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에 대한 종단분석

        신세인 ( Sein Shin ),아리프라흐마툴라흐 ( Arif Rachmatullah ),하민수 ( Minsu Ha ),이준기 ( Jun-ki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변화의 양상을 확인하고,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의 변화양상과 그들의 계열(인문계열, 자연계열, 과학중점계열)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중점고등학교에 다니는 고등학생 256명으로부터 7개의 구인으로 구성된 이공계 진로동기를 5학기 동안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종단자료를 얻었으며,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집단중심추세모형(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구인들의 추세 집단과 계열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선 이공계 진로 교육 경험과 이공계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 구인은 학생 모두가 유사한 추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사회적 지지, 이공계 진로 관련 교과에 대한 자아효능감, 이공계 진로동기 구인의 추세는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두 추세집단으로 구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공계 진로 자아효능감과 이공계 진로 흥미 구인의 추세는 `다소 감소 집단`, `대폭감소 집단`, `증가집단`의 세 추세집단으로 구별되어 나타났다. 각 추세집단의 추세양상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이공계 진로동기 구인의 수준이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말 증가했다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구인들의 추세 집단은 계열과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인문계열 학생들의 경우 이공계 진로 동기 변화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집단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공계 진로교육 환경이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변화 양상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science core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jectory patterns and students` tracks. Longitudinal STEM career motivation data with seven constructs were collected from 256 students for five semest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group-based trajectory modelling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jectory pattern groups and the tracks,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Based on our findings, we found that students are likely to have similar trajectory patterns in STEM career education experience and in their perception towards STEM career value. In terms of parents`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STEM career motivation aspects are divided into two distinctive trajectory groups (`high` and `low` group), while two other variables, STEM career self-efficacy and STEM career interest, are divided into three trajectory groups (`moderate declining`, `high declining`, `increasing` group). Most of the trajectory groups are shown the pattern that the level of each constructs increase until their second academic year, then after that, the patterns started going down. Moreover, there a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rack and each trajectory groups. Science track and science-core track students have similar trajectory patterns. In contrast, humanities track students have different trajectory groups in some construc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STEM career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consider various patterns of students` STEM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꽃’의미의 형성과정 - 중국문자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신세리(Shin, Se-ri) 한국중어중문학회 2020 中語中文學 Vol.- No.81

        The chinese character of meaning ‘flower’ has a complex development. A chinese character could have many meanings, therefore it indicates the character has accidentally or inevitably developed a meaning of metaphor or metonymy. The development of Chinese characters of meaning ‘flower’ can be analyzed by the shape of the character. At first, I argue a characters like ‘蘤’ is one of original characters of meaning ‘flower’. But ‘蘤’ was shaped in Wei Jin dynasty, so we should analyze a loangraph ‘葩’’s sound system to figure the feature of chinese characters of meaning ‘flower’ in Pre-Qin Deriod in China. Secondly, the charcter ‘□’ was used to mening ‘flower’, and it created a character ‘华’, which is adjective charcter, and has basic meaning of ‘flourishy’. The ‘华’ was expanded it meaning, so I suppose it was needed a noun character of mening all kind of flower, and A character ‘花’ was began to use for meaning of ‘flower’. In this process, Characters was changed by the principle of the chinese character formation, such as Ideogram, loangraph, Phonogram. Therefore, the change of the Chinese character of meaning ‘flower’ is a change of a character from iconicity to Phonogram, and the principle of loangraph was a important link in this development.

      • KCI등재

        《老子》(版本語言現象考察) -以《馬王堆漢墓帛書,老子,十五章》爲中心-

        신세리 ( Seri Shin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5 中國硏究 Vol.64 No.-

        The Mawangdui bamboo and silk writing materials were found in Tombs 1 and 3 from the Han Dynasty in Mawangdui, Changsha. The year of these bamboo and silk writing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two tombs is estimated all to be between Chin(秦) and early Han (漢初). The typology of the characters is quite close to the standard Han official script (漢례). Accordingly, the silk documents from the Han tombs in Mawangdui are highly valuable materials for explaining Libian (레變 -changes of official script). This study analyzed the printing blocks of Chapter 15 of Laozi in Mawangduihanmuboshu (馬王堆漢墓帛書 - silk documents from the Han tombs in Mawangdui, Changsha) for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forms, meanings, and sounds of characters in documents from those days and for explo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in the Zanguo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ased on the patterns of changes in character form, changes reflected on character forms in those days were derived. For example, the number of strokes increased or decreased. (2) Based on the morphological relationships of characters, characters of different shape in each printing block could be regarded as the same character. For example, there were morphological relationships such as variant forms of characters (異體字), ancient-present characters (古今字), replacement of the meaning part (義符代還), etc. These phenomena explain why each printing block had different characters. (3) Based on the phonological relationships of character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ertain systems between the form, sound, and meaning of characters. Such systems include vocalization (聲化), interchangeable borrowing (通假), and rebus character (假借).

      • KCI등재

        유아와 어머니가 함께하는 책읽기 시간의 책 선택권에 관한 어머니들의 이야기

        신세니 ( Se Ni Shin ),김상희 ( Sang Hee Kim ),조희숙 ( Hea Soog J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유아와 어머니가 함께하는 책읽기 시간의 책 선택권에 관한 어머니들의 실제적인 목 소리를 통해 유아의 책 선택권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5~7세 유아기 자녀를 양육중인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책 선택권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은 첫째, 전적으로 어머니가 주도하는 권리와, 둘째, 유아와 어머니가 동등하게 나눠 갖는 권리라는 두 가지로 대별되어 나타났다. 먼저, 책 선택권을 자신들의 것으로 보는 어머니들은 학습 목적으로 철저한 계획 하에 사용하는 권리, 독서환경을 조성하는 주담당자의 소유권, 도서 선별력이 부족한 유아들을 감독하는 수단, 분주한 육아의 일상에서 자연스레 정착된 자신의 몫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책 선택권을 유아와 공동의 소유로 보는 어머니들은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최소한의 개입, 독자로 성장해가는 유아들의 지원 방안, 유아 독서문화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 권리로 인식하고 있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mothers in terms of the right of book choice in children-mother picturebook reading time and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mothers regarding this right.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aims, an in-depth interview was given to 10 mothers, raising young children ranging from 5 to 7 years of ag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realization concerning the right of book choice among mothers is divided into two main opinions: mothers ultimately lead the book choice and mothers and children share the book choice. First, mothers who regard the right of book choice as their own right believe it to be a right based on a thorough plan, a person`s single ownership of the reading environment, a means of monitoring young children who lack book selection ability and work naturally established part of a busy daily life raising you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mothers who consider the right of book choice as joint ownership between young children and mothers appreciated it as a minimal intervention based on belief and respect, and a means of supporting young children who are developing readers and as a basic right for impr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재미있는 과학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신세인(Shin, Sein),하민수(Ha, Minsu),이준기(Lee, Jun-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이 연구에서는 ‘재미있는 과학수업’에 대한 과학교사 집단과 중등학생 집단의 인식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77명의 과학교사와 137명의 중학생, 137명의 고등학생의 재미있는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연구에 사용할 언어 자료는 구글 서베이(Google survey)를 활용하여 2016년 9월 20일부터 2017년 7월 15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 고등학생, 과학교사 집단의 인식에는 많은 부분 유사한 점이 있었으나, 일부분은 차이가 나타나 기도 했다. 먼저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인식 비교 결과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소통이 있는 수업’, ‘잘 이해되는 수업’, ‘참여할 수 있는 수업’, ‘실험 중심 수업’으로 재미있는 과학수업의 특성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재미있는 과학수업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모습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고등학생들은 자신과 관련성이 높은 수업을 재미있는 과학수업의 특징으로 인식했다. 한편 과학교사들은 ‘학생 중심의 활동 수업’, ‘활발한 참여가 있는 수업’, ‘현상에 대한 흥미가 유발되는 수업’, ‘내용이 이해되는 수업’, ‘호기심을 자극하는 수업’,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 ‘기억에 오래 남는 수업’, ‘생활과 관련된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학교사와 학생 사이의 비교 결과, 학생들은 과학교사에 비하여 수업 중 소통 측면을 더 중요하게 인식했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해 볼 때, 재미있는 과학수업을 위해서 과학 교사는 교수·학습 내용 측면뿐만 아니라 교사-학생, 학생-학생 사이의 관계적 측면과 소통이라는 실천적 측면을 더욱 고려해야 할 것임을 제언했다. The study attempted to compare science teachers and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 on ‘interesting science class’. In this study, perceptions on ‘interesting science class’ of 77 science teachers, 137 middle school students, and 137 high school students were compar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Text data were collected from 20 September 2016 to 15 July 2017 using Google surve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many similarities but som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cience teacher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students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esting science class as communicative lesson , well understood class , class that can participate and experiment-centered class . However,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interesting science classes in more specific perspectiv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y perceived interesting class as class that is related themselves as a characteristic of interesting science class. Second, the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esting class as “student-centered activity”, “active participation”, “interesting phenomenon”, “well understandable content”, “class that stimulates curiosity”, “memorable class”, and “life related class”. The comparison between science teachers and secondary students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d the communication aspect more important in interesting science class than science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science teachers should take into account not only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ut also practical aspects such a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 students, students-students.

      • 냉장고 단열재 스크랩 재활용 재생 폴리올 이용 난연성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제조 기술

        신세라 ( Se-ra Shin ),이대수 ( Dai-soo Lee ),김형주 ( Hyoung-joo Kim ),박원배 ( Won-bae Park ),김유석 ( You-seok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사용이 끝난 냉장고를 회수하여 리싸이클링 센터에서 재활용하는 공정에서 단열재로 사용한 경질 폴리우레탄 폼 스크랩 발생량은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2만톤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단열재 스크랩은 소각하는 경우 연소 과정에서 독성과 부식성이 강한 시안화수소 및 일산화탄소 발생이 문제되어 다양한 재활용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질 폴리우레탄 폼 냉장고 단열재 스크랩을 화학적으로 처리하고 재생 폴리올을 제조하여 다시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화학적 재활용 기술의 공정들은 아래 그림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질 폴리우레탄 폼 해중합으로 저분자량화하는 액상화 공정, 이물질들을 분리하는 여과공정, 얻어진 화학 원료의 부가반응 공정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얻어지는 재생 폴리올들은 방향족 구조 화합물 함량이 일반적으로 높은 특징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다시 단열재용 등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제조에 사용하는 경우, 폼들은 난연성이 우수하고 열전도도가 낮아져 단열성능이 우수한 장점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실적 연구 단계에서 얻어진 결과가 실증 규모 파일롯 공장에서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경제성도 무리가 없어 상업적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소각 처리되던 폐기물을 단열제품 제조에 재사용하는 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