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에 관한 기반 연구

        신동의 ( Sin¸ Dong Eui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1 선도문화 Vol.31 No.-

        이 글은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방안을 연구한 글이다.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방안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풍류화랑이 나타난 『난랑비서(鸞郞碑序)』 텍스트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기능을 탐색한다. 또한 현묘지도(玄妙之道)의 도의(道義) 교육 지식을 살펴보고 풍류화랑의 교육 지평을 고찰하며, 접화군생(接化群生)의 덕화(德化) 핵심 가치를 인격함양에서 탐색하여 인격교육의 명료화를 꾀하고자 한다. 고운 최치원 저술, 『난랑비서』는 분량 면에서 비록 짧지만, 우리나라에 고유한 풍류도가 있음을 밝혀 준 소중한 자료이다. 일찍이 『난랑비서』에 나타난 풍류도에 관해서는 신채호, 최남선, 김범부 등이 소개한 바 있다. 그런데 『최문창후전집(崔文昌侯全集)』(1925) 「고운선생사적(孤雲先生事蹟)」편에는 「천부경(天符經)」과 「난랑비서」가 나란히 소개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방안을 규명하기 위해서 현묘지도의 도의, 접화군생의 덕화, 그리고 천지인 삼재(天地人三才) 교육의 상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전통적 풍류화랑의 도덕교육 활용방안을 밝히고자 한다. 유(儒)ㆍ불(佛)ㆍ선(仙)에서 충효ㆍ무위ㆍ선행의 실천 덕목을 서로 매개함으로 풍류도가 추구하는 접화군생 덕화의 공공생명 작용이 치화ㆍ조화ㆍ교화 도리의 공공연대 체계라고 할 것이다. 일찍부터 풍류화랑은 명산대천에서 심신을 단련하고 학술과 기예를 함께 연마한 공공 주체로서 삶을 영위하였다. 고운이 풍류가 유ㆍ불ㆍ선 삼교를 포함한다는 표현에서 우리는 심신수련ㆍ심신연마를 통해 국가적으로 리더십을 갖춘 군자로서 교육하고, 천지만물과 조화를 이루는 참사람으로 훈육하며, 반야지혜(般若智慧)로 중생을 교화하는 보살의 길을 닦아 더불어 살아가는 천지인 삼재 묘리 체득의 인격함양으로 도덕교육에 기여함을 모색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how to use the moral education of the Pungryu-hwarang. In order to utilize the moral education of the Pungryu-hwarang, the text of ‘the inscription of a tombstone of Nanrang’ where Pungryu-hwarang appears is structured and explored the moral education function of Pungryu-hwarang. It also examines the educational knowledge of moral education and examines the educational landscape of the Pungryu-hwarang. It also seeks to clarify personality education by exploring the core values of moralization in character development. According to Chi-won Choi’s work, ‘the inscription of a tombstone of Nanrang’ is a valuable material that reveals that Korea has a unique tradition in terms of Korean spirit which is Pungryu-do, although it is short. As for the Pungryu-do which appeared in ‘the inscription of a tombstone of Nanrang’ early, Chae-ho Shin, Nam-seon Choi, Beom-bu Kim, and so on introduced. However, ‘Cheonbu-gyeong’ and ‘the inscription of a tombstone of Nanrang’ are introduced side by side in “Go-woon Teacher’s History’ in the ‘Legendary of Choi Mun-chang’ (1925). In order to find out how to utilize moral education of Pungryu-hwarang, we would like to reveal how to utilize moral education of traditional materials, focusing on the moral principle of the Mysterious Tao, Meeting the pack with enlightenment with virtues, and the human triad education with heaven and earth. By mediating the virtues of sincerity, consideration, justice and transcendence in the spirit of Pungryu-hwarang based on Confucianism, Taoism and Buddhism by way of public virtues, which Pungryu-do pursues, is said to be a system of public solidarity of harmony. From early on, Pungryu-hwarang led a life as a public figure who trained mind and body at high mountain and trained both academic and artistic skills. In the expression of the doctrine and virtue, we seek to contribute to moral education by cultivating the character of humans by way of triad education with heaven and earth, who educates nationwide leadership, disciplines as true people in harmony with heaven and earth.

      • 21세기 ‘직지’ 문화 융성을 위한 통섭 모델과 전략

        신동의(Sin Dong-Eui) 서원대학교 직지문화산업연구소 2016 湖西文化論叢 Vol.25 No.-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21세기 직지문화 융성을 위한 통섭 모델과 전략개발에 초점을 둔다.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다. 문화의 시대는 인간의 존엄성과 자기존중이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직지』는 순수불교와 선사상이라는 불자의 믿음을 강조하는 불경이며, 인류의 기록문화를 혁신적으로 바꾼 유산이다. 새로운 직지 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 논자는 ‘탈영토성’, ‘생성’ 혹은 ‘되기’와 같은 개념들을 제시한 들뢰즈와 가타리의 사고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탈영토성으로서의 직지는 통섭의 개념을 필요로 한다. 직지문화의 콘텐츠 개발을 위한 통섭 모델과 전략으로서, 문화산업에서 기본적인 전략인 ‘OSMU"를 제시한다. 또한, 새로운 직지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는 시, 소설, 연극, 영화 등의 예술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상상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논자는 성공적인 새로운 직지 문화를 창조하기 위해서 한국의 김훈과 같은 작가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힌다. 이러한 맥락에서 청주 시민의 마음속에 형상화될 수 있는 ‘직지-되기’는 문화운동에 있어서 문화적 실천을 통해 ‘질적 도약’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silience model and strategy for the prosperity of 21 century"s Jik-ji culture. The 21 century is the era of culture. The genuine age of the culture aims to realize the value of the human"s dignity and self-respect. Jik-ji is the Buddhist scripture which emphasizes pure Buddhism and Buddhist’s belief, Zen thought. Jik-ji is the biggest legacy which innovatively changes human"s recording culture. In order to create a new Jik-ji culture, the researcher will use the thought of Deleuze and Guattari that presents such peculiar notions as ‘de-territoriality’(d territorialisation), é ‘generation(devenir)’, or ‘becoming’. Here Jik-ji as a de-territoriality needs a concept of consilience. The researcher suggests ‘OSMU’ which is a fundamental strategy in the cultural industry as a consilience model and strategy for contents development of Jik-ji culture. Also, in order to create new Jik-ji culture, it is necessary to have an imaginative power which is needed in the art field such as poetry, novel, play and movie.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hunt a new writer like Kim Hoon to create a successful new Jik-ji culture. In this way ‘Jik-ji-becoming’ which could be embodied in the mind of the citizens in Cheong-ju city will have to meet a ‘qualitative leap’ through the cultural practice in a cultural movement.

      • KCI등재

        도덕과 예술의 창의적 융합 연구

        신동의 ( Dong Eui Sin ),차우규 ( Woo Kyu Cha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7

        본 논문은 도덕과 예술의 창의적 융합, 특히 푸코의 존재미학과 헤테로토피아를 주목적으로 한다. 푸코의 존재미학에서 도덕과 예술의 창의적 융합에 대한 연계성을 찾아볼 것이다. 그의 존재미학의 핵심은 미적 윤리학으로서 예술을 통해 자신을 형성할 수 있는 주체의 윤리적 구성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예술적 인간을 위한 미학적 윤리를 말한다. 여기서 ‘자신’은 자신을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만드는 예술적 주체이다. 본 논문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과 예술, 그리고 고대 동양의 도덕과 예술을 다룬다. 끝으로, 종합예술의 꽃으로 불리는 오페라를 푸코의 이질적 공간에 적용할 것이다. 또한 오페라 <직지(直指)>에 주목하여, 한국 오페라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다. 따라서, 도덕과 예술의 창의적 융합에서 중요한 문제는 창의적 학습을 자기주도적으로 할 수 있는 학교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데서 가능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focused creative convergence of moral and arts, with priority given to Foucault`s aesthetics of existence and Heterotopia. We will present Foucault`s aesthetics of existence as a connecting link of creative convergence in ethics and arts. The reason is as follows. His aesthetics of existence is focused on ethical construction of subject which can form the ``self`` through the arts as a result of aesthetical ethics. It is aesthetical ethics for the artistic human. Here, the ``self`` is an artistic subject which considers and positively constructs him/herself. In this context, this paper deals with Plato and Aristotle`s perspective of moral and arts and ancient oriental moral and arts. Confucius` ``playing with arts`` and Hsun-tzu`s theory of music will especially be discussed positively as a new paradigm of our education. Finally, We will apply opera, which is called the flower of synthetic art, to Foucault`s ``heterotopia``. We will also examine the opera, Jikji, in order to establish a new paradigm for Korean opera. Consequently, the importance in creative convergence of moral and arts is constructing a new paradigm of school education in which students can do creative learning self-autonomously.

      • KCI등재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에 대한 반론 -데니스 노블의 "생명의 음악"을 중심으로

        신동의 ( Dong Eui Si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5

        이 글의 목적은 데니스 노블의 ``생명의 음악``을 중심으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에 대한 반론을 탐구하는 데 있다. 도킨스의 견해는 동물의 행동과 진화를 유전자의 관점에서 해명하려는 ``유전자 중심적 견해``로 압축될 수 있다. 동물 행동과 진화의 관계를 연구하는 그의 입장은 자연선택의 최우선 단위를 유전자로 규정한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타인에게 이타적 행위를 하는 이타성 역시 그 논의의 배후에는 이기적 유전자가 작동한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생각의 밑바탕에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생물학적 특성으로 환원시키고, 인간의 본성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는 ``생물학적 결정론``에서 비롯된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생각은 ``극단적인 환원주의``로 귀결된다. 문제는 과학의 객관성을 추구하는 ``생물학적 결정론``이 정말로 과학의 공정성을 갖추었는가 하는 점이다. 이에 반해, 시스템 생물학의 석학인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데니스 노블은 생명 현상을 유전자가 아닌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한다. 그의 주된 핵심은 유전자를 생명과 동일시하는 생물학적 결정론은 올바른 생물학적 메커니즘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생명은 하나의 과정이며 복잡한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행동의 표현 방식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글은 다음과 같은 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한다. 첫째, 도킨스의 입장이 일관적이지 못함을 보일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도킨스가 주장하는)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 ``밈 유전자``와 ``확장된 표현형``에 대한 문제점과 반론이 논의될 것이다. 둘째, 데니스 노블의 거시적이며 통합적인 시스템 생물학이 미시적 환원주의와 유전자 중심적 이론보다 더 설득력이 있음을 보일 것이다. 달리 말해서, 인간의 감정, 의식, 기억 그리고 인격성 등은 유전자의 속성에 의해 설명될 수 없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본성은 생물학적 특성과 문화적 특성 사이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Counterargument on Dawkins` The Selfish Gene centering around Denis Noble`s The Music of Life. Dawkins` view can be abstracted ``gene centered view`` that is elucidated animal`s behaviour and evolution from a gene`s point of view. His standpoint that studies the relation of animal`s behaviour and evolution stipulates a unit of the highest priority of natural selection as gene. According to his view, alterity that does beneficial behaviour for the other also thinks of selfish gene`s operation behind this argument. Also, at the ground of this idea proceed from ``biological determinism`` that reduce human`s social behaviour to biological characteristic and determinated human`s nature by gene. Ultimately, this thought comes down to ``radical reductionism``. The problem is what ``biological determinism`` which seeks the objectivity of science is qualified really for the fairness of science. Contrarily, Denis Noble that is a great scholar of system biology in British Oxford University argues life`s phenomena looking for holistic and integrate view of point not gene. His main point is that biological determinism is identified gene with life is not correct biological mechanism. According to his view, life is a process and a way of expression of behaviour which consists of complex network. From this context, this paper is focused on following aspects. First, I will show that Dawkins` standpoint is not consistent. In the process, I will be discuss a point in dispute and counterargument on ESS(evolutionally stable strategies), meme gene and extended phenotype. Secondly, I will show that Denis Noble`s macro and integrate system biology is much stringer than micro reductionism and gene-centered theory. In other words, human`s felling, consciousness, memory and personality etc can not be explain mere by a property of gene. Consequently, human`s nature can be understand through ``dialectical interactionism`` between biological character and cultural character.

      • KCI등재

        ‘사고와 표현’의 도덕교육적 함의

        신동의 ( Sin Dong-eui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1 초등도덕교육 Vol.- No.73

        본 논문은 도덕교육에 있어서 ‘사고와 표현’의 함의와 그 중요성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좋은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도덕과 교육’을 중재하는 작업은 주로 언어, 즉 ‘말하기와 쓰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고와 표현’은 도덕교육에 있어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왜냐하면 말과 글은 그 사람의 인성 또는 도덕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이제는 사람이 새로운 시대정신을 요구하는 교육의 패러다임에 중심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대안과 관련해서, 논자는 사랑의 윤리적 담론에 대해 숙고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창조의 차원에서 ‘사고와 표현’을 한다는 것은 기존의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나 생각하기, 글쓰기, 그리고 말하기의 새로운 영역에로 넘어가는 것이다. 이러한 탈영토성은 새로운 의미의 생성과 가치의 창조를 위해 기존의 관습, 그리고 의미와 가치로부터 벗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말의 힘’을 통해 인성과 지혜를 갖춘 시민교육과 더불어 공동체 사회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에토스의 수사학이 강조될 필요성이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about the implications and its importance of ‘Thought and Expression’ in moral education. The ultimate goal in moral education is to pursue the upright personality which can maintain a ‘good life’. The work which arbitrates ‘Morality and Education’ is accomplished by language, namely speaking and writing. In this context, ‘Thought’ and ‘Expression’ are inextricably linked in moral education. The rationale behind this is that words and writing are significant measures to know a person’s personality or morality. From now on, people should be central to the paradigm of education which requires a new zeitgeist. In relation to this alternative, the writer proposes to consider the ethical disclosure of love. In particular, ‘Thinking and Expressing’ in terms of creation is a shift away from conventional stereotypes to new areas of thinking, writing and speaking. This deterritorialization means that it deviates from existing customs, meanings and values for the creation of new meaning and val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rhetoric of Ethos, which aims to become a community society, along with civic education with upright character and wisdom through ‘the Power of Words’.

      • KCI등재

        도덕교육학에서의 도덕적 리더십 연구 - 인륜적 리더십의 정초가능성을 중심으로 -

        신동의 ( Dong-eui Sin ),차우규 ( Woo-kyu Cha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0

        인간에게 있어서 중요한 삶의 조건은 ‘좋은 삶’ 혹은 ‘행복’이다. 본 논문은 그간 도덕교육학에서 논의해 온 ‘도덕적 리더십’ 연구를 재고하는데 논의의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에는 기본적으로 도덕적 리더십에 대한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개념인 공자의 인과 예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과 덕의 개념이 도덕적 리더십과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아울러 이들 사상의 한계가 무엇인지를 규명한다. 현대사회에서 제기되는 차이의 인정과 갈등의 문제들은 사적 영역은 물론 공적 영역에서 충돌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의 현실에서 비롯되는 제반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해소하고 치료할 수 있는 이론의 구축과 방법론의 문제에 직면해서는 도덕적 리더십의 연구가 추상적 담론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좋은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개인과 공동체의 상호 변증법적 조건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독일의 프랑크푸르트학파 제3세대 사회철학자로 평가받는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에 기반을 둔 ‘인륜성’ 개념과 관련해 도덕교육에 있어서 ‘인륜적 리더십’의 정초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의미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For human, the important condition of life is ‘good life’ or ‘happin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reconsider the study ‘moral leadership’ that has been discussed at moral education. Basically, in this sense of discussion,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about moral leadership should be preceded. Therefore, at this paper, any correlation between Confucius's benevolence(仁), the proprieties(禮), Aristotle's happiness, virtue and moral leadership will be investigated about what they are. The problems of difference recognition and conflict arise in modern society are in conflict in the public domain as well as the private domain. In the meantime, in the face of the problem of the build and methodology of the theory that can solve and cure all the problems of all sorts caused by our reality, the study of moral leadership stayed at the level of abstract discourse. Because of, it is necessary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realize the mutual dialectical condition of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to pursue ‘good life’.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want to argue the discussion on the foundation possibility of ‘Humanistic Leadership’ in moral education is meaningful in the relation to the concept of ‘ethical life(Sittlichkeit)’ based on Axel Honneth's ‘recognition theory’ which is evaluated as a third-generation social philosopher of Frankfurt School in Germany.

      • KCI등재

        21세기 음악교육과 오페라 미학의 상관성

        신동의(SIN, Dong-Eui),정의권(CHUNG, Eui-Kw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0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 No.23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21세기 음악교육과 바그너의 오페라 미학에 대한 상관성을 연구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우리는 급격한 변화의 시대, 즉 정보화와 세계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는 이제 인간사회를 지배하던 과거의 모든 패러다임들을 대치하는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다. 즉 경제 중심의 세계관으로부터 문화 중심의 세계관으로 이동이 우리의 삶에서 보일 수 있게 되었다. 두말할 필요도 없이, 창조적 문화의 중심에는 예술이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바그너 오페라 미학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연구하는 작업은 나름대로 그 의의를 가지고 있다. 바그너는 모든 예술 형식들-음악, 시, 무용, 회화, 드라마-을 하나의 위대한 예술작품으로 통합한 “종합예술작품”을 창조한 위대한 예술가이다. 바그너가 선언한 “음악극”은 개별적인 예술들을 통합한 새로운 스타일의 오페라였다. 또한 바그너는 그리스 비극이 모든 예술들을 하나의 목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예술 형식임을 잘 알고 있었다. 특히 그는 그리스 극장의 종교적, 사회적 역할과 고대 그리스 시대의 극과 시에 내용을 제공했던 신화들에 주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점에서 음악연구가들이 바그너의 오페라 미학의 다양한 측면을 학습하는 것은 오늘날에도 유효한 시도라고 볼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21st century Music-Education and Wagner's Opera Aesthetics. We currently live in the age of change, the so-called age of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which has replaced all of the past paradigms of human society, that is to say, the movement from an economy-centered world view to that of a culture-centered world view. It is needless to say that art is influential and considered to be a priority for creative culture. In this respect, it is very useful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Wagner's Opera Aesthetics. Wagner was a remarkable artist who created “Gesamtkunstwerk” that unites all art forms-music, poetry, dance, painting and drama-into one great work of art. In fact, he declared that “Musikdrama" was a new style of opera, being the fusion of the separate arts. Wagner was aware that Greek drama was an art form in which all the arts are combined for a single purpose. In particular, he was interested in the social and religious roles of Greek theater and the myths that had provided the content for ancient Greek poetry and drama. Therefore, it will be an effective trial for music-researchers to study the various aspects of Wagner's Opera Aesthetics.

      • KCI등재

        구성주의 생물학에서 바라본 사랑의 윤리-마뚜라나와 바렐라의 인지생물학을 중심으로

        신동의 ( Dong Eui Sin ) 한국윤리학회 2011 倫理硏究 Vol.8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from a biology of constructivism point of view looking at ``ethics of love`` centering around Maturana and Varela`s cognitive biology. They argue perception and cognition at thing can be explained differently from an observer`s standpoint. According to their view, perception and cognition can be explained as biological phenomena. Constructivism is interested in process of cognition than object of cognition. They invent a concept of ``autopoiesis`` associating the empirical research of neurobiology. This view comes into conflict with Darwin`s thought that evolution consists of natural selection. On the contrary, they argue that evolution consist of natural drift. According to their view, evolution is analogous to wandering artist. Also this thought comes into conflict with Dawkins` standpoint that studies the relation of animal`s behaviour and evolution stipulates a unit of the highest priority of natural selection as gene. Also, at the ground of this idea proceed from ``biological determinism`` that reduce human`s social behaviour to biological characteristic and determinated human`s nature by gene. Ultimately, this thought comes down to ``radical reductionism``. On the basis of this biological point of view, Maturana developed the relation of ethics and love from the standpoint of ``biology of love``. Consequently their view can be regarded as a new intellectual insight showing the compatibility of scientific thought and ethical thought. This change of cognition, ``ethics of love``, needs a change to reflect on our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