three, four, or five freezee-thaw cycles, and compared these with the concentration changes in the samples that were subjected to two freezee-thaw cycles before analysis. Results: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by up to five cycles did not modify the plasma and serum concentrations of interferon-γ, IL-8, and VEGF-R2, while levels of MMP-7, tumor necrosis factor-α, and VEGF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both plasma and serum samples. Moreover, MMP-7 and VEGF concentrations tended to increase with freezee-thaw cycles. They were more elevated in plasma samples (up to about 15%) than in serum samples (up to about 7%), suggesting that serum is the preferred sample type for the analysis of circulating protein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effect of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on plasma concentrations of MMP-7 and VEGF-R2. Our findings propose that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e number of freezee-thaw cycles to select plasma or serum samples, depending on the type of analy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