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File을 이용한 근관형성 시 anticurvature filing 방법의 영향

        송현지,장주혜,조경모,김진우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ProFile로 근관형성 시 anticurvature filing 방법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변형된 Bramante 법을 이용해 36개의 레진 블록을 치근단으로부터 8 mm부위와 근관의 최대 만곡 부위에서 절단한 후 재조립하였다. 근관형성의 동작에 따라 anticurvature Hling motion, oircurnferential filing motion, straight up-and-down motion의 3가지 실험군으로 분류한 다음 ProFile로 근관을 형성하였으며, 술 전·후의 단면을 stereomicroscope로 촬영, 저장하고 중첩하여 근관 단면의 변화와 근관의 중심 이동률을 비교 평가하였다. 모든 위치에서 단면적 변화량, 만곡 내측으로의 형성량과 중심 이동률은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만곡 외측으로의 형성량은 치근단으로부터 8 mm 부위에서 anticurvature filing motion, oircurnferential filing motion,straight up-and-down motion의 순으로 많았으나, 근관의 최대 만곡 부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만곡 근관의 위험 부위에서 ProFile로 근관형성 시 anticurvature filing motion의 영향은 다른 motion과 비교해 볼 때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ticurvature filing method on preparation of the curved root canal using ProFile. Thirty six resin blocks were divided equally into three groups by instrumentation motions: anticurvature filing motion, circumferential filing motion and straight up-and-down motion. Each resin block was sectioned at 8 mm level from the apex and at the greatest curvature of the canal and reassembled in metal mold by a modified Bramante technique. All groups were instrumented with the ProFile system. At each levels, image of sectioned surface were taken using CCD camera under a stereomicroscope at ×40 magnification and stored. Distances of transportation at the inner and outer area of curvature and the centering ratio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by statistical analysis, along with the assessment of the increase of root canal cross-sectional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ll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mean increase of root canal cross-sectional area, the centering ratio, and the mean distances of transportation at the inner area of curvature at each level. 2. At 8 mm level from the apex, the mean distances of transportation at the outer area of curvature decreases in following order anticurvature filing motion, circumferential filing motion, straight up-and-down mo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greatest curvature of the canal among three groups. Effect of anticurvature filing motion using ProFile does not seem to be different from other instrumentation motions at the inner area of curvature in curved root canal.[J Kor Acad Cons Dent 30(4):327-334,2005]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시인으로서의 소명 의식 연구

        송현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1 No.-

        Kim, Jong-sam is a significant poet to expla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poetry in the postwar days. Although he left few poems, he had built a varietyof meanings in his poetry so he created a unique place of its own in Korean literaturehistory. Previous researchers have represente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but have not provided the overall features yet.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and the limits,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one characteristic that across the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nsciousness. Kim's early poem The Gardener is the key text for this paper. This poem wasthe first step to start as a poet which shows Kim's view of the world as well ashis self-consciousness. In this poem, the poet is compared to the gardener and he,as a poet, committed an original sin which are inseparable from every poet. Asa sinner, he branches three direction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aspects of thefruits in The Gardener ; to admire the pure world, to witness the misery of thereal world, and to connect the pure world with the real one. Even though the threedirections seem irrelevant, all of them are based on the poet's fateful sin whichhe thinks his own's, not others'. In Kim, Jong-sam's poetry, he continuously blames himself because he believeshe couldn't fulfill the mission of the poet. This paper suggests that Kim's self-blameshows Kim's vocation as a poet. As Kim kept questioning what a real poet shoulddo in the postwar days, it makes his poetry more meaningful. 김종삼은 과작이라 할 만큼 적은 수의 작품을 남겼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의미의 세계를 구축하며 전후의 시단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자리를 만든 작가이다. 기존 연구자들은 그의 시가 가지고 있는 여러 특성들을 하나씩 펼쳐 보이며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나, 그의 시 전체를 포괄하는 논점을 제시하는 데에는 미진한 성과를 보였다. 이에 이 글은 기존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바탕으로 김종삼의시를 관통하는 특성을 의식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밝히는 데에 그의 초기작 「園丁」이 그 기점으로 작용하였다. 「園丁」은 시인으로서 첫 걸음을 시작하는 김종삼이 세상에 던지는 출사표로 읽힐 만큼 시인의세계관과 내면 의식이 잘 드러나는 문제적 작품이다. 시 창작에 대한 풍부한 상징이 돋보이는 이 시에서 김종삼은 언어를 사용하는 시인이라면 숙명적으로 질 수밖에 없는 원죄의 순간을 포착하고, 이를 자신의 고유한 죄로 인식한다. 이 글은그의 시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죄의식을 시인으로서의 자의식과 연관하여 고찰하고, 김종삼이 이러한 죄의식을 바탕으로 참된 시인의 길을 모색하는 와중에 이질적으로까지 보이는 상이한 시적 양상을 포괄하게 되었음을 논구하였다. 시인으로서의 사명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죄책감은 시인이란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성실한 물음에서 비롯되며 이는 시인으로서 제대로 사명을 다해야 한다는소명 의식으로 귀결된다. 전후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이 시기 시인의 사명에 대해치열하게 고민한 김종삼의 시적 태도는 지금까지도 그의 시에 울림을 더해주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 KCI등재

        아토피양(樣) 피부염 NC/Nga생쥐에서 가감소독음(加減消毒飮)과 아토피크림-자운고(紫雲膏)의 병용투여가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송현지,한재경,김윤희,Song, Hyun-Jee,Han, Jae-Kyung,Kim, Yun-Hee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9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3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 experiment using an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which has histological and clinical similarities to the condition in humans. Methods : We evaluated clinical skin score, hematology, serum total IgE and IgG1 of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and analyzed the cytoline level, total cell numbe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histological features of axillary lymph node(ALN), draining lymph node(DL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PBMCs) and dorsal skin tissue in NC/Nga mouse. Results : Orally administration of KKSDU and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decreased the clinical skin score, total cell number of WBC, platelet, neutrophils, eosinophils in blood, serum total IgE & IgG1, IL-5, IL-13. Also, total cell number of ALN and dorsal skin tissue, absolute cell number of CD3e+&CD19+, CD4+&CD8+, CD3+/CCR3+, CCR3+, CD3+/CD69+, CD3+/CXCR5+ in ALN, PBMCs, absolute cell number of CCR3+, CD3+/CD69+, CD11b+/Gr-1+ in dorsal skin tissue, Eotaxin2 mRNA, CCR3 mRNA in dorsal skin tissue and gene expression of IL-5 mRNA, IL-13 mRNA in ALN are significantly decreased. Furthermore, thickness of epidermis, infiltrated inflammatory immune cell & mast cell in dermis, histologic infiltration of mast cell, the size of inflammatory lymphocytes cells & plasma cells in ALN and histologic infiltration of CD4+ & CCR3+ in ALN and dorsal skin tissue are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total cell number of DLN, absolute cell number of CD3+&CD19+, CD4+&CD8+, B220+/CD23+, CD3+/CD69+ in DLN and CD4+CD25+foxp3+Treg cell, foxp3 mRNA in dersal skin tissue are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KKSDU and AJ on atopic dermatitis in an in-vivo experiment using an NC/Nga atopic dermatitis mouse was very effective to the atopic detmatitis treatment.

      • KCI등재

        릴케를 통한 시적 전신(轉身) ― 전봉건의 ‘사랑의 노래’를 중심으로

        송현지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6

        By analyzing that Jeon Bong-keon's poetic transition - delivery and discontinuance of ‘song about lo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at Jeon Bong-keon sought attitude and method as a poet fighting back against the ruins of postwar period through Rainer Maria Rilke. This was done with the judgment that Jeon Bong-keon referred to Rilke at every aspect of thinking about what to write as a poet at this moment, at this place based on his confession that he took Rilke’s attitude as poet as his own poetic mirror.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Jeon Bong-keon changed his poetic direction by singing ‘song about love’ after questioning his identity as a poet to Rilke. The direct cause of singing ‘love' so abruptly, for a person who had been writing war poems based on participating in a war, was discovering vital power from ‘love’. However, when seeing that such a transition took place right after questioning Rilke and that ‘love’, which he chose as a way of fighting back, was eros, it can be assumed that he had been influenced by Rilke since Rilke not only emphasized recovery of humans’ basic and simple desire such as sex as a way to resolve problems of contemporary era but also suggested the vocation of a poet which Jeon Bong-keon tried to achieve through ‘song about love’ by seeing poet as the existence who can give birth to new life like women. His poetic strategy to overcome ruins through ‘love’ discontinues after 「Repetition for Love」, 「Chunhyang Yeonga」, and 「Inner Sea」 and he changed direction toward singing about the scars of war again since he realized that ‘song about love’ cannot be a sound way of overcoming reality in the process of singing ‘song about love’ through the mouths of Chunhyag and Cheoyong. The next step he took through Chunhyang and Cheoyong after confronting impossibility of love shows that he obtained an answer from the essay on poetry by Rilke. Their accepting impossibility of love, facing reality, and neutralizing life and death, hope and despair, and confrontation between scar and love coincides with the step of ‘woman in love’ who faced impossibility of love which Rilke praised. Jeon Bong-keon acknowledging that the scars of war are always accompanied in life after discontinuing singing ‘song about love’ and not trying to overcome them and accommodating them in reality was the way of love ultimately pursuing Rilke and the way of writing poems. Jeon Bong-keon practiced Rilke's poetry by going beyond and singing another ‘love’. 본 연구는 ‘사랑의 노래’의 타전과 중단이라는 전봉건의 시세계에서의 두 번의 시적 전환이 전봉건이 릴케의 시학을 능동적으로 전유한 흔적임을 분석함으로써 전봉건이 릴케를 통해 전후의 폐허에 응전하는 시인의 태도와 방법을 모색해갔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릴케의 시인으로서의 태도를 자신의 거울로 삼았다는 그의 고백에 기대어 그가 지금-이곳에서 시인으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선택해야 했던 기로마다 릴케를 참조하였다는 판단에 의해서였다. 전봉건은 전후의 폐허에서 시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시인의 소명에 대해 궁구하며 릴케에게 질문을 던진 이후, 폐허에 응전하는 첫 번째 방법으로 ‘사랑의 노래’를 부르는 것을 선택하였다. 전투시를 쓰던 그가 시적 방향을 선회한 직접적인 원인은 사랑에서 생명력을 발견하였기 때문이었지만, 그러한 전환이 릴케에게 질문을 던진 직후에 이루어졌으며 그가 선택한 사랑이 에로스를 뜻한다는 점에서 이는 릴케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릴케 역시 현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性)과 같은 인간의 기본적이고 소박한 욕구 회복을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인을 여성과 같이 생명을 낳을 수 있는 존재로 봄으로써 전봉건이 ‘사랑의 노래’를 통해 의도한 시인의 소명을 선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랑을 통해 폐허를 극복해보려는 그의 시적 전략은 「춘향연가」와 「속의 바다」를 거친 후 중단되고, 그는 전쟁의 흔적이 남은 현실을 노래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꾼다. 그것은 ‘사랑의 노래’가 전쟁의 폐허를 극복할 수 있는 온전한 방법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그가 춘향과 처용의 입을 빌려 ‘사랑의 노래’를 부르는 과정에서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사랑의 불가능성 앞에서 춘향과 처용은 좌절하기보다는 현실을 직시하며 이를 다른 창조의 가능성으로 승화한다. 이러한 춘향과 처용의 모습은 릴케가 찬양하였던 ‘사랑하는 여인들’의 행보와 일치하는데 이는 그가 여전히 릴케의 시론에서 모종의 해답을 얻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사랑의 노래’를 중단한 후 전봉건이 전쟁이 남긴 상처를 극복하려 하기 보다 그것이 언제나 삶과 함께 하는 것임을 인정하고 전쟁의 기억을 소환하는 것은 우리의 삶이 전쟁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전쟁이 남긴 상처는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님을 그가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는 처용이 ‘일식의 춤’을 추었던 것처럼 폐허에 맞서는 방법으로 폐허를 노래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다른 이에게 각인된 전쟁의 상처를 포용하게 된다. 이는 릴케가 궁극적으로 추구하였던 융합과 헌신, 그리고 유대로서의 사랑이라는 점에서 그가 전(全) 전 시작 과정에 걸쳐 릴케의 시학을 실천하였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

        현대시의 난해성에 대한 김수영의 비평적 사유 고찰―사기 논쟁을 중심으로

        송현지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3

        이 논문은 1960년대 중반에 있었던 김수영과 전봉건의 사기 논쟁에 대한 면밀한 독해를 통해 현대시의 난해성 문제에 대한 김수영의 사유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사기 논쟁의 진행 과정에서 전봉건이 오독한 김수영의 몇몇 어휘들의 진의를 해명하는 한편, 「사랑의 변주곡」을 이러한 김수영의 진의가 담긴 시적 방법론으로 읽음으로써 실제 논쟁에서 미완으로 남은 김수영의 답변을 메우고자 했다. 지금까지 사기 논쟁은 두 시인이 사상과 기법 중 무엇을 더욱 중시하는가에 대한 싸움, 즉 일종의 기교주의 논쟁으로 규정되었다. 이는 김수영이 사기 논쟁에서 사용한 ‘사상’과 ‘양심’이라는 용어에 대한 전봉건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당시 시단에 횡행하던 가짜 난해시와 이에 대한 해설에 대해 김수영은 그것이 ‘사상’과 ‘양심’이 결여되고 기술만 있다고 비판하였는데, 이때 그가 사용한 ‘사상’과 ‘양심’은 ‘포즈’에 대응하는 말로서 정확히 말하자면 ‘미학적 사상’과 ‘미학적 양심’을 뜻하는 말이었다. 그는 이 용어를 통해 시인은 시에 대한 자신만의 미학적 신념이 있어야 하며, 이에 근거하지 않은 채 난해한 기법을 빌려오는 것보다는 차라리 자신의 역량 내에서 정직하게 시를 쓰는 것이 낫다는 시관을 드러내었다. 그런데 전봉건이 이를 일반적인 의미로 이해함으로써 그들은 서로 다른 논점과 층위에서 논의를 진행하게 되었고 논쟁은 공회전 되었다. 그러나 전봉건의 이러한 오독은 결과적으로 모더니즘 시의 문제로만 논의되었던 난해성의 문제를 참여시에까지 확대하는 역할을 하였다. 전봉건은 김수영을 참여 시인으로 한정하여 규정한 후 김수영 작품의 난해성을 문제 삼았는데, 독자의 이해를 중시한 전봉건에게 김수영의 시는 그들의 현실 참여를 불가능하게 할 만큼 난해하다는 점에서 현실 참여를 주장한 김수영의 시론과 괴리되는 사기로 여겨졌다. 그러나 김수영에게 시의 난해성은 그것이 모더니즘시인지 참여시인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시인의 ‘미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는 일반 독자의 현명함을 신뢰하였을 뿐만 아니라 독자 역시 성장한다고 생각하였으며, 독자에게 시를 이해시키는 것보다 시를 통해 독자의 감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더욱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우리 시단에서 난맥의 시들이 점점 자 취를 감출 무렵, 김수영은 사상과 양심, 그리고 독자를 중심으로 한 현대시의 난해성에 대한 자신의 이러한 생각을 시를 통해 보여주는데, 그의 대표작 「사랑의 변주곡」은 이러한 시론의 집약체로 읽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into the criticisms by Kim Soo-young toward the issue of abstruseness of modern poetry based on detailed reading of the Fraud Argument by Kim Soo-young and Jeon Bong-geon, which took place in the mid-1960s. For this aim, this study replaced the answer by Kim Soo-young, which had been incomplete until now, by clarifying the real intention of some words by Kim Soo-young, which had been misinterpreted by Jeon Bong-geon in the process of proceeding with the Fraud Argument, and reading 「Variation of Love」 based on the poetic methodology encompassing true intention of Kim Soo-young. Until now, the Fraud Argument was defined as the brawl regarding out of which one two poets prioritized between ideology and technique (that is, a sort of technicalism argument). This originated from misunderstanding by Jeon Bong-geon regarding ‘ideology’ and ‘conscience’ which had been used in the Fraud Argument by Kim Soo-young. With regard to fake abstruse poems which became rampant by poetical circles and corresponding interpretations, Kim Soo-young criticized that they lack ‘ideology’ and ‘conscience’ and only have techniques. Here, ‘ideology’ and ‘conscience’, corresponding to ‘pose’, meant ‘aesthetic ideology’ and ‘aesthetic conscience’. Through the terms, he expressed his poetic value that poems have to be written honestly within one’s own capability based on aesthetic standards and beliefs. However, after Jeon Bong-geon understood them as ordinary terms, Kim Soo-young and Jeon Bong-geon proceeded discussion from different points and levels and the Fraud Argument continuously went around in circles. However, misinterpretation by Jeon Bong-geon played the role of expanding the issue of abstruseness, which had been discussed as the only problem of modernism poetry, to engagement poetry. Jeon Bong-geon restrictively defined Kim Soo-young as engagement poet and pointed out the abstruseness of the works by Kim Soo-young. For Jeon Bong-geon who put emphasis on understanding by readers, poems by Kim Soo-young were regarded as a fraud which were disparate from the criticism of poems that insisted participation in reality in the sense that Kim Soo-young’s poems made participation in reality impossible. However, Kim Soo-young did not point out abstruseness of poem when it was based on ‘aesthetic ideology’ as problematic regardless of the issue of being modernism poem or engagement poem. This is because in a sense, he believed in the wisdom of normal readers and in another sense, what mattered to him was not understanding of poetry by readers but changes in sensitivity by readers due to poetry. Afterwards, around the time when poems of chaos were about to vanish in poetic circles, he expressed his thoughts toward ideology, conscience, and readers. His leading work ― 「Variation of Love」― is an aggregate of his thoughts.

      • KCI등재

        김춘수 시의 추상으로의 변모와 세잔의 영향 연구

        송현지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way to write nonsense poetry by discussing the exact concept and meaning of vaguely defined pictorial methodology by Cézanne after focusing on the fact that Kim Choon-soo stated that he applied 'Cézanne style abstraction' in the process of his poetry transforming into abstraction during sketching from nature in his nonsense poetry theory. For this aim, this study identified that abstraction by Cézanne was used in the following manners in producing nonsense poetry by setting the first part of 「Cheoyongdanjang」 as a subject, which identified that Kim Choon-soo trained Cézanne style abstraction. Firstly, as Cézanne did not imitate reality in painting by reorganizing landscape, Kim Choon-soo either brought targets selectively or expressed a part of subject after exaggeration. In that sense, images in nonsense poetry are not unified and have fragmentary character. Secondly, poet either selectively choosing a certain part of subject or making exaggerated expressions means that viewpoint toward subject is not consistent and this reminds the fact that Cézanne destroyed the traditional perspective and looked at subject from various viewpoints. Images in poetry, as they are gathered from various locations, have relations to the real world in diverged aspect and appear awkwardly in poetry. In particular, nonsense poetry have unrealistic aspects by images with powerful dominance reflecting other images. This is similar to the reflection technique used in painting by Cezanne. Lastly, as Cézanne had shape of subject unrecognizable by painting over, existing images became extinct and existing description toward images was repeated since Kim Choon-soo brought about same images in poetry by repeating same sentences. Thus, nonsense poetry are not interpreted as a single meaning and does not indicate a scene of reality. As mentioned previously, Kim Choon-soo having utilized painting methods by Cézanne- reorganizing, reflecting, and painting over - is related to not representing but realizing subjects through such techniques. Kim Choon-soo was able to realize childhood world, which exists but could only be brought about by recollection, in poetry through 'Cézannestyle abstraction' since childhood world is reminded in several fragmented pieces and many memories are selectively repeated. Meanwhile, whe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Kim Choon-soo and Rilke, the point that the pictorial methodology by Cézanne utilized by Kim Choon-soo is similar to the creative viewpoint by Rilke toward abstraction by Cézanne described in Letters on Cézanne enables rational assumption that Kim Choon-soo applied 'Cézanne style abstraction' in poetry after reading Letters on Cézanne.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to escape from the existing viewpoint of limit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Kim Choon-soo and Rilke to initial period poetry or poetry in latter age and expand viewpoint. 본 논문은 김춘수의 시가 사생에서 추상으로 변모하는 과정에 세잔의 추상 회화적 표현기법이 활용되었음에 주목하여 ‘세잔풍의 추상’이라는 말로 모호하게 규정된 세잔의 회화적 방법론의 정확한 개념과 의미를 논구하고, 이를 통해 무의미시의 창작원리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릴케가 『세잔에 관한 편지들』에서 서술한 세잔의 추상화 기법에 대한 릴케의 독창적 논의를 참고함으로써 ‘세잔풍의 추상’의 정확한 의미를 밝히고, 「처용단장」1부를 대상으로 김춘수가 무의미시의 제작에 활용한 세잔의 회화적 방법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생의 한계를 깨달은 세잔은 색의 조화와 대비만을 통해 현실의 풍경을 재배치함으로써 풍경을 그대로 모방하지 않는 작품들을 남겼는데 김춘수는 이러한 세잔의 회화적 방법을 응용하여 취사선택한 이미지들의 조합만으로 시를 썼다. 이로 인해 무의미시 속 이미지들은 관념을 담는 도구적인 성격에서 해방되어 자율성을 띠고, 이러한 이미지로 구성된 그의 시는 더 이상 현실 세계를 모방하지 않게 된다. 둘째, 세잔은 하나의 작품을 그릴 때 여러 시점을 혼용함으로써 시점에 따라 빛의 양을 달라지게 하여 색들이 보색관계를 형성하게 하였는데 강한 색이 약한 색을 반사하는 기법을 통해 그림 속 대상에 비현실성을 드리우는 한편, 대상의 본질이 드러나게 하였다. 이러한 세잔의 반사기법을 응용하여 김춘수는 의도적으로 원경과 근경을 섞음으로써 무의미시에서 이미지는 현실에서 유리되어 파편화 된 채 존재하는데 이 낯선 이미지가 시에서 강렬한 지배력을 가지면서 무의미시는 더욱 비현실적인 성격을 띤다. 셋째, 세잔은 어두운 색 위에 밝은 색을 계속하여 덧칠하는 방식으로 대상의 형상을 구현하되, 대상간의 정확한 경계를 알 수 없도록 하였는데 이는 김춘수가 동일한 문장의 반복을 통해 동일한 이미지를 시에 불러왔던 방식과 유사하다. 동일한 이미지를 제시하고 이를 부연 설명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이미지에 대한 기존 서술은 계속하여 번복되는데 이로 인해 무의미시 속 이미지는 어떠한 고정된 의미도 담지 않게 된다. 김춘수가「처용단장」1부를 통해 유년의 세계를 다루고자 하였던 점을 생각해볼 때, 무의미시에 나타난 이러한 이미지의 양상은 유년 기억의 구조와 그것이 회상되는 방식과 닮아있다는 점에서 그가 세잔의 추상 회화적 표현기법을 활용한 까닭을 짐작하게 한다. 성인이 된 그에게 유년은 이미지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억으로만 회상되며, 기억의 재생은 강렬한 이미지들의 반복을 통해 이루어진다. 세잔이 추상 회화적 방법을 통해 실재를 구현할 수 있다고 믿었듯 김춘수는 실재하지만 비가시적인 유년의 세계를 이러한 ‘세잔풍의 추상’을 통해 시에 구현하고자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아동 실어증 환아 증례 보고

        송현지,한재경,김윤희,Song, Hyun-Jee,Han, Jae-Kyung,Kim, Yun-Hee 대한한방소아과학회 2008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Vol.22 No.2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showed some clinical improvement in treating child aphasia with oriental medicine. Methods : The patient had some problems in communication, intelligence and behaviors due to aphasia after brain injury caused by epilepsy. We treated the patient with herbal medicine(Yangsintangkamibang), acupuncture, verbal remediation and intelligence-learning treatment. We observed the clinical progress of aphasia and evaluated the case with PRES. Results : Oriental medical treatment alleviated patient's symptoms of aphasia and PRES was also improved.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oriental medicine can be a meaningful treatment for child aphasia, and more studies for oriental medical treatment for child aphasia is needed.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화 군집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특성, 우울 증상, 안녕감의 차이

        송현지,이소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adolescent's par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parentification and to examine differences of parentification clusters i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epressive symptoms, and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3 students in the 1st and 2nd grade of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First, adolescent's parentification was classified into five different clusters, instrument․inequality cluster, instrument․emotion cluster, the high parentification cluster, emotion․inequality cluster, and the low parentification cluster.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arentification clusters in family structure, the existence of a sibling, absence of parent(s), the existence of family member with disability or chronic diseases, family environmental circumstances, age of onset, past/present household economical status, and perceived difficulty of parentification. Third, depressive symptoms of the three clusters, the high parentification cluster, instrument․inequality cluster and emotion․inequality clust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strument․emotion cluster and the low parentification cluster. Finally, emotional and social well-being of instrument․emotion clust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strument․inequality cluster. This study provides initial evidence for the usefulness of parentification clusters to better understand adolescent's parentification in diverse contexts.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 203명을 대상으로 부모화의 하위요인에 따라 군집을 구분하고, 구분된 군집별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화 관련 특성, 우울 증상, 안녕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청소년의 부모화는 그 하위요인에 따라 ‘높은 부모화형’, ‘물리․불공평형’, ‘물리․정서형’, ‘정서․불공평형’, ‘낮은 부모화형’의 5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부모화 군집 간 ‘가족형태’와 ‘형제 유무’, ‘부모 부재 경험 유무’, ‘장애나 만성질환이 있는 가족 유무’,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화의 가정환경적 원인’, ‘부모화의 시작 시기’, ‘과거 및 현재 가정형편’, ‘부모화 경험에 대해 지각된 버거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부모화 군집별 우울 증상과 안녕감의 차이는 유의하였는데, 먼저 높은 부모화형, 물리․불공평형, 정서․불공평형 집단의 우울 증상이 물리․정서형과 낮은 부모화형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물리․불공평형보다 물리․정서형 집단의 정서적 안녕감과 사회적 안녕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부모화의 하위요인에 따른 청소년의 부모화 군집을 확인하고 다각적인 관점에서 군집별 관련 특성들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청소년의 부모화 양상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