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홍만선의 '산림경제(山林經濟)'에서 본 조경식물 재배(종수법(種樹法))와 가꾸기(양화법(養花法))

        신상섭,Shin, Sang Sup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3

        우리나라 최초의 농업과학기술 종합교본으로 평가되고 있는 홍만선(洪萬選 : 1643~1715년)의 편저, '산림경제'를 대상으로 추적한 조경 식물 관련 재배(종수(種樹))와 가꾸기(양화(養花))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은 벼슬하지 않고 초야에 묻혀 즐기는 것이고, '산림경제'는 의향에 따라 꽃과 나무를 심고 새와 물고기를 기르는 것인데, 10년 계획으로 알맞은 나무를 심으면 봄에는 꽃을 볼 수 있고 여름에는 그늘을 즐길 수 있으며, 가을에는 열매를 먹을 수 있고 자산을 늘리는 방법임을 역설하고 있다. 특히, 꽃과 나무를 가꾸고 재배하기 위해서는 생태적인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에 등장하는 식물의 출현 종은 초기에 비해 중기 이후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한데, '산림경제'에서 그 증가 경향을 추적할 수 있으며, 여기에 기술된 52종의 성상은 교목 31종, 관목 8종, 기타 3종, 초본 10종으로 분석되어 교목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28종에 이르는 유실수 등 이용후생의 경향이 표출된다. 셋째, 식목 길일은 음력으로 정월이 가장 좋고(상시(上時)) 2월이 차선이며 3월이 가장 나쁜 시기(하시(下時))임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식에는 숙토를 많이 붙여 분 뜨기 하고, 남쪽 가지를 원래 방향에 맞춰 심으며, 묻혔던 높이만큼 복토하여 버팀목을 세워야 함을 설명하였다. 또한, 1치 정도 깊이로 씨를 심으면 새순이 잘 나고, 꺾꽂이는 3월 상순에 손가락 굵기 만한 것을 골라 5치 길이로 심는 것이 좋다 하였다. 접붙이기는 싹이 틀 때가 좋고, 과일나무를 접붙일 때 남쪽으로 뻗은 가지를 쓰면 열매가 많이 달리며, 정월에 곁가지들을 전정하면 힘이 갈리지 않고 열매가 탐스러우며 굵어진다 하였다. 특히, 식재 적기를 음력 정월로 기술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오늘날 식재 적기 판단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하겠다. 넷째, 꽃나무 가꾸기와 관련하여 분재는 정월이나 2월 거름흙을 주고 옮겨 심거나 씨를 뿌리는데, 꽃망울이 맺히면 거름 물을 주어 3~4월에 분을 올리는 것을 권장하였다. 말똥을 물에 섞어 꽃나무에 주면 일찍 꽃이 피고, 붉은 꽃을 희게 하려면 유황 연기를 이용하며, 화분은 반음지에 벽돌로 괴어 주는 것이 좋고, 석류 치자 동백 사계화 등은 꽃이 진 뒤 흙에 묻어주는 것이 좋다하였다. 꽃나무는 담 밑에 심으면 가지가 집 쪽으로 기울어지므로 자주 돌려놓아야 하고, 햇볕이 잘 드는 움 속에 씨앗을 갈무리하는데 출입구 겸 환기구를 남쪽으로 내서 화분 관리에 편하도록 해야 한다 하였다. 다섯째, 정월 초하룻날 닭이 울 때 횃불로 과수나무를 그을리면 잠복중인 벌레를 살충할 수 있고, 청명일 새벽에 볏짚을 매달아두면 모충(毛蟲)이 잠복소에 유인되며, 과수에 발생한 벌레는 유황가루로 구멍을 막아 질식시키거나 유황불로 훈연하는 방제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토양조건과 관련하여 비옥토의 중요성을 언급하면서 건강한 식물을 키울 수 있고 병충해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The results of study on planting and cultivate of Hong Man-Seon(1643~1715)'s 'Salimkyungjae(The Economy of Forest)' the first summative textbook of agricultural skill of Sou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Salimkyungjae' suggests that one can enrich oneself, eat fruits in fall, enjoy the shade of trees in summer, and enjoy flowers in spring if one plants tree with 10 year plan with knowledge of ecology. Second, the number of plants had increased continuously from the early Chosun Dynasty to the mid Chosun Dynasty. The 52 plants in the book are classified into 31 trees, 8 shrubs, 3 others, and 10 herbs, and 28 of them are fruit trees. Hence, we can see that the book is for the promotion of welfare. Third, planting(transplantation) is the best on January of the lunar calendar, and the second on February, and fertile soil should be added much. Trees must be planted as deep as once it was planted, and buttressed. It will sprout well if it is planted at the depth of one inch, and planting a cutting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early March with 5 inch and finger-thick branches. Grafting is the best when it begins to sprout. Fruit trees will bear many fruits if they are grafted at the direction of South, and fruits will be greater if the trees' branches are cutting off on January. Especially, January was selected for the best season of planting traditionally. Fourth, flower trees are planted or sowed with manure around January and February of the lunar calendar, and it is recommended to replant them into flowerpots with manure when having flower buds around March and April of the lunar calendar. It would bloom earlier when using water mixed with stable manure, and sulfur smoke can be used in order to change the flower color from red to white. Flowerpots would be placed at half shaded lot with being supported by bricks. Pomegranate, gardenia, camellia and four-season flower should be planted after flowers fallen. When flower trees are beside walls, they need to be rotated frequently since their branches all point toward house. Seeds need to be preserved in a sunny hut, where its entrance and ventilating openings would be at south because it is convenient to manage pots. Fifth, insects hidden at fruit trees would be destroyed by torch smoke when roosters cry on New year's day of the lunar calendar. Insects would be decoyed into straw hanged at dawn of Cheongmyeongday(淸明日). Insects on fruit trees would be controlled using sulfur powder to close up holes or sulfur smoke to fumigate. Particularly, it suggests that utilization of fertile soil would be the best solution for growing health plants and preventing pest.

      • KCI등재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공간구조와 관아(官衙) 조경 -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을 중심으로 -

        신상섭,이승연,Shin, Sang sup,Lee, Seung yoen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2

        'Sukchunjeahdo' illustration-book, which was left by Han, Pil-gyo(韓弼敎 : 1807~1878)in the late Joseon Dynasty, includes pictorial record paintings containing government offices, Eupchi, and Feng Shui condition drawn by Gyehwa(界畵) method Sabangjeondomyobeop(四方顚倒描法) and is the rare historical material that help to understand spatial structur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Youngyuhyun(永柔縣) and Sincheongun(信川郡) town, the case sites of this study, show Feng Shui foundation structure and placement rules of government offices in the Joseon Period are applied such as 3Dan 1Myo(三壇一廟 : Sajikdan, Yeodan, Seonghwangdan, Hyanggyo), 3Mun 3Jo(三門三朝 : Oeah, Dongheon, Naeah) and Jeonjohuchim(前朝後寢) etc. by setting the upper and lower hierarchy of the north south central axis. The circulation system is the pattern that roads are segmented around the marketplace of the entrance of the town and the structure is that heading to the north along the internal way leads to the government office and going out to the main street leads to the major city. Baesanimsu(背山臨水 : Mountain in backward and water in front) foundation, back hill pine forest, intentionally created low mountains and town forest etc. showed landscape aesthetics well suited for the environmental comfort condition such as microclimate control, natural disaster prevention, psychological stability reflecting color constancy principle etc. and tower pavilions were built throughout the scenic spot, reflecting life philosophy and thoughts of contemporaries such as physical and mental discipline, satisfied at the reality of poverty, returning to nature etc. For government office landscape, shielding and buffer planting, landscape planting etc. were considered around Gaeksa(客舍), Dongheon(東軒), Naeah(內衙) backyard and deciduous tree s and flowering trees were cultivated as main species and in case of Gaeksa, tiled pavilions and pavilions topped with poke weed in tetragonal pond were introduced to Dongheon and Naeah and separate pavilions were built for the purpose of physical and mental discipline and military training such as archery. Back hill pine tree forest formed back landscape and zelkova, pear trees, willow trees, old pine trees, lotus, flowering trees etc. were cultivated as gardening trees and Feng-Shui forest with willow trees as its main species was created for landscape and practical purposes. On the other hand, various cultural landscape elements etc. were introduced such as pavilions<Nu(樓), Jeong(亭), Dae(臺), Gwan(觀), Gwan(館), Gak(閣), Heon(軒) etc.>, pond serving as fire protection water(square and circle), stone pagoda and stone Buddha, fountains and wells, monument houses, flagpoles etc. In case of Sincheongun town forest(邑藪), Manhagwan(挽河觀), Moonmujeong(文武井), Sangjangdae(上場岱) and Hajangdae(下場岱) Market place, Josanshup<(造山藪 : Dongseojanglim(東西長林)>, Namcheon(南川) etc. were combined and community cultural park with the nature of modern urban park was operated. In this context, government office landscape shows the garden management aspect where square pond and pavilions, flowering trees are harmonized around side pavilion and backyard. Also,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 not biased to aesthetics and ideological moral philosophy an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unctionality (shielding and fire prevention, microclimate control, etc.) and environmental soundness etc. is working. 조선후기 문신 한필교(1807~1878년)가 관직을 역임했던 읍치를 대상으로 제작한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 화첩의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 읍치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실증사료로서의 가치추적, 공간구조 등의 전형성 정립, 관아조경 및 문화경관 특성 도출 등을 시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풍수형국도' 성격을 겸하며 사방전도묘법으로 그려진 "숙천제아도"의 읍치도는 조선시대 지방고을의 터잡기와 공간구조는 물론 환경설계원칙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고을 치소(邑治)는 남북 중심축선에 위계를 설정한 배산임수 체계이며,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관아시설, 그리고 3단1묘의 제례처 등 도성에 준한 토지이용과 배치규범을 적용하고 있다. 교통요충지에 자리한 고을 치소는 어귀 장터마당을 결절점으로 안길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면 관아 문루에 다다르는 노단경이 형성되고, 고갯길 또는 물길을 따라 외부 바깥길로 이어지는 체계를 갖는다. 즉, 동선체계는 바깥길-고갯길-어귀길-장터마당-안길-또는 샛길로 수용력과 위계에 따라 분절되며 3거리 길로 접합되는 양상이다. 지방관아의 토지이용은 3조(三朝)의 개념(외조, 치조, 연조)을 반영한 위계적 구성인데, 동헌의 후원과 객사의 별원을 포함하여 3문3조2원(三門三朝二園)의 공간체계를 보여준다. 고을의 뒷동산 소나무 숲, 명당수인 남천, 안산(案山)에 해당하는 조산(造山), 비보숲 읍수(邑藪) 등 풍수적 경관짜임이 작용되었는데, 겨울철 북서풍 차단과 여름철 상승기류 형성 등 에너지 보존, 색체 항상성, 자연재해 방지와 심리적 안정성 등 쾌적성 조건에 부합되는 환경지속성이 추출된다. 한적한 곳에 자리한 향교는 별도의 원림을 가꾸지 않았으며, 누정은 심신수양, 안분지족, 자연회귀 같은 상징적 가치, 정치적 행사와 윤리관 반영, 유흥상경 등 문화경관 양상이 다양하게 표출되는데, 객사에는 기와를 얹은 와정(瓦亭)이, 동헌과 내아에는 네모꼴 연못을 두고 소박한 모정(茅亭)이 도입되는 차별성을 보여준다. 관아에 지표경관으로 문루가 자리하고, 군사훈련 및 심신수양을 겸한 사정(射亭)이 필수시설로 도입되었다. 아사의 앞뜰은 네모꼴 마당(庭)으로 조경처리를 하지 않은 반면, 정청의 뒤뜰(後園)과 객사의 별원(別園) 등은 장식적으로 가꾸었다. 이러한 관아조경은 공간 성격 및 위계를 반영하되 기능적 지속성(차폐와 방화, 미기후조절 등)과 심리적 건전성, 상징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경관미학이라 하겠다. 한편, 소나무, 느티나무, 배나무, 버드나무, 향나무(또는 노송), 연(蓮), 화목(花木) 등이 조경식물로 활용되었는데, 환경심리적 가치가 부가된 배후숲, 조산숲과 비보숲 등과 함께 건전한 문화경관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조선시대 읍치의 공간구조 및 환경설계 원칙이 제도적 틀 안에서 정형성으로 작용되고 있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KCI등재

        조선 후기 상류주택 사의당(四宜堂)의 공간체계와 조경문화

        신상섭 ( Sang Sup Shi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2

        홍경모(1774~1851)가 기술한 ``사의당지``를 원전으로 조선시대 후기 경화세족의 저택 ``사의당``의 입지와 공간구성체계 및 조경문화를 추적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의당은 정명공주(선조의 딸)가 홍주원과 혼인한 후 인조에게 하사받은 대지면적 530여칸 규모(약 1,750m2)의 저택으로 목멱산, 도봉산, 그리고 인왕산과 장원봉이 풍수적 사신사 구조를 이룬 생룡형(生龍形) 길처에 자리했다. 한양 남부방 목멱산 아래 북동향으로 자리하였는데, 동쪽에 본채(정당) 영역을 설정하여 안뜰과 후정을 가꾸었고, 서쪽에 별당 영역(사의당)을 설정하여 원림을 조성했으며, 바깥마당은 채원을 일구어 버드나무가 줄지어 심어진 큰길과 연결되었다. 사의당을 심원(沁園: 공주의 원림)으로 비유하였고, 남쪽으로 화원과 화계가 어우러진 원림을 화목 등으로 불로장생을 염원하거나 신선경의 세계를 상징화 하는 등 정신세계의 풍요를 추구했다. 식재 수종은 38종이 도입되었는데, 직접 나무를 땅에 심는 지종(地種)과 화분에 가꾼 분종(盆種)으로 구분하였고, 1점식, 2점식, 3점식, 4점식, 5점식, 8점식, 9점식 등 다양한 식재가 이루어졌다. 조경시설 요소로 태호석, 괴석, 석대(石臺), 석주(石柱), 옥대(玉臺), 석구(일영대), 담장과 울타리, 석계(石階), 돌, 누(樓) 등이 도입되었다. 한편, 왕희지의 난정수계서, 소식의 취옹정기, 조맹부의 적벽부, 안평대군의 비해당첩 등 조경문화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진귀한 명품을 소장하며 즐겼다. By studying ``Sauidangzi`` written by Honggyungmo(1774~1851), this paper shows on the locati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the landscape culture of ``Sauidang`` which was upper class`s house in late period of the Joseon. Sauidang was the residence of about 530 kan(about 1,750m2) which was given to Jeongmyunggongju(daughter of Sunzo) by Injo when she married with Hongjuwon, located at the good place where Mt. Mokmyuk, Mt. Dobong, Mt. Inwang, and Janwon peak are harmonized all together. The residence was on the foothill of Mt. Mokmyuk, facing to the northeast. The main house was facing to the east with the inner and back yards, and the separate house(Sauidang) was facing to the west with the garden, and a vegetable field was set in the outer yard where is connected with a main road where willow trees were lined up, ``Sauidang`` was called as "the garden of princess", and a stair-shaped flower garden was made to the south, and one could look down the Hanyang castle as a whole. In the garden, there were trees and house plants enriching one`s mind to wish an eternal life with oddly shaped stones or flowers, and symbolizing a fairly land. There were 38 types of trees that were planted either on the ground or in pots as various bundles like 1 tree, 2 trees, 3 trees, 4 trees, 5 trees, 8 trees, and 9 trees. Taehosuk, oddly shaped stones, stone panels, stone pillars, jade panels, sundial, walls and fences, stone stairs, steppingstones, and buildings were set for the landscape. Also, the residence had rare luxuries of landscaping culture like Wangheeji`s Nanjungsoogyeseo, Sosik`s Cheeongjeongi, Jomangboo`s Jeokbyukboo, and Anpyungdaegoon`s Behaedangcheop.

      • KCI등재
      • KCI등재
      • 전통마을 토지이용과 주택조경에 관한 기초 연구

        신상섭 ( Sang Sup Shin ),노재현 ( Jae Hyun Rho )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 2007 녹지환경학회지 Vol.3 No.2

        The traditional village stands in beautiful climatic environment, and makes inhabitants feel comfortable through the locational structure that is surrounded by natural topography at the back, like a folding screen, and faces spacious filed. In addition, inherent great duty that persuasively accepts natural order is applied to the system of land combined with hinterland, arable land, nature, economy, environment and community. In the village and houses, the locational process, formed by inside, outside, center and outskirt, optimal land and suitable land, and the principle of land use are observed. A home is constituted by a building and a yard organically. The house of close system and the yard of open system are persuasively harmonized with each other, and function as the place of moderate aesthetics. Housing landscape pursued the harmonization with nature, and emphasized metaphysical morality as well as reflected practicality and aestheticality. It was decorated by landscape plants, decorations, pavilions, hydroponic plants, flower beds and others, as well as was added with picture-frame technique, the indirect presentation of semantic landscape and others.

      • KCI등재
      • KCI등재

        무수동 유회당 원림(何去園)의 산수체계와 공간구성

        신상섭 ( Sang Sup Shin ),김현욱 ( Hyun Wuk Kim ),강현민 ( Hyun Min 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3

        대전 무수동에 가꾸어진 유회당 원림(하거원)의 산수체계 및 문화경관 구성요소를 ``유회당집``(18C)에 근거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회당(권이진)은 보문산 남쪽 지맥 무수동에 자신의 이상세계를 반영한 하거원 원림을 경영했다. 즉, 1707년 마을 뒷동산에 선묘를 자리잡은 이후 시묘소(삼근정사) 조성, 1713년 납오지, 1714년 반환원, 그리고 1727년에 외부공간을 확충하여 하거원 원림을 완성했다. 마을의 산수체계는 대둔산-오대산-보문산이 차례로 이어져 주맥을 이루는데, 주산인 보문산의 지맥(응봉)에서 동쪽으로 뻗은 구릉이 청룡이며, 보문산의 서쪽 지맥(천근과 사정)이 백호이고, 남산은 안산이 된다. 한편, 주륜산에서 발원한 서남쪽 내(川)가 외명당수가 되고, 응봉에서 발원한 계류(내명당)가 마을 동쪽을 관류하여 남서쪽으로 출수되는 배산임수 체계를 보여준다. 마을 동쪽으로 펼쳐지는 계류와 자연 암반 등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조성된 초기의 정원(반환원)은 납오지, 활수담, 고수대, 수미폭포, 도경(복숭아나무 오솔길), 오덕대(감나무), 매룡(매화나무), 샘, 배경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반환원을 확장하여 조성된 하거원은 계류와 4개의 연못, 5개의 대(臺)와 3개의 대숲(竹林), 그리고 석가산 축경원 등 수목서 경색(景色)이 어우러진 원림을 구축했다. 의미경관 요소로 ① 부모님 추모를 위한 유회당, ② 가문 화합을 염원한 납오지, ③ 절개를 귀하게 여긴 고수대, ④ 덕과 지혜의 의미를 일깨운 오덕대, ⑤ 고매한 인간됨을 염원한 수미폭포, ⑥ 상서로움을 취한 요천대, ⑦ 은일자의 삶을 대입시킨 수만헌과 기궁재, ⑧ 가문과 학문 발전을 염원한 활수담, ⑨ 선조의 은혜를 일깨운 몽정, ⑩ 은둔자의 모습을 표현한 석가산, (11) 묘역지킴의 기쁨과 은퇴후의 삶을 위한 하거원 등을 들 수 있다. 하거원의 공간구성체계는 ① 유회당 내원(內園: 납오지와 죽천당, 오덕대, 도경과 후정 등), ② 수만헌 별업(유회당 後園: 석연지와 요천대, 수만헌과 배경대, 암석원 등), ③ 석가산(l2봉) 축경원(縮景園, 수만헌 東園: 활수담과 수미폭포, l2봉 가산 등), ④ 마을 뒷동산에 자리잡은 선조들의 묘원(墓園), 그리고 여경암 암자와 산신각(공동체 토속신앙 제례처), 거업재(서당) 등은 유불선(儒彿仙)이 융화된 선경처로서 원근의 계절미를 시원스럽게 부감(俯瞰)할 수 있는 차경원(惜景園)으로 구성된다. This study, based on <Yuhoidangjib 有懷堂集> (edited in 18th century), analysed the landscape system and cultural landscape elements of Yuhoidang(Hageowon 何去園) Garden in Musu-dong, Daejeon, and the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YuHoidang(Gwon Yijin 權以鎭) managed Hageowon Garden in Musu-dong, located on the southern branch of Mt. Bomun, to realize his utopia. The completion of Hageowon Garden was only possible due to his installation of a variety of facilities in family gravesite on the hill behind his house: Shimyoso(Samgeunjeongsa 三近精舍, in 1707), Naboji(納汚池, in 1713), Banhwanwon(in 1714) and expended exterior space(in 1727). With regard to the landscape system of the village, the main range of mountains consists of Mt. Daedun, Mt. Odae and Mt. Bomun. The main high mountain of the three is Mt. Bomun, where ``Blue Dragon`` hill branches off on the east side(Eungbong), ``White Tiger`` in the west(Cheongeun and Sajeong) and Ansan(inner mountain) in the south. The landscape system is featured by ``mountains in back and rivers in front``. The river in the south-west, with its source in Mt. Juryun is called as the ``Stream of outer perfect spot``, while the ``Stream of inner perfect spot`` rises from Eungbong, passing through the east part of the village into the south-western direction. Banhwanwon Garden(盤桓園) was created with the stream in the east and natural bedrocks, and its landscape elements includes Naboji, Hwalsudam, Gosudae, Sumi Waterfall, Dogyeong(path of peach trees), Odeeokdae(platform with persimmon trees), Maeryong(Japanese apricot tree), springs and observatories. An expanded version of Banhwanwon was Hageowon garden, where a series of ``water-trees-stone`` including streams, four ponds, five observation platforms, three bamboo forests and Chukgyeongwon(縮景園) of an artificial hill gives the origin forest a scenic atmosphere. When it comes to semantics landscape elements, there are ① Yuhoidang to cherish the memory of a deceased parents, ② Naboji for family unification, ③ Gosudae to keep fidelity, ④ Odeokdae to collect virtue and wisdom, ⑤ Sumi Waterfall to aspire to be a man of noble character, ⑥ Yocheondae for auspicious life, ⑦ Sumanheon and Gigungjae to be in pursuit of hermitic life, ⑧ Hwalsudam for development of family and study, ⑨ Mongjeong to repay favor of ancestors, ⑩ Seokgasan, a symbol of secluded life, ⑪ Hageowon to enjoy guarding graves in retired life. The spatial composition of Hageowon was realized through ① Yuhoidang`s inside gardens(Naboji, Jucheondang, Odeokdae, Dogyeong, Back yard garden and others) ② Swnanheon(收漫軒) Byeolup or Yuhoidang`s back yard gardens (Seokyeonji, Yocheondae, Sumanheon, Baegyeongdae, Amseokwon and others) ③ Chukgyeongwon of the artificial hill(which is also the east garden of Sumanheon, being composed of Hwalsuthm, Sumi Waterfall and Gasan or 12 mountaintops) ④ the scenic spots for unify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re Cemetry garden hi the back hill of the village, the temple of Yeogyeongam, Sansinkilk (ancestral ritua1 Place of folk religion) and Geoeopjae (family school). On top of that, Chameongwon Garden(借景園) commands a panoramic distant view of nature`s changing beauty through the seasons.

      • KCI등재

        안평대군 비해당(匪懈堂) 원림의 의미경관과 조경문화

        신상섭 ( Sang Sup Shin ),노재현 ( Jae Hyun R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9 No.1

        안평대군(1416~1453)의 비해당 원림을 대상으로 집현전 학사들이 차운한 연작시 ``비해당사십팔영``의 경관 어휘소를 분석하여 조선 전기 사대부정원에 담긴 의미경관 및 정원문화를 해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평대군이 인왕산 기슭에 비해당 원림을 가꾸면서 제영한 ``사십팔영``의 소표제는 동식물의 태생과 형태,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의미와 상징성 등을 음양의 접합과 같이 대비적으로 연작하는 규범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경물 중 38개는 식물소재를, 8개는 점경물과 동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둘째, 정원 명칭을 원림(園林), 정제(庭除), 임천(林泉), 화원(花園) 등으로, 뜰의 밀도와 위치에 따라 공정(空庭)과 만원(滿園), 중정(中庭)과 후원(後園), 원락(院落: 안뜰)과 별원(別院) 등으로 세분하여 표현하고 있다. 한편, 누정과 수경시설은 물론 디딤돌과 계단, 그늘시렁, 평상, 화분, 석가산, 괴석, 우물, 籠(새장), 꽃밭(塢), 생울타리 등이 작정 소재로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으며, 뜰 관리자를 사화(司花), 정원수 심기와 가꾸기를 재배(栽培), 연못 속 섬을 부구(浮丘), 축소 경관을 조성하는 축지(縮地) 등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셋째, 바깥뜰에는 버드나무를 심었고, 서재 앞에 매화를 심어 대나무숲길로 이어지게 했으며, 화원을 만들어 작약, 동백, 모란, 배롱나무 등을 심었다. 점경물로는 이끼 낀 괴석, 작은 석가산, 유리석과 화분을 두었고, 장방형 연못을 조성했으며, 뜰에는 사슴, 꽃 비둘기, 금계, 학 등을 사육했다. 넷째, 경물을 상징화 하여 ① 군자와 절개, ② 부귀영화, ③ 신선 풍류, ④ 은일과 은둔, ⑤ 기타 효행과 덕, 성찰 등 의미경관을 취했다. 즉, 기화이초와 진금기수가 어우러진 원림을 조성하여 격물치지의 교훈, 은일과 은둔문화의 대입, 불로장생과 무릉도원을 염원하는 선경처의 구축 성향 등 의미경관 요소가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다섯째, 경관을 취하는 기법으로 앙경(仰景)과 부경(俯景) 그리고 저경(低景), 외부경관의 차경, 꽃을 그윽하게 바라보며 의미경관을 즐기고(幽景), 꽃구경의 흥취를 돋우며 노닐 수 있는 요정(遼庭), 꽃가꾸기 취미인 화색향벽(花色香僻) 등이 발견되고, 사계절과 시간에 따라 감흥을 달리하며 즐기는 시어가 추출된다. In this study, the series-poem, Bihaedangsasippalyoung(48 poems for beautiful scene of Bihaedang), written by scholars of Jiphyonjeon for Bihaedang garden of Anpyung-Daegun(Prince Anpyung, 1416~1453), was analyzed focusing on scenery lexeme to interpret the meaning of scenery and gardening culture of Sadaebu(noblemen) during the first term of Chosun Dynasty.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ings. First, the subtitle of Sasippalyoung(48 poems) written by Anpyung-Daegun while he grew Bihaedang garden on the foot of Inwang Mountain showed repetitive nomativity comparing joining of yin and yang, such as life and form of animal and plan, time and space, meaning and symbolism, etc. Among scenery lexemes, 38 are represented plant and flowers, and 8 are represented gardening ornaments and animals. Second, the names of gardens were expressed as Wonrim, Jongje, Imchon(Trees and Ponds), or Hwawon(Flower garden), or also presented as Gongjeong(Empty garden), Manwon(Full garden), Jungjeong(Middle garden), Huwon(Backyard), Wonrak(Inner court), or Byulwon(Seperated garden) depending on density and location. In addition, there were pavilions and ponds, stepping stones and stairs, a pergola, a flat bench, flowerpots, an artificial hill, oddly shaped stones, wells, aviary, flower beds, or hedges. A gardener was called Sahwa(flower keeper), planting and gardening of garden trees were called Jaebae(cultivation), a pond island was called Boogoo(f1oating hill), and miniature landscapes were called Chukjee(reduced land). Third, willows were planted on the outdoor yard, and plum trees were planted in front of the library, which led to bamboo woods road. Peony, camellia, tree peony and crepe myrtle were planted on the inner court with mossy rocks, small artificial hills, glass rocks, flower pots. There were rectangular ponds, while breeding deer, dove, rooster, and cranes. Fourth, landscape elements were enjoyed as metaphysical symbolic landscape by anthropomorphism, such as ① gentlemen and loyalty, ② wealth and prosperity, ③ Taoist hermit and poetical life, ④ reclusion and seclusion, ⑤ filial piety, virtue, introspection, etc. In other words, the garden presented a variety of gardening culture appreciating meaningful landscape, such as investigation of things, reclusion and seclusion, and building orientation of a fairyland yearning eternal youth and Mureungdowon(Taoist Arcadia) by making a garden blending beautiful flowers and trees, with precious birds and animals. Fifth, there were many landscape appreciation schemes, such as Angkyung(1ooking-up), Bukyung(1ooking-down), Jeokyung(1ooking-under), Chakyung(bringing outer space into inside), Yookyung(flower viewing), Yojeong(walking around the garden enjoying flowers), Hwasaekhyangbyuk(flower gardening), and Garden appreciation enjoying landscape through time and seasons with different inspi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