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시민과학기술운동과 적정기술

        신관우(Kwanwoo Shin),이충훈(Choong Hoon Lee) 적정기술학회 2015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1 No.1

        적정기술은 독점적인 자본과 국가중심적인 원조에 따른 과학기술의 일방적 원조로부터 벗어나 지역적 특수성에 기반 으로 한 지역적인 문제를 현지의 노동과 기술로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과학기술운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역사 적으로는 다르지만, 거대 자본과 기술의 독점에 대항하여 시민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진국의 시민중심의 과학기술운동과 오픈소스 기반 과학기술은 적정기술과 마찬가지로, 과학기술의 보편적인 확산과 자발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사회운동의 형태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현대의 시민사회운동의 일환으로의 과학기술과 적정기술이 보편적 과학기술이라는 측면에서 상호 결합되는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 으로 한 새로운 적정기술의 방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In political economy, appropriate technology can be described as one of volunteered science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rooted in local particularities and local labours to solve local immediate problems in underdeveloped countries against the state monopoly capitalism. Although it might have different background and origin historically, there are many conceptual similarities in citizen science activities in developed countries, which have started as a social movement against the science monopoly based on the state capitalism. In this paper, we reviewed those individual activities historically, and listed some recent representative activities. We believe that these activities in appropriate technology combined with the citizen science movements will provide a new directional outlook.

      • KCI등재후보

        Appropriate Technology in University Education: Why and How?

        신관우(Kwanwoo Shin),이충훈(Choong-Hoon Lee) 적정기술학회 2017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3 No.1

        적정기술은 주로 저발전 국가에서 과학과 기술 분야의 훈련을 받지 않은 누구라도 자발적인 사회활동의 일환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고려되어 왔다. 이런 광범위한 견해는 특히 “과학기술 인구의 증가’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것이다. 그러나, 적정기술에 대한 “대중의 용이한 접근”은 “적정기술”을 대학 교육에서 주제 중의 하나로 고려할 경우 그것에 대한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대학 교육은 학술적인 발전을 심화시키고 차세대를 육성하는 것을 그 주된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적정기술을 대학 교육의 학문적 주제로 통합해야만 하는 이유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첨단 기술의 발전이 적정기술의 가장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또한 학제간 연구로서의 적정기술 교육의 특성과 적정기술을 대학에서 교육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방법에 관해 논의한다. Recently, it has been widely considered that appropriate technology is just a part of social volunteered activities to anyone, including pre-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who are not properly trained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long as their activities are benefit to underdeveloped countries. Such a widespread view is positive in many ways, especially, in terms of “popul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the public accessibility” to the appropriate technology could be a barrier when one considers whether “appropriate technology” can be one of themes in university education. Since university education is aiming to deepening academic development and nurturing next generation, we would like to discuss why the appropriate technology must be incorporated into academic themes in college education.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discuss that; the cutting-edge technological development can bring the most effective and practical improvement of appropriate technology. We also would like to discuss appropriate technology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and an appropriate method in educating appropriate technology in university.

      • KCI등재

        나노 박막의 표면분석을 위한 열중성자 기반 수평형 반사율 장치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이종오,신관우,이정수,조상진,이창희,소지용,Lee Chong Oh,Shin Kwanwoo,Lee Jeong Soo,Cho Sang Jin,Lee Chang Hee,So Ji Yong 한국진공학회 2005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4 No.3

        원자로의 중성자 빔을 사용하는 수평형 반사율 장치는 중성자 고유의 투과성 및 낮은 에너지의 비파괴성과 함께 시편을 수평으로 놓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수 나노미터 이내의 박막의 두께와 밀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새로운 장치이다. 원자력연구소에 열 중성자를 기반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장치의 개념 및 최적화를 위한 시뮬레이션이 시급하다. 따라서 열중성자에 해당하는 $2.5{\AA}$를 기반으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는 MCSTAS를 이용하여 장치의 개념을 설계하였다. 단색기와 collimator, 그리고 초거울등의 설계 및 각 변수들은 설계의 목표인 최대 Flux를 갖는 중성자 빔 세기를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The horizontal reflectometer, which uses a neutron beam in the reactor, provides scientists a set of unique tools offering destruction-free investigation of biological membranes in the native-like environments in nano-meter scale. As an intial stage for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Korean neutron reflectometer with a horizontal sample geometry, we performed the instrumental simulation using MCSTAS, Monte Carlo Simulations of Triple Axis Spectrometers for neutron ray-tracing simul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deling of the overall instrument geometry based on the thermal neutron source with a wavelength of 2.55 $2.5{\AA}$ at HANARO was successfully performed, and further the optimization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instrument, including the collimator, monochromators, filter and supermirror has been made.

      • KCI등재후보

        글로벌문제해결거점 ICT화를 통한 한국형 과학기술 ODA 추진 : 과학기술 ODA 중·단기 과제 추진에 대한 제언

        정우균(Woo-Kyun Jung),신관우(Kwanwoo Shin),정성필(Seongpil Jeong),박헌균(Hunkyun Park),박은선(Eun Sun Park),안성훈(Sung-Hoon Ahn) 적정기술학회 2021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7 No.2

        UN의 SDGs 추진을 위해 우리나라는 2019년 K-SDGs를 제시하였으나, SDGs의 중요한 이행 수단인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역할과 과제가 구체화 되지 않았다. 이에, 2020년 과기정통부의 정책연구과제인 ‘신남방정책 확산 및 2030 SDGs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ODA 추진 로드맵’을 통해 SDGs 추진을 위한 과학기술 ODA의 역할을 정립하고, 물, 기후변화, 에너지, ICT 등 10개 분야에 대한 향후 10년간의 추진 목표와 전략 및 중점과제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DGs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ODA 추진 로드맵의 30개 중점과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로드맵 추진을 위한 중·단기 과제 및 추진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각 분야의 중점과제 중 로드맵 추진 여건 조성 및 통합이 가능한 ICT/스마트화, 글로벌문제해결거점, 협력/소통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창업지원플랫폼/리빙랩의 4개 공통 키워드를 도출하고, 이를 로드맵의 세부 내용과 연계하여 과학기술 ODA 네트워크 구축, 리빙랩 연계 창업지원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수원국 현지 스마트화, 글로벌문제해결거점 확장 및 지속성 확보의 4개 중·단기 과제로 설정하였다. 도출된 중·단기 과제에 대해서는 글로벌문제해결거점의 ICT화를 통한 추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중·단기 과제의 추진은 과학기술 ODA 로드맵의 보다 효과적인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SDGs 이행 또한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Korean government proposed the K-SDGs in 2019 to promote the UN SDGs, but the role and task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 important means of implementing the SDGs, have not been materialized. Accordingly, the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for the SDG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s policy research project Science and Technology ODA Promotion Roadmap for Spreading the New Southern Policy and Realizing the 2030 SDGs . In addition, goals, strategies, and core tasks for the next 10 years were derived in 10 fields such as water, climate change, energy, and ICT. In this paper, we analyze 30 key tasks of the ODA promotion roadmap for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realization of SDGs, and propose mid- and short-term tasks and implementation plans for effective roadmap promotion. Among the key tasks in each field, four common elements were derived: ICT/smartization, a global problem-solving center, cooperation/communication platform, and business model/startup support platform/ living lab that can create and integrate roadmap implementation conditions. In addition, the four mid- and short-term tasks, 1) Establish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DA network, 2) Establishment of living lab business platform linked to start-up support business, 3) Local smartization of recipient countries, and 4) Expand and secure sustainability of global problem-solving centers, were set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detailed roadmap. For the derived mid- and short-term tasks,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based on the ICTization of global problem-solving centers were presen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mid- and short-term tasks presented in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the more effective achievement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ODA roadmap, and it is expected that Korea s implementation of SDGs will also achieve high performance.

      • KCI등재

        Reproducible Green Radiation-based Synthesis of Poly(glycidyl methacrylate)-Grafted Non-woven Polypropylene Adsorbent for Removal of a Heavy Metal Ion

        In-Tae Hwang(황인태),Tae-Yeon Kim(김태연),Joon-Yong Sohn(손준용),Kwanwoo Shin(신관우),Junhwa Shin(신준화),Chan-Hee Jung(정찬희) 한국고분자학회 2021 폴리머 Vol.45 No.5

        본 연구에서는 전류로 조정된 높은 선량율에서의 전자선 전조사 및 접목중합 반응을 통해 poly(glycidyl methacrylate) 접목 polypropylene 부직포(PP-g-PGMA)를 높은 재현성으로 제조하고 이를 ethylenediamine(EDA)을 이용한 기능화를 통해 효율적인 중금속 흡착제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접목중합 수율 및 전환율 평가 결과, PP-g-PGMA의 제조에 있어 최적조건에서 90% 이상의 높은 전환율을 유지함으로써 높은 재현성을 보이며 원하는 접목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spectroscopy(FTIR),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및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FE-SEM) 분석을 통해 PP-g-PGMA가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명확히 확인하였다. 아민 반응에 의해 제조된 PP-g-PGMA-EDA 흡착제는 접목중합 수율에 의존적인 2.8에서 3.5 mmol/g 범위의 아민 밀도를 나타내었고 금속이온 흡착제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인장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제조된 PP-g-PGMA-EDA 흡착제는 상용 수지보다 더욱 우수한 Cu<SUP>2+</SUP> 이온 흡착 성능을 보였다.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well-defined poly(glycidyl methacrylate)-grafted non-woven polypropylene (PP-g-PGMA) can be reproducibly achieved by pre-irradiation at the current-adjusted higher dose rate, and further used as an efficient heavy metal adsorbent by functionalization using ethylenediamine (EDA). The results of grafting degree and conversion rate revealed that the desired degree of reproducible grafting of PP-g-PGMA (while maintaining the conversion rate above 90%) can be achieved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The successful synthesis of PP-g-PGMA was clearly confirm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spectroscopy (FTIR),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The PP-g-PGMA-EDA adsorbents produced by the amine reaction exhibited grafting degree-dependent amine density ranging from 2.8 to 3.5 mmol/g. It also had good tensile propertie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metal ion adsorption. Noticeably, the PP-g-PGMA-EDA adsorbent exhibited better Cu<SUP>2+</SUP>ion-adsorbing performance than did the commercial re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