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사고 기반 학습 환경에서 인지지원전략과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

        신동민,남창우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the cognitive support strategies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college students’ social pres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employed in 72 students who majored in Pedagogy at university A in Busan, and the experiment for study was concluded for three weeks. The subject groups a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group A and group B), which were provided with cognitive support strateg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respectively, and the pre-test for social presence was implemented. The small experimental groups were formed to conduct design thinking-based learning activities on topics related to education. After the experiment, the post-test for social presence was conducted an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performed. In addition, the academic performance was measured, and the one-way ANOVA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groups A and B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presence, and group B showed higher social presence scores than group A. Second, in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group A showed relative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group B.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exploring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instructors conduce design thinking-based i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기반 학습 환경에서 인지지원전략과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의 사회적 실재감과 학업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 소재 A 대학교의 교육학을 전공하는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약 3주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자는 2개의 실험집단A, B(인지지원전략 제공집단, 정서조절전략 제공집단)로 나누어 사전검사(사회적 실재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소그룹을 구성하여 교육학과 관련된 주제들에 대한 디자인 사고 기반 학습 활동을 진행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사후 사회적 실재감 검사를 실시하여 사회적 실재감에 대한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업성과의 경우 각 소그룹에서 수행하고 있는 활동 주제와 디자인 사고 관련 퀴즈를 측정하였고, 각 집단의 학업성과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실험집단 A, B 모두 사후 사회적 실재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집단 B가 실험집단 A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사회적 실재감 점수를 보였다. 둘째, 학업성과와 관련하여 실험집단 A가 실험집단 B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학업성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디자인 사고 기반 학습을 실시할 시 고려해야 할 교수․학습과정의 교수설계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디자인 사고 기반 학습의 각 단계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노인의 지각된 자기효능감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영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 검증-

        신동민 한국노인복지학회 2012 노인복지연구 Vol.0 No.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service on physical, material, emotional, and spiritual assistances in welfare for seniors, by verifying intrinsic factors that affect ego-integrity of seniors. For this purpos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n spirituality were tested while examining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e of intrinsic resources in aged people, on ego integrity. 100 aged peoples aged 65 years or above visiting OO Senior Welfare Center and 100 aged peoples visiting soup kitchen of OO Welfare Center in j city of Chungbuk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perceived by aged peoples was 3.48, ego-integrity was 3.54, and spirituality was 3.61. Second, demographic factors that commonly influenced perceived self-efficacy, ego-integrity, and spirituality of seniors were family circumstance, health status, and leisure activity. Third,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n spirituality were only found in terms of horizontal dimension(existential spirituality). About the effect of perceived self-efficacy in aged peoples on ego-integrity, horizontal dimension of spirituality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 showed that higher horizontal dimension (existential spirituality) of spirituality helps improve ego-integrity under identical level of self-efficac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reinforce intrinsic resources like self-efficacy and existential spirituality by connecting ego-integrity with extrinsic factors influencing ego-integrity of aged peoples such as leisure activity, since successful form of aging in seniors is to accomplish ego-integration. 본 연구는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요인들을 검증함으로써, 노인복지실천에서 신체적, 물질적 지원과 더불어 정서적, 영적 지원을 포함하는 통합서비스의 필요성을 재고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에 노인의 내적자원 중 하나인 자기효능감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충북 J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100명과 ○○지역복지관의 무료급식소를 이용하는 노인 1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점 척도 기준으로 노인들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은 3.48, 자아통합감은 3.54, 영성은 3.61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지각된 자기효능감과 자아통합감, 영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가정형편, 건강상태, 여가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 검증결과는 영성의 수평적 차원(실존적 영성)에서만 매개 및 조절효과가 발견되었는데, 노인의 지각된 자기효능감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의 수평적 차원은 부분매개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동일한 자기효능감 수준이라도 영성의 수평적 차원(실존적 영성)이 높을수록 자아통합감 향상에 더욱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공적 노화는 자아통합을 이루는 것이므로 노인의 자아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활동 등과 같은 외적요인들과 연계하여 내적 자원인 자기효능감과 실존적 영성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국제정치 시각에서 메가스포츠 대회의 잠재성 검토: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유럽클럽축구대항전 사례를 중심으로

        신동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2

        This article focuses on ‘sports mega-event’ such as the Olympics Gam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relations, given the situation that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has newly called the people’s attention to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global sport events. This article views that sports mega-event can be a research theme of the academics of international relations(IR) in consideration of their common nature as the phenomenon beyond the boundary of a sovereign state. Against this background, arguing that sports mega-events can function as source of power from the perspective of IR academics, this article studies the related cases,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UEFA Champions Leagues. The PyeongChang Olympics demonstrates that sports mega-event exercises ‘platform power.’ The Champions League case shows the potential of the event to form a shared identity among the related people. In the later part,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to exercise the potential of sports mega-event as the sources of power in relations to Nor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implication.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스포츠의 역할과 기능이 재조명 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고는 국제정치 관점에서 올림픽과 같은 메가스포츠 대회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메가스포츠 대회(sports mega-event)를 ‘보편적(universal)’ 공통 규칙을 바탕으로, ‘초국가(transnational)’ 단위 수용자들이 함께 향유하는, 최소 국가성간(international) 이상의 경쟁과 상호작용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스포츠 대회로 지칭하였다. 이렇듯 오늘의 스포츠와 국제정치간에는 국가 주권 영역 이상에서 관련 현상과 상호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점에서 본고는 국제정치시각에서 스포츠 문제를 살펴볼 충분한 유인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한편, 국제정치 고전적 현실주의의 대표적 논자인 모겐소(Hans J. Morgenthau)는 권력을 “인간의 인간에 대한 통제를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한다. 본고는 메가스포츠 대회가 소위 상위 정치(high politics)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권력 원천이 될 수 있다는 관점아래, 평창동계올림픽과 유럽클럽축구대항전 사례를 살펴보았다. 평창동계올림픽 사례를 통해 본고는 메가스포츠 대회가 ‘플랫폼 권력’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기술하였다. 한편, 유럽클럽축구대항전은 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관련 행위자간 공통의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기제로 작동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실천적 차원에서 한반도 문제, 대북한 관계에 있어 스포츠의 권력적 속성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 KCI등재

        Antimicrobial Peptides in Innate Immunity against Mycobacteria

        신동민,조은경 대한면역학회 2011 Immune Network Vol.11 No.5

        Antimicrobial peptides/proteins are ancient and naturallyoccurring antibiotics in innate immune responses in a variety of organisms. Additionally, these peptides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signaling molecules in regulation of both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During mycobacterial infection,antimicrobial peptides including cathelicidin, defensin,and hepcidin hav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mycobacteria,making them promising candidates for future drug development. Additionally, antimicrobial peptides act as immunomodulators in infectious and inflammatory conditions. Multiple crucial functions of cathelicidins in antimycobacterial immune defense have been characterized not only in terms of direct killing of mycobacteria but also as innate immune regulators, i.e., in secretion of cytokines and chemokines,and mediating autophagy activation. Defensin families are also important during mycobacterial infection and contribute to antimycobacterial defense and inhibition of mycobacterial growth both in vitro and in vivo. Hepcidin, although its role in mycobacterial infection has not yet been characterized,exerts antimycobacterial effects in activated macrophages. The present review focuses on recent efforts to elucidate the roles of host defense peptides in innate immunity to mycobac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