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률 오개념의 극복을 위한 시뮬레이션의 활용

        신보미,이경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1 No.1

        Several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simulation could be a main didactic instrument in overcoming probability misconception. However, they have not described enough how to reorganize probability knowledge as knowledge to be taught in a curriculum using s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actical knowledge needed in developing a didactic transposition method of probability knowledge using simulation. According to a probability misconception situation, this study conducted a teaching experiment to analyse the learning process, misconception overcoming strategies. This study summed up educational intention, which was designed to transform probability knowledge into didactic according to the introductory purposes of simulation, into curriculum, lesson plans, and experimental teaching materials to present didactic ideas for new probability education programs i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curriculum.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면 확률 오개념이 극복된다는 연구가 국외에서 상당수 수행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유사한 성격의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외 관련 연구에서도 시뮬레이션 도입을 통해 확률 오개념의 극복이 가능한가 여부를 고립된 확률 과제 일부에만 초점을 두어 확인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도입에 기초하여 확률을 지도하는 전략을 전반적인 교수학적 상황으로 재구성하여 실험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확률 오개념의 극복을 목적으로 시뮬레이션을 도입한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이를 구체적인 교수학적 상황으로 재구성한 신보미, 이경화(2008)의 연구 결과를 직접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특히, 이러한 교수학적 상황에서 학생들이 드러내는 특징을 ‘내용 탐구 요소 학습 과정’과 ‘오개념 극복 전략’으로 범주화하여 논의한 후 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이누이트 전통문화의 변화 -케임브리지 베이를 사례로-

        신보미,임수정,이승호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20 기후연구 Vol.15 No.3

        This study is about the change of Inuit traditional culture. Inuit has their specific culture due to the Arctic’s harsh environment. But recently, because of the climate change and newcomers, traditional culture has changed. Hunting, the base of Inuit’s traditional culture decreased and was getting hard. And shelter and transportation for hunting has been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hunting, food and adoption culture also changed. Inuit is in a situation to consume junk food and processed food instead of fresh food. Those food induce many problems to Inuit including health. And Inuit trade the food, not share. It means the community spirit weakened. Reduction of the importance of IQ (Inuit Qaujimajatuqangit) and the role of the senior also contributes to the weakening of community spirit. Inuit adopt non-Inuit child and adopt the child according to the law. It makes Inuit difficult to adopt child. As a result, climate change and newcomers makes today’s Inuit culture. Therefore, we have to know climate change and newcomer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Arctic and residents.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HCK 분석 :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신보미 한국학교수학회 2020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3 No.1

        여러 국외 연구는 SMK의 주요 특징을 HCK와 관련하여 설명하면서 수학 교사 교육의 핵심 목표 중 하나로 HCK의 개발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국내에는 SMK의 하위 요소로서 HCK의 구체적인 의미 를 살피거나 우리나라 교사들이 지닌 HCK의 특징을 본격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다. 이에 이 연 구는 Ball & Bass(2009)의 관점에서 HCK를 다룬 국외 연구를 검토하여 대학 수학을 통해 개발될 필 요가 있는 HCK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대학 수학의 목표가 AMT 개발에 있음을 강조 한 Zazkis & Leikin(2010)에 따라 AMT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HCK 개발의 기반이 되는 AMT 의 핵심 특징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HCK를 역함수 기호에 대한 이해에 주목하여 분석하기 위한 지필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예비교사 57명에게 적용하여 얻은 답변 자료를 검사 도구 개발 의도 및 함수 개념 수준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역함수 및 역함수 기호와 관 련하여 예비교사들이 지닌 HCK의 특징을 4가지로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특징이 지닌 시사점을 수학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HCK 개발의 측면에서 기술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rospective teachers' Horizon Content Knowledge(HCK) related to understandings of an inverse function symbol. This study aimed to deduce implications of developing HCK in terms of the means which would enhance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identified features of HCK by examining the previous literature on HCK, which has conformed Ball & Bass(2009) and exploring the research in AMT, including Zazkis & Leikin(2010) which has emphasized cultivating AMT through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In additio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regarding the features of HCK and taken by 57 prospective teachers. By analyz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written responses the participants presented, this study delineate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HCK with regard to an inverse function symbol. Additionally, several issues in the teacher education for improving HCK were discussed, a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inspire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teacher education program relevant to HCK.

      • KCI등재

        구분구적법과 정적분의 개념 분석

        신보미 한국학교수학회 2008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1 No.3

        구분구적법에 대한 이해는 리만합의 극한으로 정의되는 정적분에 대한 이해의 기초가 된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구분구적법과 리만합의 극한으로서 정적분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에 여러 가지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구분구적법의 개념 지도에 있어 크게 두 가지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만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각각 기술하였다. 나아가 미국, 영국, 일본 교과서에 비추어 우리나라 교과서에서만 고유하게 다루어지는 정적분과 무한급수의 관계가 리만합의 극한이라는 정적분의 개념 지도에 있어 필수적인 내용 요소인지를 반성적으로 검토하였다.

      • KCI등재

        Synthesis of pH-Responsive and Adhesive Super-Absorbent Hydrogel through Bulk Polymerization

        신보미,김지흥,정동준 한국고분자학회 2013 Macromolecular Research Vol.21 No.5

        Sodium acrylate (AANa) and 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were synthesized by bulk polymerization technique to achieve a pH-responsive, super-absorbent hydrogel (SHG) copolymer. The synthesized copolymer was confirmed by FTIR spectroscopy. The pH responsive behavior of the SHG with different monomer ratios of HEMA and AA was investigated, and the SHG showed significant swelling properties at pH 7. The hydrogels were evaluated for the influences of crosslinking agent content, changes in the surface/cross-sectional morpholog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rosslinking, the water-absorbing properties of swellable SHG, and the adhesion properties to other polymer surfaces. The SHG hydrogel also exhibited good biocompatibility, low cytotoxicity, and high cell viability. The synthesized SHG hydrogel could be used for wound dressing materials in clinical applications requiring high absorption capacity when body fluids are heavily secreted from a wound site. Poly(AA-co-HEMA) hydrogels (SHG) may also have potential uses in biomedical applications such as wound healing and tissue engineering.

      • KCI등재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을 위한 유리수의 재해석에 대하여

        신보미 한국학교수학회 2008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1 No.2

        제 7 차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무리수를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로 도입하기 위해 유리수를 소수와 관련하여 재해석하도록 하도 있다. 여러 선행연구는 중학교 과정에서 유리수와 소수의 관계를 살핌에 있어 실제 나누어 보는 전략이 주요한 교수학적 도구가 됨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나눗셈 알고리즘을 통한 산술적 조작 활동의 관점에 비추어 정수와 유한소수를 9 또는 0이 순환하는 소수로 다루는 접근 방안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무리수를 무한소수로 도입하는데 '무리수=비순환소수', '유리수=순환소수'와 같은 대응이 필수적인가에 대해서도 음미해보았다. 나아가 무리수 도입을 위한 대안적인 방안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정적분 개념 이해

        신보미 대한수학교육학회 2009 학교수학 Vol.11 No.1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a survey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definite integral. The purposes of this survey were to identify high school students' private concept definitiones and concept images on definite integral. Definitions and images, as well as the relation between them of the definite integral concept, were examined in 108 high school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xplore the cognitive schemes for the definite integral concept that evoked by the students. The students' individual answers were collected through written environment. Four types of the private concept definitiones and concept images were identified in the analysis.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적분 개념의 이해와 관련되는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와 국내외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정적분의 개념 정의를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지필형 검사지를 개발하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다음 그 결과를 선행연구와 교과서 분석 결과에 비추어 기술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생들은 리만합의 극한이라는 정적분의 정의에 대한 최소 아이디어조차도 거의 기억해내지 못하였다. 또한 적지 않은 학생들이 정적분 개념이 넓이와 부정적분보다 무한급수와 관련된다고 생각하였다. 리만합의 극한으로 정적분을 정의하는 방식과 정적분을 무한급수와 관련시키는 맥락에 대한 반성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

        그래프의 경로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분석

        신보미 한국학교수학회 2010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3 No.2

        이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Ⅰ에서 다루어지는 그래프의 지도 목표가 7차 교육과정의 이산수학에서 그래프의 지도 목표와 같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Ⅰ에서 그래프와 행렬 단원의 내용 요소인 경로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Ⅰ에서 경로는 trail로 정의되지만 교과서에 따라서는 이를 path로 해석한 경우가 있으며 학생들 역시 경로를 trail보다는 path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trail로서 경로의 정의는 오일러 회로와 해밀턴 회로를 다루는 체계에서 보다 의미를 가지며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Ⅰ에서는 trail로서 경로의 가치를 찾는 것이 쉽지 않다.

      • 사지 마비 환자에서 경비위관 잔류물에 의한 위식도 궤양

        신보미,배하석,윤태식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10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3 No.2

        Background:Post stroke dysphagia is a common disorder presented in 30-65% of stroke patients. It can result in severe complication such as aspiration pneumonia. Thus nutritional support with nasogastric(NG) feeding tube is needed in these patients. But this method is not recommended more than 4 weeks. In the patients with severe dysphagia, the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PEG) is recommended in respective with the complication and prognosis. Case Presentation:We experienced a case of 46 year-old-male with esophagogastric ulcer because of remnant NG feeding tube on stomach. He had not a special past history until admission. He was bedridden and quadriplegic state due to spontaneous intracranial hemorrhage on both fronto-parietal lobe and subdural hemorrhage. NG feeding tube(polyvinyl chloride, 16 French) was inserted because of severe dysphagia and the clinicians attempted the PEG tube insertion but removed the PEG tube due to the sepsis with wound infection and reinserted NG feeding tube. After transfer into our hospital, a sudden blood clot from NG feeding tube was drained. We performed gastrofibroscopic examination and found NG feeding tube remnant (23cm) on stomach. It was removed and multiple esophagogastric linear ulcer with hemorrhage due to exposed vessel was observed. He obtained nutrition by total parenteral nutrition for 4 weeks after that. On follow up gastrofibroscopic examination, esophagogastric ulcers were being healing. So we tried PEG tube insertion again but failed because of granulation tissue on previous PEG tube insertion site and inserted NG feeding tube. After 3 months, he was inserted PEG tube and being supported sufficient nutrition. Conclusion:Many complica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prolonged NG feeding tube insertion. So recent studies showed alternative method in case of prolonged dysphagia. We report a case with esophagogastric ulcer associated with remnant NG feeding tube on stomach.

      • KCI등재

        예비 교사들의 맥락 문제 해결 과정 분석

        신보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2 수학교육학연구 Vol.22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ontext problems by prospective teachers are solved.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ual nature of context based on previous studies. I developed context problems about linear programming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bout the natural characterization of context. These problems were given to 44 prospective teachers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the written solutions by the participants. This study also developed the framework descriptors for this analysis in the light of the Mathematics Scoring Rubric from Illinois Department of Education(2005). The data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in terms of this framework and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by the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a result. 이 연구는 예비 교사들의 맥락 문제 해결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맥락 문제에 대한 우리나라 교사들의 교과 내용 지식과 관련된 특징을 살피려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문헌 검토를 통해 맥락의 의미를 살피고 맥락 문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맥락 문제의 조건에 비추어 선형 계획법을 배경 지식으로 하는 검사 문제를 개발하였으며 검사 결과 분석을 위한 주요 관점을 Illinois Department of Education(2005)의 평가 틀에 기초하여 ‘수학적 지식’, ‘전략적 지식’, ‘설명 능력’의 범주로 구체화하였다. 이렇게 구체화한 분석 관점과 평가 틀을 활용하여 각 예비 교사의 반응 결과에 점수를 부여한 다음 예비 교사들의 맥락 문제 해결 과정에서 드러나는 전반적인 경향을 살피고, 각각의 경향이 갖는 시사점을 검사 문제 개발 의도 및 선행 연구 결과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예비 교사들의 맥락 문제 해결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을 4가지로 요약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