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역량에 대한 중요도 - 실행도 분석(IPA): H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신소영(Shin, Soyoung),홍유나(Hong, Yu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글로벌 역량 구성 요소들에 대한 대학생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지방소재 4년제 대학인 H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2,085명)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에 포함된 글로벌 역량에는 영어능력과 자기 표현력, 창의적 사고력, 문화적 개방성 및 글로벌 활동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분석에서는 모든 요인에서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유의미 하게 높게 나타나 글로벌 역량에 대한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였다. 특히,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IPA)에서 학생들의 교육 요구가 높은 요인은 영어능력의 하위요인인 읽기, 듣기, 말하기 능력이 도출되어 글로벌 역량 제고를 위해 학생들은 영어능력을 우선적 해결과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학에서 다양한 영어능력 제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이러한 결과가 도출되고 있는 것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영어교육에 대한 개선이 학생들의 요구에 맞게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밖에 지속유지가 필요한 영역에는 자기 표현력, 창의적 사고력, 문화적 개방성이 포함되었다. 우선순위가 낮은 영역에는 영어능력 중 쓰기와 글로벌 활동이 포함되었으며, 과잉노력 지양영역에 포함된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is increasing social demand and interest in human resources with global competence. As a result, universities are working on a variety of efforts to enhance the students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glob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in setting a direction for development. In order to analyse global competence, this study measur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with 2,085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Global competence consisted of 8 factors including English proficiency(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self-expression capability, creative thinking, cultural flexibility, and global activities. In the difference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mpor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which means an effort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performance in the whole global competence education. Especially, the factor of high demand for students education was the ability of reading, listening and speaking,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English ability. In order to improve global competence, students confirmed that English ability is a priority issue. Despite the efforts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in the university, these results have been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students needs. IPA also showed that factors including self-expression capability, creative thinking, and cultural flexibility should keep up their good work and writing and global activities marked low in priority. There were no possible overkill factors.

      • KCI등재

        예비교사의 PBL 학습 과정 및 영향요인 탐색: AI 리터러시 영향력을 중심으로

        신소영 ( Soyoung Sh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30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PBL 학습 과정 탐색을 위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학습 수준과 유형을 파악하고, 학습 과정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AI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교사 대상 PBL 학습 설계에 적용이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AI 리터러시 활용을 높일 수 있는 학습지원 방법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 대학 사범대학 학부생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PBL 학습 과정에서 유형화된 집단별로 수준과 패턴을 고려한 집단별 특징을 탐색하고, 학습 과정에서 AI 리터러시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의 PBL 학습 과정은 저차원학습형, 중차원학습형, 중상차원학습형, 고차원학습형의 네 집단으로 유형화되었으며, 각 유형별로 집단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또한, 고차원학습형의 AI 리터러시 활용도가 가장 높았으며, 중상차원학습형, 중차원학습형, 저차원학습형 순의 영향력을 보임에 따라 PBL 학습 과정에서 AI 리터러시 활용이 예비교사의 PBL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이를 통해 PBL 학습에서 AI 리터러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 설계와 맞춤형 학습지원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ore the PBL learning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we used latent profile analysis to identified the levels and types of learning, as well as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process, focusing on AI literacy.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PBL learning design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o find learning support methods that can increase the use of AI literacy. This study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considering the level and pattern of each group typed in the PBL learning proces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undergraduate students at A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in Seoul, and AI literacy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BL learning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low-dimensional learning type, middle-dimensional learning type, upper-mid-dimensional learning type, and high-dimensional learning type, and the groups for each type were clearly divided. In addition, the high-dimensional learning type had the highest utilization of AI literacy, followed by the medium-high dimensional learning type, medium-dimensional learning type, and low-dimensional learning type, showing that the use of AI literacy in the PBL learning process affects the PBL performance of pre-service teachers.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this could be a factor. Through this,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and customized learning support methods that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AI literacy in the PBL learn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생특성에 따른 좋은 강의에 대한 인식분석

        신소영(Shin, Soyoung),권성연(Kwon, Soung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는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지침 제공을 목적으로 C시에 소재하고 있는 H대학교에서 계절학기 수업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좋은 강의 추천 이유와 좋은 강의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2016년 7월 8일~12일까지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415명의 응답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좋은 강의 추천이유는 3개의 영역(인지적, 정의적, 행동적)별로 조사하였으며, 학생특성(성별, 학년, 단과대학) 및 성적에 따른 분석 결과, 단과대학에 따른 차이가 행동적 영역의 추천이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른 영역에서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생 특성별로 선택비율이 높은 문항이 다르게 나타나 학생 특성에 따라 좋은 강의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좋은강의 추천이유의 영역별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항목을 종합한 결과, 지적인 만 족감을 주고, 교수님의 열정을 느낄 수 있으며, 공부하게 만드는 강의가 학생들이 좋은 강의로 추천한 강의의 특징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생들의 좋은 강의 선택 이유에 대해서는 모두 가장 낮은 선택비 율을 나타내고 있어, 교수와 학생의 인식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특정대학의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는 다소 무리가 있으나, 학생특성에 따른 좋은 강의에 대한 인식 차이의 후속 연구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line for practicing good teaching which meets college students’ need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of good teaching was conducted targeting 415 H-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C city.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s except behavioral category of students’ major. Even though no statistical difference, some different perception was founded by students’ characteristic. This implie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perception of good teach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 In general, the most frequent characteristic of good teaching by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 respectively was intellectually satisfying teaching, passionate professor, inducing to study. The perception of professor about the reason of students’ selection of good teaching was different from the reason of students’ own selection of good teaching. This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good teaching by students’ characteristic, but provided the beginning of the related research.

      • KCI등재

        중학생의 성취 수준에 따른 탐구적 과학 글쓰기 (Science Writing Heuristic) 수업의 효과

        신소영 ( Soyoung Shin ),최애란 (Aeran Choi),박종윤 ( Jong Yoon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on the students` summary writing, logical thinking and achievements for the cours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2 female students from a girls` middle school. The SWH approach was used for two experimental classes and the typical teacher-centered instructional approach was used for two comparative classes. Summary writing test, logical thinking test (GALT) and achievement test for the course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period.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WH approach was helpful for students in finding big ideas, understanding science concepts, developing logical thinking abilities and doing well in the course. This study also implied that the SWH approach was effective for the low achieving students.

      • KCI등재

        정신질환자 자녀의 정신건강과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통합적 고찰

        신소영 ( Shin Soyoung ),김성재 ( Kim Sungjae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21 정신간호학회지 Vol.30 No.2

        Purpose: To increas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s mental health who have a parent with a mental illness in Korea. Methods: The integrative review method by Whittemore and Knafl was applied. Online databases were searched that focused on children of a parent with a mental illness. The JBI Critical Appraisal Tools were used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selected articles. Results: Fourteen articl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Majority of the articles addressed about the mental health issues and disadvantages that the children of a parent with a mental illness have. Compared to the mental health issues and disadvantages discussed, intervention programs were not much and the sample were not enough to achiev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integrative review have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mental health in children of a parent with a mental illness in future.

      • KCI등재

        진로결정과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성과 인식의 관계 구조분석

        신소영(Shin, Soyoung),권성연(Kwon, soung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r-decision and learning by analyzing the influences career-decision has on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2,067 H-university students, then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b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career-decis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had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Self-regulated learning was in the first place in size of effect and learning flow came as second, followed by career-decision.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mediated the effect between career-decision and learning outcomes. Compared to indirect effect of career-decision, the direct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on learning outcomes was more influential. Third, self-regulated learning influenced learning flow and also on learning outcomes mediated by learning flow. To conclude, career,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were related with one another. Especially, career-decision had an effect on learning process and outcome. Thus, the policy of relating career guidance with learning is required in universities to enhance educational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이 학습과정과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진로와 학습과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H 대학 학생 2,0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진로결정은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이라는 학습과정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진로결정,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은 모두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었으며,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그리고 진로결정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로결정은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이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진로결정이 학습성과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보다 상대적 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진로와 학습과정, 그리고 학습성과는 상호관련성을 가지며 진로결정이 학습의 과정과 학습성과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진로 지도와 학습을 연계한 대학 정책의 수립과 운영이 요구된다.

      • 국내외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 현황 및 발전 방향 고찰

        신소영 ( Soyoung Shin ),이상희 ( Sanghee Lee ),장성혁 ( Sunghyuk Jang ),최승렬 ( Seungryul Choi ),김영근 ( Youngkeun Kim ),강연구 ( Yeonku Kang ),최용 ( Yong Cho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노지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농업 전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농업경쟁력 향상을 통한 정밀농업의 주도권을 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정밀농업은 지리정보와 환경정보, 빅데이터, 드론, 위성영상 등 4차 산업의 핵심기술을 통하여 작물 생산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처방을 통한 실질적인 경제적 이익을 실현할 수 있다. 다양한 정밀농업 기술 분야에서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포장의 실제 수확량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구간별 이익을 산출하여 농업인의 실질적인 이익을 수치화 할 수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이 상용화되고 보급화되어 대형 콤바인에 설치되어 있으며 글로벌 농기계업체에서는 해당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을 양산하고 있다. 수확량 모니터링은 작물의 수확량측정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간별 수확량을 데이터화한다. 수확량 측정방법은 곡물유량 측정 방식과 곡물탱크 총중량 계측을 통한 총량센서로 크게 구분하며, 곡물유량측정방식은 충격판형식, 광학방식, 볼륨측정, 마이크로웨이브타입, 레이저타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수확량 정보 뿐만 아니라 식미정보를 함께 산출하여 수확량 지도에 함께 표시하여 수확물의 품질을 나타내는 척도를 표시하고 있다. GPS 기술과 결합된 수확량 모니터링 기술은 농업인에게 현장 내 수확량 변동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해 현장의 수확량 지도를 작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술 현황과 시스템 구성요소를 분석하며 적용 가능 시장 및 국내상황에 적합한 수확량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대학 교육만족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신소영(Shin, Soyoung),권성연(Kwon, Soungyou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교육과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를 총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교육 만족도를 구성하는 측정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 및 대학생 검토를 거쳐 27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1, 2차 조사를 실시하여 개발된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화 검증을 하였다. 1차 조사는 H대학 재학생 24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7개 요인, 26문항을 추출하였다. 1차 조사 결과에서 추출한 26문항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397명을 대상으로 2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교육내용 및 수업’, ‘학생지도’, ‘학교이미지’, ‘학생지원’ 등 4개 요인은 각각 4문항, ‘교육환경’, ‘행정서비스’, ‘대학생활’ 등 3개 요인은 각각 3문항으로 총 25문항이 최종 측정도구로 개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CFI, TLI, RMSEA 등의 지수 값이 모두 권장수용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 개발된 측정도구가 대학의 교육만족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measure students"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services in universit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questions were deduced, and then through the reviews of experts and students, the first version of a questionnaire was produced.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at H-university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The main survey was administered at the same university, followed b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verification, the final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the categori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student advisement, university image, support for student administrative service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llege life. As the CFI, TLI, RMSEA of the model represented good fit, we confirmed the final questionnaire as a valid instrument to measure students"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신소영(Shin, Soyoung),이승희(Seung-h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7

        W중심사회에서 대학생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하기 위해서는 해당 개념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SW중심사회로의 변화가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를 재개념화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였다. C시에 소재한 H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조사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4개 요인, 20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적합도 지수가 모두 기준치를 충족하는 4개 요인, 18개 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4개 요인은 ICT 기본역량, 기본업무 활용능력, SW중심사회 적응능 력, 그리고 SNS 활용 및 협업능력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하 기에 적합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도구는 대학생이 자가진단 형태로 자신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파악하고 역량 향상에 대한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지원을 모색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agnosis tool for measuring digital literacy for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14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small group test, 65 students for the pilot test, and 1,182 students participated for the survey research.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a preliminary survey, 4 factors and 20 questions were drawn throughout the exploratory factors analysis. And also the results of the main investigation showed the fact that 18 questions which satisfied the fit indexes statistically were finally confirmed.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of digital literacy for university consisted of four sub-elements such an ability for utilizing ICT, a basic ability to perform complex tasks, an ability adapting to the SW-centered society, and finally an ability to use SNS and to collaborate with others. The developed tool also demonstrated good results in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which were suitable for measuring digital literacy for university students. The digital literacy measuring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identify the current level of capabilitie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enhance their own competencies of digital literacy through educational supports after self-diagnosis in order to meet their needs of upcoming software-based society.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개발준비요인 간 구조적관계 분석: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활용

        신소영(Shin, Soyoung),권성연(Kwon, Soung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개발준비요인(자기이해, 직업 및 전공에 대한 지식, 의사 결정효능감, 관계활용효능감, 진로결정확신도, 구직기술) 간 구조관계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C시에 소재한 대학의 학생 2,0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이해, 전공 및 직업지식, 관계활용효능감이 진로 확신도에 영향을 주고 진로확신도는 구직기술에 영향을 주는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실제적인 구직활동과 연결될 수 있는 구직기술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기 위해 진로결정확신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아울러 진로결정확신을 위해 자신에 대한 이해, 전공과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와 외부 정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에 좀 더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 주고 있다. 성별 집단 별 분석에서는 남녀 모두 진로결정확신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공 및 직업지식>자기이해>관계활용효능감 순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조절효과 분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자기이해와 관계활용효능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전공 및 직업지식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결정확신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결정확신도를 높이기 위해 성별 특성에 따라 더 중점을 두어야 하는 요인들에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학년 집단별 비교에서도 진로결정확신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공통적으로 전공 및 직업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actors. The 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were used from CDRI(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 by Lim & Yoon(2005). These factors were self-knowledge, information on occupation and majors,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efficacy on decision-making, efficacy on networking, employability skill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factor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by students’ gender and grade,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s, self-knowledge, information on occupation and major, efficacy on networking were influential factors on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and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also had an effect on employability skills.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sidered that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was important factor to have confidence on employability skills which is related with practical job searching activity. To have more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the career guidance should focus on making the students understand themselves, their majors, related jobs and enabling to utiliz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other resources. In multi-group analys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was information on occupation and major, and self-knowledge, efficacy on networking were following. But there was significant in a path coefficienc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Self-knowledge and efficacy on networking were more influential factors on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in male group than those of in female group,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on occupation and major was more influential in female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iority of career guidance to enhance the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should be different by the gender. A comparison among groups of grade, the information on occupation and major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in all the groups of gra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