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차세대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항공영상 활용 평균 차간 간격 산출

        신민성,배상훈 한국교통연구원 2010 交通硏究 Vol.17 No.2

        본 논문은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들의 간격을 교통정보로서 활용하기 위하여 항공영상을 이용해 차로별 평균 차간거리와 차량대수를 산출하는 시스템의 구축을 목표로 하였다. 평균 차간 간격은 기존의 구간 검지기로 수집하기 어려운 정보로 광범위하고 넓은 지역의 관측이 용이한 항공영상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항공영상은 검지기가 설치되지 않은 지점뿐 아니라 접근이 어려운 지역까지 관측이 가능하며 정사보정된 영상으로서 정확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원영상을 변환하기 위해 영상처리기법 중 에지 추출, 이진화, 모폴로지(Morphology) 기법을 활용했으며, 변환한 영상으로부터 차량대수와 차간거리를 산출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상행선 2차로, 하행선 2차로 등 총 4차로에 대하여 각각 결과를 나타내었고, 영상처리 기법별로 산출된 추정치와 실측치의 오차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기하하적 처리인 모폴로지 기법을 이용한 산출방법이 가장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차량대수와 차간 간격을 기반으로 밀도를 산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혼잡구간에 대한 교통정보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차간 간격은 기존의 통행속도, 통행시간 등의 정보와 달리 운전자가 직접 느낄 수 있는 시각적인 정보로서 차세대 교통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study, vehicle gap distance and the number of vehicles are calculated from aerial photography of the road. It is able to make good use of traffic information. In the wide area, the existing traffic detector can’t collect vehicle gap distance information, so we used the aerial photography. It can detect the road in the wide area and inaccessible area. We can calculate the vehicle gap distance accurately because the aerial photography was revised perspective distortion already. To convert the image, we carry out an image processing. First stage is edge detecting to get the shape of vehicle on the road. Second stage is binomial image processing to get the accurate shape of vehicle and classify the vehicles and road. Final stage is morphology processing to get the complete shape vehicle and calculate the vehicle gap distance. We set the 4 lane as two up lane and two down lane. Each results of experiments is compared with real vehicle gap distance. Consequently, the morphology processing was the most accurate. All courses of study are constructed as a system. The study will be used a future active traffic information. Also traffic density is calculated from vehicle gap distance, so it can relieve traffic congestion.

      • KCI등재

        화물자동차 운행기록계 데이터를 활용한 통행정보 추출 방법론 개발

        신민성,성홍모,김규승,공민선,이준혁,배상훈 한국교통연구원 2023 交通硏究 Vol.30 No.4

        최근 운행기록계 데이터 기반의 화물자동차 통행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 도로 환경 및 운행특성을 고려한 방법론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초 단위로 정보가 수집되는 DTG 데이터의 속도정보와 GPS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국내 화물자동차 운행특성에 기반한 통행을 정의하고, 최소 이동시간 및 체류시간, POI 정보를 이용해 데이터 상에서 통행정보를 추출하는 휴리스틱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통행정보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위치정보, 출발시간과 도착시간, 체류시간, 통행목적 정보를 포함한 시공간 정보로 정의하였다. 분석된 통행정보는 경로 유효율이 90.6%로 공간적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통행 목적구분 결과 업무통행이 약 80%, 퇴근통행은 20%로 나타났다. 퇴근통행의 도착지는 차종별로 67.5%~ 83.9%의 일치율을 보여주어 고정차고지를 이용하는 화물자동차의 특성이 반영된 통행정보 추출 결과를 보여주었다. 통행정보를 기반으로 화물자동차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통행지표인 “운행일수”, “운행거리”, “운행시간”, “운행외 시간”, “총 근로시간”, “평균운행속도”를 도출하여 설문조사 결과와 비교·검증한 결과 컨테이너 차량 및 대형 카고차량은 편차가 10%대로 낮게 나타나 유효성이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해당 결과는 다양한 화물자동차 관련 연구 및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studies on extracting truck movement information based on tachometer data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re is no methodology that considers the domestic road environment and driving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define travel based on domestic freight vehicle operation characteristics using speed information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from DTG data where information is collected every second, and use minimum travel time, residence time, and POI information to extract travel information from the data. A heuristic methodology for extraction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ravel information was defined as spatiotemporal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departure and arrival points, departure time and arrival time, destination dwell time and travel purpose information. The analyzed travel information secured spatial reliability with a route effectiveness rate of 90.6%, and as a result of travel purpose classification, work travel was found to be about 80% and work travel was 20%. The destination of work trips showed a matching rate of 67.5% to 83.9% by vehicle type, showing trip extraction result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freight vehicles that use fixed garages.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traffic indicators such as “operation days”, “operation distance”, “operation time”, “non-operation time”, “total working hours”, and “average operation speed” that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reight vehicles are derive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verifying the survey results, the deviation for container vehicles and large cargo vehicles was as low as 10%, showing highly effective result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freight vehicle-related research and polic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내 물류산업 디지털 기술과 스마트화 수준 진단 연구

        신민성,장소영,민연주 한국교통연구원 2022 交通硏究 Vol.29 No.1

        In order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by proposing a ‘transition to the digital economy’ through the ‘Korean New Deal’ policy, the government is promoting a major transformation into a smart logistics system through digitaliz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which has been selected as a promising non-contact service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digital technology of the domestic logistics industry and the digital capabilities of logistics companies from various angles, diagnoses the current level and problems to achieve digitaliz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and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for government policy and corporate digitalization. First, the technology level of the domestic logistics industry was evaluated through patent analysis of block chain, big data, Internet of Thing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loud technology, and the level of smartization by logistics industry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 survey on logistics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level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domestic logistics sector is relatively low, and technology investment is biased toward specific technologies (blockchain, Internet of Things). The level of smartization of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was found to be low (2.84 out of a 5-point scale) in the industry as a whole, a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information connection was lower than the level of unmanned and automation. In particular, it is analyzed that the smaller the company, the lower the level of smartization, and it is judged that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smallness centered on manpower are acting as obstacles to smart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vestmen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government's strong smart logistics transition policy, technology development, and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logistics company managers are necessary. 정부에서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통해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을 제시하며 경제위기를 극복하고자, 유망 비대면 서비스 산업으로 선정된 물류산업의 디지털화를 통한 스마트 물류체계로의 대전환을 추진중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물류산업의 디지털 기술력과 물류기업의 디지털 역량 등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물류산업 디지털화 달성을 위한 현재수준과 문제점 등을 진단하고 정부정책 및 기업의 디지털화 추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블록체인,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클라우드 기술의 특허분석을 통해 국내 물류산업의 기술 수준을 평가하고, 물류기업 대상 실태조사를 통해 물류산업 업종별로 스마트화 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물류부문 디지털 기술력은 질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특정기술(블록체인, 사물인터넷)에 편향된 기술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물류기업의 스마트화 수준은 산업 전반적으로 낮은(5점 만점 중 2.84)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무인·자동화 수준에 비해 디지털 전환과 정보연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스마트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인력중심의 산업구조와 영세성이 스마트화 기술개발 및 투자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부의 강력한 스마트 물류 전환 정책 추진과 기술개발, 물류기업 경영자의 인식전환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이동수요 대응형 클라우드 교통시스템 공유차량 대여소 입지선정

        신민성,배상훈 대한교통학회 2012 대한교통학회지 Vol.30 No.2

        Recently, traffic congestion has become serious due to increase of private car usages. Carsharing or other innovativ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were developed to alleviate traffic congestion and carbon emissions. These measures can make the traffic environment more comfortable, and efficient. Cloud Transportation System (CTS) is a recent carsharing model. User can rent an electronic vehicles with various traffic information through the CTS. In this study, a concept, vision and scenarios of CTS are introduced. And, authors analyzed the location of CTS rental stations and estimated CTS demands. Firstly, we analyze the number of the population, employees,students and traffic volume in study areas. Secondly, the frequency and utilization time are examined. Demand for CTS in each traffic zone was estimated. Lastly, the CTS rental station loc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analyzed data of the study areas. Evaluation standard of the determined location includes accessibility and density of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vehicles and that of parking zone at the rental station are estimated. The result suggests that Haewoondae Square parking lot would be assigned 11 vehicles and 14.23 parking spaces and that Dongbac parking lot be assigned 7.9 vehicles and 10.29 parking spaces. Further study requires additional real-time data for CTS to increase accuracy of the demand estimation. And network design would be developed for redistribution of vehicles. 최근 개인차량의 증가로 인해 도로교통의 혼잡은 심화되고 있다. 개인차량의 운행 억제를 위한 여러 방편 중 카쉐어링, 렌트카 등의 시스템이 IT 기술과 접목되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소유를 억제하고 아울러 지속가능한교통환경을 위한 차량공유 시스템에 대한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공유는 도로교통의 혼잡을 줄이고 차량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보다 친환경적인 교통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공유시스템에 대한 개념, 체계도, 운영시나리오 등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차량 공유시스템 운영에 있어 최우선 과제인 차량 대여소입지선정 및 수요를 추정하였다. 연구지역은 부산시 남구, 해운대구, 수영구를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고 인구수, 종사자수, 학생수, OD 통행량 등 주요 교통현황을 분석하고 이용 설문조사를 통해 설정된 존의 수요를 추정하였다. 각존의 발생통행과 도착통행을 고려하고, 이용 빈도 평균사용시간을 분석해 필요 수요를 산정하였다. 대여소 입지선정은 입지후보지를 인구 밀도와 접근성을 통해 평가하고 평가단위를 통일하기위해 평과결과를 정규화 하여 각 후보지를 평가하였다. 평가점수에 따라 선정된 입지후보지의 CTS 존 수요에 따른 차량 대수 및 주차면수를 산정하였다. 산정결과 대표존으로 해운대구 우1동의 3개의 후보지중 해운대광장공영주차장과 동백사거리공영주차장이 선정되었으며 각각의 차량대수와 주차면은 11대와 14.23면, 7.9대와 10.29면으로 추정되었다. 향후연구로 클라우드 교통 구현시 발생된 실데이터의 적용을 통한 정확한 수요추정이 필요하며 선정된 대여소간의 차량 재분배를 위한 효율적인네트워크 설계와 알고리즘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시아 주요국의 퇴직연금 현황과 시사점

        신민성 ( Min Sung Shin ),이동명 ( Dong Myung Lee ) 한국경영공학회 2015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0 No.1

        South Korea has already entered the aging society, estimates that there will be a super-aged society over 60 years old population ratio of 20.8% in 2026. Developed countries and Asian countries has faced a similar problems for the aging society. The population over 60 years old, which was 6% in 1960, have increased by over 10% in 2013. As part of the measures for this problem, South Korea has already been nine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retirement pension plan. But, still retirement pension plan, which the weight of the DB is enlarging and most of the assets is invested in principal-guaranteed products, do not serve as a proper retirement scheme. We can find out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 between South Korea and Major Asian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retirement pension plan system, history, type and operating status. This study will be presented the improvement in retirement pension plan. The finding in this paper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hat introduction of mandatory retirement pension system, Minimum Sum and CPF Life plan in Singapore, establishing well diversified investment culture, changing pension provision age from 55 years old to 60 years old is necessary to consider.

      • KCI등재

        기업의 퇴직연금제도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민성 ( Min Sung Shin ),이동명 ( Dong Myung Lee ),엄기수 ( Kee Soo Eum ),서철승 ( Cheol Seung Seo ) 한국경영공학회 2014 한국경영공학회지 Vol.19 No.1

        Since the introduction of a pension plan on December, 2005, retirement pension plan has positioned as 3 pillars for retirement plan with National Pension Service and individual pension. Recently, retirement pension market has been strengthened the foundation for the growth through implementation of IFRS, the revision of the Employee Retirement Benefit Securities Act and tax reform. Pension sponsor face the problem of selection on Defined Benefit(DB) and Defined Contribution(DC) when introducing retirement pension plan. This report studies impact on retirement pension plan choice through analyzing financial factors of pension plan sponsor adapted retirement pension plan. Multinomial logit model be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n retirement pension plan choice utilizing the financial data of 1,102 plan sponsors ,listed on Korea Stock Exchange and KOSDAQ Stock Exchange, derived by KIS-Library and KIS-Value.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some factors, such as business period, debt ratio, asset total and liquiditi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retirement pension plan type. But, number of employees, cash dividend rate and sales statistically show no effects at all unlike the existing research from this empirical study.

      • 뇌졸중 연하장애 환자의 연하운동 동영상 프로그램이 자가 운동 실시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은지,신민성,최지현,천정미,신진용 대한연하재활학회 2011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3 No.2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연하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연하 자가 운동 동영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자가 운 동 시행 만족으로 인한 연하 관련 삶의 질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S대학교병원에서 연하장애로 진단 받은 뇌졸중 환자 38명에게 주5회,1회에 30분씩,3주 동안 총 15 회의 중재를 시행하였다.자가 운동과 연하 관련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연하 자가 운동 만족도 설문 지와 SWAL-QOL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중재 후 SWAL-QOL총점이 향상되었다.자가 운동 만족도와 SWAL-QOL총점 간 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475,p<0.05). 결론 :연하 자가 운동 동영상 프로그램을 통한 자가 운동 시행 하면서 느낀 만족도가 연하 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동영상 매체와 같은 효과적인 접근법을 통해서 연하 장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 시 킬 수 있는 연하 자가 운동을 교육 및 격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운수업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한 물류산업의 양극화수준 실증분석

        정승주,이지선,신민성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4

        The logistics industry is composed of an absolute majorit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has faced constant conflict among various market participants. The logistics crisis that Korea experienced in 2003 is a typical instance, and such a conflict is considered as the product of the polarization phenomenon in logistics market. Nevertheless, little analysis and research had been devoted so far to the polarization in the logistics industry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polariz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a comprehensive approach assuming that the operation of its industrial ecosystem depends on the level of polarization. The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the twelve disaggregate logistics business units using the micro-level dataset of Statistics Korea’s Transportation Survey. This study analyzed the polarization level of logistics industry in two terms. One is based on deciles distribution ratio, and the other is based on the performance gap between different sized logistics companies in terms of their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olarization of the logistics industry is at a serious level compared to that of other industries. This study concluded with several policy directions: a paradigm shift to adopt a new industrial policy centered on the small- and medium-sized logistics companies, industrial restructuring of trucking business, enhancement of the sustainability of self-employed logistics service providers, etc. 영세 중소사업자가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물류산업은 2003년 물류대란 이래 산업 내 갈등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해주체 간 갈등증가는 전형적인 양극화현상임에도 불구하고 물류산업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양극화분석이 미흡했다. 양극화는 산업생태계의 원활한 작동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물류산업 양극화수준의 종합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은 개별기업단위 데이터인 운수업조사 원자료(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하여 물류업의 세부업종(12개) 단위까지 이루어졌다. 지수(10분위분배율)를 통한 양극화수준 뿐만 아니라 생산성 및 수익성지표(인당 노동생산성, 매출액영업이익률)를 이용하여 대·중·소 물류기업 간 성과격차도 세부업종별 및 대·중·소기업별로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검토와 타 업종과의 비교를 거쳐 물류산업의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임을 확인하였으며, 화물운송업의 우선 개선, 개인사업자의 규모화 및 자생력 제고 등의 정책적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