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도르트문트시의 지역혁신체제 : 첨단산업단지 중소기업 지원기관을 사례로 The Roles of Supporting Institutions of Firms in Dortmund Technology Park

        신동호 한국경제지리학회 200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7 No.3

        독일의 루르 지역은 석탄과 철강 산업의 중심지로 독일이 부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도르트문트시는 루르지역의 한 중심도시로, 1970년대 초까지 급격한 성장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그 후부터 탈산업화 과정을 겪으면서 실업문제와 환경오염 등으로 도시의 사회, 경제적 여건이 열악해지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도로트문트시는 이러한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1985년부터 도르트문트 대학에 창업보육센타와 과학기술연구공원을 조성하는 등,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도르트문트시가 추진한 이러한 경제구조 개편정책을 지역혁신이란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바, 1970년대 이후 일어난 도시경제 구조에 있어서의 전반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과학기술 연구공원에 입주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과 각종 기업지원 혁신주체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고, 또 32개의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도르트문트가 효과적인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긴 하였지만 아직 실리콘밸리나 제3의 이탈리아와 같은 수준의 혁신환경을 조성하는 수준에는 달하지 못하였다고 주장한다. A core industrial city of Germany, Dortmund, has gone through a serious deindustrialization process since 1960s. It lost more than 50,000 jobs from the two major industries of coal mining and iron and steel manufacturing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mid-1970s and the early 1990s. To promote new industries by providing new industrial spaces and technological and managerial assistance, Dortmund created a technology park and competence centers. Some dedicated entrepreneurs and scientists organized business organizations to create innovative milieu from which firms of the technology park. This paper reviews the roles of assisting organizations and their effectiveness to conclude Dortmund successfully established an effective mechanism of regional innovation. The city, however, yet to want to see innovative milieu, to the levels that have been shown by Silicon Valley and the Third Italy.

      • KCI등재

        독일 루르지역의 지역혁신정책 거버넌스 연구: 혁신주체간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신동호 한국경제지리학회 200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9 No.2

        The Ruhr region used to be a large industrial area, working as an engine of economicgrowth of the Germany. However, the region has been suffering from economic and socialproblems originating from de-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70s, various levels of governments have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with policies of regional innovation, e.g., establishing technologyparks, competence centers, and business incubators to promote start-ups, technology transfers, andnetworks between governments, businesses, universiti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and the public.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governance of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of theRuhr area, based on an analytical framework developed by a groups of researchers, i.e.. Bae et al(2006).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roles of governments are important in creating andimplementing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of the Ruhr area; the policies heavily rely on the R&D 1980년대 중반부터 유럽을 중심으로 지역혁신체제란 개념이 지역정책에 도입되기 시작하여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그 체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교육인적자원부, 산업자원부, 과학기술부, 정보통신부 등 정부부처들은 2003년부터 각종 정책의 수립과정에 지역혁신체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1970년대부터 산업구조 조정의 압력을 받으면서 지역혁신정책을 추진해 온 독일 루르지역을 대상으로 지역혁신정책상의 거버넌스 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혁신체제론에 입각한 분석 틀에 기초하여 루르지역의 지역정책과 거버넌스 구조를 조사․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루르지역은 탈 산업화로 인해 발생하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 민간단체 등의 혁신주체들이 상호 협력적으로 지역혁신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비록 정부형태는 다층적인 구조를 갖고 있지만 계층별로 역할이 구분되어 있는 가운데, 종적(정부간), 횡적(지역간) 협력이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남북한 보험산업의 협력방안

        신동호 북한연구학회 1999 北韓硏究學會報 Vol.3 No.2

        최근 남북경협이 활발하게 진전됨에 따라 제반 여건 및 제도가 보완될 경우 남북경협과 관련된 보험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남북한 보험산업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사회주의 동유럽 국가가 경험한 보험시장의 체제전환과 중국 보험시장의 대외개방정책을 살펴볼 때, 선진 외국의 보험경영기술의 전수와 자본유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중국 보험산업의 단계적인 개방화 정책은 북한에 시사하는 점이 크다. 1996년도 북한의 손해보험(조선국제보험회사)시장 보험료 규모는 5억 5천북한원(2억5천US$)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시장규모(1996)는 남한의 약 1.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한 보험산업이 상호 협력할 때, 남북경협이 더욱 더 활발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는 실물경제를 지원하는 보험의 고유 역할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남북한 보험상품의 연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남북한간에 진행되고 있거나 연관되는 보험상품은 경수로건설과 관련된 각종 보험, 남북한주민왕래보험, 그리고 해상보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남북한 보험산업이 협력할 수 있는 3가지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보험산업은 보험정보 및 인적자원을 상호 교류하여 서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야 한다. 둘째, 남북한 합작보험회사를 설립하는 방안이다. 셋째, 외국보험회사의 자본을 유치하여 북한시장에 진출하는 방안이다. 이때 북한도 참여할 수 있다.

      • KCI등재
      • 충남도 임금소득 양극화 실태 및 정책과제

        신동호,강수현 충남연구원 2020 충남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2008~2018년 통계청 지역별 고용조사(RES)를 활용하여 충남도 내 인구특성별 임금격차 기초실태를 분석한다. RES를 이용하여 일반 엔트로피 지수(Generalized Entropy Index)를 계산하여, 충남도내 소득불평등 현황을 살펴보며 분위별 임금격차 및 근로자 비중, 직업별 임금격차 및 근로자 비중을 살펴봄으로써 인구특성별 세분화된 임금격차 실태를 분석하고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월평균 임금기준으로는 임금격차의 심화가 나타났으나, 시간평균 임금 기준으로는 임금격차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저임금의 상승, 파트타임 일자리의 활성화 등 정책적 요인 및 노동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효과로 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월평균 소득 기반의 안정적 고용정책을 필요로 함을 시사한다. 인구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성별·근로형태별·교육 수준별 임금격차는 소득분위에 따라 분위별 격차가 심각하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평균임금이 낮은 직업군 일수록, 여성, 임시·일용직, 고졸이하 근로자들의 비중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책대상의 세분화에 따른 고용지원의 필요성을 요구하며, 고용취약계층의 역량강화 및 노동시장의 이중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지원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uses the Regional Employment Survey (RES) for 2008~2018 to estimate regional wage differentials in Chungnam Province and to calculate the Generalized Entropy Index. The results show income inequality, wage differentials and the proportion of workers by income quintiles and occupation.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s analyzing the status of wage differentials by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presents policy measures. The wage differentials widened on an average monthly wage basis, but they eased on an average hourly wage basis. This can be considered a result of policy measures, such as the rise of minimum wages and the revitalization of part-time jobs, and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Overall, it suggests that a stable employment policy based on monthly income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e wage differentials by gender, type of work, and level of education was substantial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come quintiles. The lower the income level, the lower the average wage for the occupations and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women, temporary daily workers, and under-high school graduates. It suggests that employment support is needed according to the segmentation of policy targets, and that continuous support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capacity of the most vulnerable in relation to employment and to improve the dual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