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Effects of ARPA/Radar Simulation Training

        신대운,박영수,김대해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3 No.3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who received ARPA/radar simulation training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raining. An effective training metho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as also proposed.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full mission simulation conducted over one semester, and found that training effect increased as time passed. The survey showed improvement in skills related to radar/ARPA utilization, ARPA decoding, ship handling, and overall skill. Students responded practical skills improved more than theoretical knowledge, and also analysis showed that ship handling skills had a larger effect than radar decoding skills on improving overall skill, therefore proposed that theoretical education regarding the functions of radar and ARPA should be reinforced in ARPA/radar simulation training.

      • KCI등재

        지역 간 경제협력 거버넌스 성공요인의 우선순위 분석

        신대운,김병록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지역 간 경제협력 거버넌스 성공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신 대 운**ㆍ김 병 록*** 요약: 본 연구는 지방분권적 균형발전의 배경 속에서 지역 간 경제협력 거버넌스의 성공요인과 그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분석을 통해서 지역 간 경제협력 거버넌스의 성공요인을 4개 대분류(참여성, 리더십, 협력, 사업타당성도출)와 17개 소분류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AHP를 활용하여 각 요인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사업타당성 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특히 자치단체장의 지지와 실천의지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거버넌스 성공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는 전문가집단별로 상이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거버넌스 구축에 정책적 함의를 시사하나 일반화의 문제를 갖고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객관적 통계자료 활용이 필요하다. 핵심어: 경제협력, 거버넌스, 성공요인, AHP, 지방분권적 균형발전 □ 접수일: 2022년 1월 17일, 수정일: 2022년 2월 5월,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본 논문은 주저자의 박사학위논문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주저자, 목포대학교 행정학과 박사(First Author, PhD, Mokpo National Univ., Email: okgold2@hanmail.net)*** 교신저자, 목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Mokpo National Univ., Email: brkim@mnu.ac.kr) Priority of Success Factors for Governance ofInter-regional Economic CooperationDaewoon Shin & Byungrok Kim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ccess factors and priorities of governance fo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regions in the background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success factors of inter-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governance were deriv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participation, leadership, cooperation, and project feasibility) and 17 sub-categories. And the priority of each factor was investigated using AHP. The project feasibility factor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in particular, the support and will of the local government head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building future governance, there is a problem of generalization, and it is necessary to use objective statistical data in future research. Key Words: Economic Cooperation, Governance, Success Factors, AHP, Decentralized and Balanced Development

      • KCI등재

        Prediction of Longline Fishing Activity from V-Pass Data Using Hidden Markov Model

        신대운,양찬수,하룬 알 러쉬드 아메드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1

        Marine fisheries resources face major anthropogenic threat from unregulated fishing activities; thus require precise detection for protection through marine surveillance. Korea developed an efficient land-based small fishing vessel monitoring system using real-time V-Pass data. However, those data directly do not provide information on fishing activities, thus further efforts are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ir activity status. In Korea, especially in Busan, longlining is practiced by many small fishing vessels to catch several types of fishes that need to be identified for proper monitor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improved the existing fishing status classification method by applying Hidden Markov Model (HMM) on V-Pass data in order to further classify their fishing status into three groups, viz. non-fishing, longlining and other types of fishing. Data from 206 fishing vessels at Busan on 05 February, 2021 were used for this purpose. Two tiered HMM was applied that first differentiates non-fishing status from the fishing status, and finally classifies that fishing status into longlining and other types of fishing. Data from 193 and 13 ships were used as training and test datasets, respectively. Using this model 90.45% accuracy in classifying into fishing and non-fishing status and 88.23% overall accuracy in classifying all into three types of fishing statuses were achieved. Thus, this method is recommended for monitoring the activities of small fishing vessels equipped with V-Pass, especially for detecting longlining.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이 선박통항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대운,박영수,박진수 해양환경안전학회 2017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3 No.2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선박에 육상과 동일한 인터넷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선내 인터넷 사용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선원들은 휴대가 간편한 스마트폰을 이용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항해 중 스마트폰 사용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으며, 그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해 중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성을 판별하기 위해 선박 조종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은 근접도 평가, 제어도 평가, 운항자의 주관적 평가 및 위험 상황인지 시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 유무를 구분하여 위험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항해 중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인해 위험도가 최소 1.3배에서 최대 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항해 중 스마트폰 사용 규제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 스마트폰 사용지침을 수립하고자 한다. Lately, Internet-based vessels have begun to appear at sea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hereby crews have gained easy Internet access through increased smartphone portability. However, the side effects of smartphone use while on watch, have not been studied seriously despite being a reality. In this study, simul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a Ship Handling Simulator in order to distinguish the risks of using a smartphone while on watch. Proximity Evaluation, Control Evaluation, Subjective Evaluation and Situation Awareness to the dangerous situation were used to quantify risk during simulation, and analysis results were compared with cases when using and not using a smartphone.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risk increased between 1.3 to 3 times given smartphone use. Consequently, this paper represents foundation for the restriction of smartphone use and proposes smartphone usage guideline for ship navigation.

      • KCI등재

        해군함정 사고사례 및 위험도 분석에 관한 연구

        신대운,박영수,최광영,박상원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4 No.7

        Due to recent changes in the maritime traffic environment, naval warship ac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Especially in 2017, serious loss of life was caused by a US navy destroyer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aval warship accident cases and construct an accident scenario by using naval training materials, adjudication of naval warship accidents and US navy destroyer accident reports. Based on the surveyed data, the status of accidents was identified and cases were analyzed. We reproduced 17 accident cases in accordance with accident reproduction procedure and constructed naval warship accident scenario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PA, TCPA and PARK model for risk, reproducing 17 naval ship accident cases, collision risk increased on average 5-6 minutes before an accident. The result of this study represents basic data for naval and simulation education material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marine accidents. 최근 해상 교통 환경의 변화로 인해 해군함정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2017년 미 해군 구축함 사고로 인해 심각한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군 교육 자료, 해군함정 사고 재결서, 미구축함 사고 분석 보고서의 해군함정 사고사례를 이용해 해군함정 사고를 분석하고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한 자료를 중심으로 함정 사고 현황을 파악하고 사고사례를 분석하였다. 사고재현 절차에 따라 사고사례 17건을 재현하고 해군함정 사고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해군함정 사고 17건의 CPA, TCPA 및 PARK 모델 위험도 분석 결과, 충돌위험은 평균적으로 사고발생 5~6분 전을 기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해군 사례 교육 및 시뮬레이션 교육의 시나리오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해양사고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알파 레이더교육에 대한 효과 분석

        신대운(Daewoon Shin),박영수(Youngsoo Park),김상환(Sanghwan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추계

        Automatic Collision Prevention Training and RADAR Simulation Training, designated educations by the STCW Convention, are essential for officers to complete in order to board a ship. Recently, designated education institution standard based curriculum and requirements of the necessary facilities have been placed as a regulatory advisory requiring each institutions to match this and introduce equipment for simulation education, the FMSS(Full Mission Simulator System). Since the introduction of this research until today, a survey has been execut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utilizing the FMSS in ARPA/RADRA/Simulation Training for a period of 1 year. The result showed that 2.13times have been more effective.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identifying problems that occur during the education period and providing solutions to these problems have been proposed 자동충돌예방 교육과 레이더시뮬레이션 교육은 STCW 협약 상 지정된 교육으로 항해사들이 항해사로 승선 시 필수적으로 수료해야 하는 교육이다. 최근에는 지정교육기관기준에 의거 교육과정 및 필요시설의 요건을 권고규정으로 두고 있어 각 교육기관은 그에 맞추어 시뮬레이션 수업을 위한 장비, FMSS(Full Mission Simulator System)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도입 후부터 현재까지 FMSS를 이용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알파/레이더/시뮬레이션 교육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재학생을 대상으로 1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수업 전과 비교하여 2.13배 능력이 향상 되었다고 답변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수업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