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역 안과에서 후포도막염으로 오진된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 1예

        신성환(Seong Hwan Shin),박성표(Sung Pyo Park) 대한검안학회 2015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4 No.3

        Purpose: To report a case of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which was misdiagnosed and treated with as posterior uveitis in local clinic. Case summary : The 61 years old woman visitied our clinic because of blurred vision which was started a year ago. In local clinic, she was diagnosed as posterior uveitis in her right eye because of vitreous hazziness and retinal exudates in her right eye. She was treated with steroid therapy and cryotherapy. But, her symptoms and ophthalmologic findings were not subsided. At the first examinatio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zero point one in her right eye. No specific abnormal lesion was observed at anterior segment examination in her right eye. On fundus examination, vitreous hazziness and vitreous cell reaction were observed in her right eye. We suspected her as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So, we performed brain MRI to her. At the brain MRI, the mass was observed in her right occipital lobe. The histological result of brain biopsy and vitreous sampling which were achieved during vitrectomy was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So, we definitely diagnosed her as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After combination of systemic chemotheray and 8 times intravitreal Methotrexate injection, we could observe clinical remission of intraocular lymphoma in her right eye. After 25 times intravitreal Methotrexate injection, we could not observe any recurrence sign of lymphoma in her right eye. Conclusions: We differentiated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lymphoma with chronic vitritis or posterior uveitis as neoplastic masquerade syndrome. We could consider intravitreal methotrexate injection with systemic chemotherapy as a treatment of primary intraocular lymphoma.

      • KCI등재

        17세기 재지사족의 향촌질서 재편과 <전가팔곡>

        신성환 ( Seong Hwan Shin )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thoroughly review how to create <Jeongapalkock> by Johnje I Hui-Il(1619~1672) and achieve a new direction of understanding of this work. In order to do that, it needs to examine the way to found and run the country order since I Hui-il had settled down in Jeogock. At that time, those who lived in Jeogock were the lower class. I Hui-Il unified the lower class into a community as nobility. He organized Ochondonggye which is a community combined the upper and lower classes together and tried to maintain the country order stably through education and aid. He was also positive to be a farmer, and interested in agricultural management such as soil fertility. Even though, He was not a farmer himself, but he thought very highly of agriculture. It seems that he would participate farming as a supervisor rather than a farmer in Ochondonggye. <Jeongapalkock> is closely related with his life in Jeogock. It is because it was created only a month before he made 「Onchondonggyeseo」 and the official title of this poem is <Jeogockjeongapalkock>. It consists of 8 stanza which are about 4 seasons and day and night. I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oems by two different speaker in one poem. One is a farmer as a laborer, and the other is a farmer as a supervisor. This is a result that the author spent 3 years in Jeogock organizing Ochondonggye as a community combined the upper and lower classes together. In other words, <Jeongapalkock> is a reflection of his ideal community that everyone participates agriculture in accordance with one’s own position. He did not stop just to create a poem. He knew that the lower class would not understand his will. That is why he made children sing his poem in order to learn his idea naturally.

      • KCI등재

        조선후기 농촌공동체의 운영과 농부가류(農夫歌類) 가사(歌辭)

        신성환 ( Seong Hwan Shin )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4 No.-

        본고는 조선후기 농부가류(農夫歌類) 가사(歌辭)의 산출 동인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에 대한 새로운 독법을 마련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기실 농부가류 가사에 대한 종래의 성과들은 내재적 발전론의 주요한 입론이었던, 조선후기 농업사 연구에 강하게 긴박되어 있었다. 즉 근대라는 필연의 단계를 중심에 놓고 역사를 이해하는 목적론적 근대주의의 시각이 작동되고 있었던 것이다. 필자는 우선 이러한 시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조선후기의 농촌사회를 ``도덕경제(Moral Economy)``라는 관점에서 재조망하고자 하였다. 전통적인 농민생활의 핵심에는 농촌공동체 내에서 농민들에게 최소한의 생존을 보장해주는 ``호혜성의 규범``과 ``생계권리``라는 도덕적 구성요소가 결합된 일종의 "생존윤리"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농민의 생존윤리 경제학을 도덕경제라 부른다. 전(前)자본주의적 공동체는 최소한의 수입을 보장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위험을 최소화시키는 안전제일(Safety First)의 원칙에 지배되고 있었는데, 따라서 농민들은 위험을 감수하면서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것보다는 위험을 극소화시키는 문제에 관심을 집중하게 된다. 또한 개인의 생존과 공동체의 생존이 강하게 긴박되어 있었다. 조선후기의 농촌 공동체 역시 호혜성에 바탕을 둔 생존윤리가 작동하는 도덕경제에 의해 운영되는 사회였다고 할 수 있다. 농부가류 가사가 위와 같은 환경에서 산생되었음을 감안하고 작품을 바라보면, ``동락(同樂)과 호혜성`` 그리고 ``생존한계선과 지식의 전달``이라는 두 가지 주요 국면을 포착할 수 있다. 농부가류 작품들에서는 추수한 후에 마을잔치를 벌이는 동락(同樂)의 모습이 등장하는데, 이는 지주계급에서 공동체의 운영과 유지를 위해 호혜성의 발현을 통한 상대적 재분배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농업지식을 담은 내용이 산견되는데, 이는 제대로 된 농사법과 시기를 농민들에게 알려줌으로써 자연재해 등의 이유로 급격하게 생산량이 줄고 결국 다수의 농민이 생존한계선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했던 의도가 숨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is designed to explore agents of the production of Gasa in the Types of Nongbuga and establish new ways of interpreting them based on the agents. In fact, existing researches of Gasa in the Types of Nongbuga have strongly been bound with the research of farming history of the late Chosun Dynasty which presented the important arguments of the study of internal development. Interpreting its history was rigidly fixed to the modern-period-centered teleological perspectives. Therefore, this study is to shed new light on the agricultural society of the late Chosu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 Economy by criticizing the modern-period-centered teleological perspectives. In the core of the traditional farming life, there is "the cooperation principle for survial" which combines ``the norm of mutual benefits`` assuring the poverty line for farmers in the agricultural community with ``the living rights`` as a part of moral. This combination is called moral economy. The community of pre-capitalism had been dominated by the principle of Safety First minifying the dangers of the poverty line. Therefore, Farmers came to focus on minifying the dangers rather than maximizing the profits in returns for taking the risk. Also, individual survival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mmunal survivals. The agricultural community of the late Chosun Dynasty was considered to be the society maintained by the moral economy of the cooperation principle for survival based on mutual benefits. Considering the environments of the creation of Gasa in the Types of Nongbuga, it`s noticeable that there are two aspects of ``share their joy and mutual benefits`` and ``the poverty line and the deliverly of knowledge``. In the lyrics of farmers` songs, the village people held a feast after harvesting, which is considered to be relatively redistributed by the landowning classes as the revelation of mutual benefits for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community. Also, contents of agricultural knowledge was showed, which can be seen as the intention of maintaining farmers` poverty line threatened by a decrease in production due to natural disasters and so on by giving information on correct farming methods and time.

      • KCI등재

        추천석사논문 : 사육신(死六臣) 담론의 전변(轉變)과 조선후기 시가(詩歌)의 수용 양상

        신성환 ( Seong Hwan Sh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본고에서는 우선 사육신 담론이 정치적 맥락을 넘어 사회적으로 어떻게 변화되 는가를 살펴보고, 그러한 인식의 변화를 바탕으로 문학에 나타난 사육신의 모습을 고찰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 과정에서 기억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우선 前史적 단계로 조선시대 사육신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고찰하였다. 사건의 발생 초기에는 逆賊 혹은 亂臣으로 호명되는 경우가 잦았고, 『무정보감』에도 이름을 올리면서 국가적으로도 그들을 역적으로 분류하였다. 물론 남효온이 「육신전」을 통해 사육신을 절의의 인물로 그려 내기는 했지만 어디까지나 사적인 글이었고, 위험한 글로 치부되어 쉽사리 전해지기도 어려운 상황이었다. 하지만 16세기로 접어들면서는 사육신을 충신으로 기억하려는 움직임이 꾸준하게 일어나면서, 역적에서 충절의 인물로 점차 기억의 전환이 일어났다. 사육신의 복권은 숙종대로 접어든 17세기 후반에 와서야 이루어진다. 사육신을 충신으로 인정하는 것은 현 왕조에 대한 부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딜레마를 임금과 신하의 義는 다르다는 ``君臣分義``라는 개념을 통해 극복함으로써, 전격적으로 복권이 이루어 질 수 있었다. 복권은 곧 공식적으로 충신임을 인정하는 것으로, 이후 영·정조 시대에는 국가가 주도적인 위치에서 사육신에 대한 추숭작업을 진행하였다. 묘를 정비하고, 묘비를 세우고, 곳곳에 서원을 건립하였으며, 때때로 치제를 올리면서 그들의 충절을 기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사육신에 대한 기억을 공간화하는 것이었고, 이는 계층을 넘어 일반 평민들에게도 사육신에 대한 공통된 기억을 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18세기 후반에 대대적으로 노릉에 배식단을 세우고 사육신을 배향하면서 추숭작업이 정점에 다다르게 된다. 이 때 사육신은 단순한 충절의 인물이 아니라 유가에서 요구하는 도덕적 이상형의 모습으로 기억된다. 3장에서는 2장에서 탐색한 담론의 변화를 바탕으로 시조에 나타난 사육신의 모습을 고찰하였다. 사육신은 원래 개개인이 모여서 이루어진 집단적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사대부층의 문학인 漢詩에서는 사육신의 개별성은 퇴색되고, 사육신이라는 집단이 갖고 있는 절의라는 공통된 이미지가 투영된다. 이러한 모습은 복권의 이전과 이후가 다르지 않은데, 성리학적 전통 아래에서 사대부들이 사육신을 기억하는 방식이 절의의 측면을 부각하면서 이루어졌다는 데 그 원인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점차 향유층을 넓혀 가던 시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육신의 집단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개별적 형상이 반영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사육신이 작품의 소재로서가 아니라, 작가로 비정되기에 일어난 결과라 할 수 있다. 한 작품의 작가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사육신``이 아니라 개인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조 작가로의 수용이 한 번에 일어난 것은 아니었다. 성삼문·박팽년 등 사육신 중에서도 중심적인 인물이 먼저 작가로 비정되었고, 작품의 주제적 층위에 있어서도 그들이 주는 1차적인 이미지라 할 수 있는 節死 혹은 戀君의 노래에서 점차 避世·閑居류의 작품으로 확장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육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discussion of Sayukshin(the six martyred scholar-officials) socially beyond the political context and explore the features of Sayukshin in the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this, existing memories of Sayukshin was actively used. In the chapter 2, the changing process of discussion on Sayukshin in the Choseon Dynasty was studied. In the beginning, they were branded traitorous subjects and categorized nationally as such in Mujeongbogam. Although Nam Hyo-ohn described Sayukshin as loyal vassals in his book Yukshin-jeon, it was considered a personal writing as well as a dangerous piece of writing.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be spread. However, entering the 16th century, the movement of acknowledging Sayukshin as royal subjects emerged consistently and the transformation of memory of them gradually happened. And then they were redefined as royal subjects rather than traitorous subjects. The reinstatement of Sayukshin was completed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in the late 17th centry by removing the dilemma of recognizing Sayukshin as loyal subjects against the present dynasty based on the concept of the proper righteousness between a king and subjects or the "Gun-Shin Buneui" philosophy. The reinstatement officially enabled Sayukshin to be acknowledged as royal subjects. In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Jeongjo, the dynasty played a leading role to promote the project of honoring of Sayukshin as loyal vassals. Their graves were organized and gravestones were set up. Memorial halls were built in many places and held services to honor them. This series of process produced spatialization of memories of Sayukshin, which led the common people to regard them as royal subjects.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project of honoring of Sayukshin got into full swing by the construction of the Baeshik-dan stand(an attached stand for food-offering) at the Noreung mausoleum. Sayukshin eventually came to be memorized not only as loyal vassals but also as the ethical ideal for confucianism. In the chapter 3, the features of Sayukshin in the literature was examined based on the change of discussion of Sayukshin explored in the chapter 2. In spite of the concept of a group of six individual leaders, the individuality of Sayukshin faded out and the vassals` loyalty of Sayukshin strongly remained in Chinese poetry of confucian elites. Howev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pre-and post-reinstatement in the recognition of Sayukshin. That was because under the tradition of neo confucianism the way of confucian elites memorizing Sayukshin was completed by emphasizing their loyalty to the king. In the case of sijo increasing the number of its readers, the image of individuality as well as the image of a group of Sayukshin was reflected. Sayukshin was comparatively set as writers rather than materials of works. To be firmly recognized as a writer of a work, they needed to get attention not as a group of Sayukshin but as an individual. Such general acceptance as a sijo poet was not established at a time though. Leading figures of Sayukshin including Seong Sam-moon, Park Pang-yeon were comparatively set as a writer first.Themes of their works were stretched to poems expressing a leisurely life including poems showing their loyalty to the king and Yeongun(the song of longing for the absolute object). This resulted from the change of social recognition of Sayukshin with the times.

      • KCI등재

        조선후기(朝鮮後期) ‘치산(治産)’의 문제(問題)와 <치산편(治産篇)>의 의미(意味)

        신성환 ( Shin Seong-hwa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3

        본고는 朝鮮後期 ‘治産’에 대한 認識을 검토하고 그것을 통해 『草堂問答歌』 소재 <治産篇>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朝鮮朝談論을 主導했던 士大夫들에게 財貨의 創出을 기본으로 하는 治産의 행위는 대개 否定的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實學者들을 중심으로 治産에 積極的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認識이 싹텄다. 이는 治産이 한 가족의 범위를 넘어 共同體를 指向함으로써 나타난 結果였다. 이러한 변화된 認識을 배경에서 産生된 <治産篇> 또한 共同體를 중심으로 한 삶의 價値를 내포하고 있다. <治産篇>은 監農者이자 共同體의 리더인 話者를 내세워 ‘治産’의 목적이 富의 蓄積이 아닌 共同體의 安定的 維持에 있음을 說破하는 作品이다. 그렇기에 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治産의 方法 또한 農事와 儉約 등 매우 防禦的인 次元에서 提示될 수밖에 없었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understanding of ‘Chishan’ and search for the meaning of < Chishanga > which belong to 『Chodangmundapgha』. The action of ‘Chishan’(management of property) is based on creating property, and the noblity who lead the society of Joseon have a negative view of it. However, Silhak scholars brought an awareness of active participation in ‘Chishan’, and it was a result of the fact that ‘Chishan’ extended the range from a family to a community. Also, < Chishanpyon > contains the value of life around the community, because it was written after people changed their understanding of ‘Chishan’. This work teaches people that the purpose of ‘Chishan’ is not the accumulation of wealth but the stable maintenance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narrator who is the leader of the community. That is why it could only suggest the way of ‘Chishan’ in a very defensive level, such as, agriculture and saving.

      • KCI등재

        논문 : 근대 이후 사육신에 대한 단속(斷續)적 기억과 시가(詩歌)에서의 수용 양상

        신성환 ( Seong Hwan Sh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1 No.-

        본고는 근대의 초입 무렵에 나타난 사육신에 대한 기억의 전변 과정과 그러한 변모가 당대의 시가 작품에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는가를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조선 왕조가 몰락하고 제국주의의 침략에 주권을 침탈당했던 이 시기에 ``충신``으로서 이미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사육신이 어떠한 방식으로 재호명 되는가를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근대 이후 사육신을 충신으로 호명하는 행위에는 그 충의 주체와 대상이 전근대시 기와는 모두 달라졌다. 주로 왕권을 중심으로 호명되었던 전근대시기에는, 충성을 바쳐야 할 주체는 신하였고 충성의 대상은 왕 혹은 왕조였다면, 국민국가 개념이 정립되던 근대 이 후에는 국민들에게 국가와 민족에 충성할 것을 요구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이 가능했던 이면에는 사육신이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된 인물이라는 당대의 변화된 기억이 자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사육신은 20세기 이후 산출된 시조와 가사 모두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그 작품들에서 직접적으로 사육신을 국가와 민족을 위해 죽은 인물로 그리지는 않는다. 다만 여기서 고려해야 할 지점은 어떤 문학작품을 해독할 때 에는 작품 자체가 갖고 있는 수사적·미적인 특질과 더불어 고려해야 할 다양한 컨텍스트적인 요소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작품이 창작된 시대적 정황은 독해에 중요한 지침을 제공해주는 경우가 허다하며, 특히 의미를 함축적으로 내포하는 시에서의 경우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20세기 이후 산출된 시가작품에 등장 하는 사육신에 대한 해석은 위와 같은 변화된 기억의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옳을 것이다. 즉 일제의 침탈이라는 위기의 상황에서 국가와 민족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작품에 나타나는 사육신의 죽음의 국가와 민족을 위한 것으로 인식되었을 것임은 자명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ing concepts of Sayukshin(the six martyred scholar-officials) in the beginning of the modern era and the aspects of its acceptance reflected in classical poetry of that period.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way of shedding new light on the loyalty of Sayukshin who had already established themselves as true loyal vassals at a time when Choseon dynasty was collapsed and its sovereignty was violated. After the modern era, the way of recognizing Sayukshin as loyal vassals had changed compared with that of the pre-modern period considering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loyalty. In the pre-modern period when the positions of loyal vassals were mainly secured by royal authority, subjects were demanded to be loyal to the king. After the modern era when the concept of a nation-state was established, the nation and its people became the object of loyalty mainly due to a renewed appreciation of Sayukshin sacrificed for the nation and its people. Sayukshin has appeared in both classical poetry and Sijo which were produced since the 20th century though Sayukshin was not directly described as figures sacrificing for the nation and its people. However, when literary works are interpreted, a variety of contextual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ncluding their rhetorical and aesthet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context of creating literary works often provides the comprehension of the works with the important guidelines especially in the case of poetry implying its meanings connotatively. Then, the interpretation of Sayukshin appearing in classical poetry produced after 20th century should be made in the context of altered memories of Sayukshin. In a critical situation of Japanese invasion, this interpretation was a way of boosting royalty to the nation and its people. Therefore, it`s obvious that the death of Sayukshin must have been recognised as true loyalty to the nation and its people.

      • KCI등재

        근대계몽기 여성의 호명과 교육, 그리고 『片片奇談警世歌』 -<녀자교육편>을 중심으로-

        신성환 ( Seong Hwan Shin ) 민족어문학회 2014 어문논집 Vol.- No.71

        본고의 목적은 근대계몽기에 출간된 가사작품인 『편편긔담(片片奇談) 경셰가(警世歌)』(1908)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인식을, 당대의 여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데에 있다. 근대적 삶이라는 거대한 변혁이 태동함과 동시에 국가적 위기감이 점차 고조되던 이 시기에 우선적으로 요구된 역사적 사명은 근대적인 정치체제를 구축하는 것에 있었고, 그 과정에서 핵심적 과제로 떠오른 것이 바로 ‘계몽’을 통한 ‘국민 만들기’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성은 국민의 영역에 포섭되면서 교육-계몽-의 대상으로 새로이 호명되었지만 그 방향성은 여전히 전근대적인 영향력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이러한 의식 혹은 무의식의 발현은 교육의 주된 주체였던 남성에게서만이 아니라 여성 내부에서도 강하게 작동되고 있었다. 근대적 계몽 의식의 급격한 추동은 어떤 면에서는-특히 여성의 교육과 관련된 면에서는 더더욱- 전근대적 인식과 강하게 결부되어 있었던 것이고, 계몽의 주된 도구로 사용되었던 문학의 영역에도 이러한 모습이 나타났다. 19세기부터 널리 유행했던 『초당문답가』의 이본인 『편편긔담경셰가』는 가사라는 전통적 양식을 취하고 있으며, 내용적 측면에 있어서도 유교적 윤리를 설파하는 등 다분히 전근대적인 면모가 엿보인다. 하지만 『편편기담』에만 존재하는 <여자교육편>에 이르면 근대계몽기라는 시대적 향기를 진하게 느낄 수 있다. <녀자교육편>은 전체가 4구 13행으로 이루어져 있어 길지는 않지만, 점층적인 구도 속에서 작자의 인식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논의의 핵심을 서두에 제시하고, 서구 문물의 수혜를 받은 여성에 대해 ‘외형 묘사 → 행태 묘사 → 일본의 작태 → 잘못된 교육이 결과’라는 단계를 거치면서 비판의 수위를 높여간다. 이를 통해 작자는 여성을 교육해야할 대상으로 명확히 인식하고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고는 있지만, 교육의 내용은 어디까지나 전근대적인 것에 머물러 있는 모습이 나타난다. 요컨대 교육을 통해 국민화해야 한다는 근대적 발상에 의해 ‘여성’은 새롭게 호명되었지만, 그들에게 부과된 교육의 내용은 어디까지나 전근대적인 것이 중심을 이루었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적 인식은 당대인들에게 널리 향유되었던 친숙한 문학작품에도 영향을 끼쳤다. The purpose of this presentation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bout women related to women education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showed in “Pyeonpheongidamgyeongsega”(1908) published by Bomunsa. ". In the time when Overwhelming changes of a modern way of life began to emerge along with nation``s mounting sense of crisis, the most emergent historical obligation was to establish the political system. In the process of this, the key subject was ``nation making`` through ``enlightenment``. In this situation, women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ere recognized a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enlightenment. However, their social status remained unchanged and their thinking was still held in the past. This manifestation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had had a great impact onnot only men who took in charge of women education but also women themselves. The drastic changes of modern enlightenment were strongly connected to outdated perspectivesespecially in relation to women education. Also this must have been expressed in literary works used as tools of enlightenment. "Pyeonpyeongidamgyeongsega" examined in this presentation is the different version of "Chodangmundapga" which was so popular from 19century that had a tradition style of Gasa and spread Confucianism exposing pre modern characteristics. However, ``the sectionof women education`` which only appeared in “Pyeonpheongidam” clearly revealed the impact of modern enlightenment. "The section of women education" was made up of 4 passages 13 lines and revealed the writer``s perception in a gradual form. The main theme of the poem appeared in the beginning part and criticized women who were benefited from western culture through the steps of ``appearance description → behavior description → description of Japan``s unscrupulous behavior → the miseducation of women``. Through this, the writer clearly recognized women as the subject of education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But the contents of education remained traditional. In short, an attempt to recognize women as individual subjects was made, which resulted in making women as the subject of education. However,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focused on a pre modern way of thinking and its double standards created a great impact on literary works which were popular at that period of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