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민사적 쟁점

        송정은(Song, Jung-Eun),정남순(Jeong, Nam-Soo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환경법과 정책 Vol.16 No.-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함으로써 손해를 입은 피해자들은 현재 가습기살균제를 제조 및 판매한 업체를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진행하고 있다. 가습기살균제 사건은 고도의 기술이 집약되어 대량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결함으로 인하여 피해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사안으로 일반불법행위책임의 특칙이라고 할 수 있는 제조물책임법이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우리 법원은 제조물책임법 제정 이전부터 제조물책임적 성격을 갖는 일련의 사건들에서 제조물의 결함에 대한 제조자 등의 과실 및 결함과 손해 사이의 인과관계를 추정하여 피해자의 입증책임을 완화함으로써 피해의 구제를 모색해 왔다. 그러나 법원은 일부 사례에서 제조물책임법상, 결함을 ‘제조상의 결함’, ‘설계상의 결함’, ‘표시상의 결함’으로 유형화하고 있다고 하면서 ‘설계상의 결함’ 및 ‘표시상의 결함’의 경우는 과실책임으로 해석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는 결국 피해자가, 제조자가 결함의 존재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것이라는 사실을 입증해야하는 것으로서 일반불법행위책임과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이라 할 것이다. 제조물책임법의 영역에서도 사실적 인과관계, 즉 결함으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하였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하는 점은 일반불법행위책임에서와 다르지 않다. 그리고 그러한 제조물책임에서는 특히 역학적 인과관계의 적용여부가 문제되고 있다. 우리 대법원은 역학적 관련성이 인정된다고 하더라도 곧바로 개별적 인과관계까지 인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법원은 특이성 질환 혹은 비특이성 질환을 구분하여, 특이성 질환의 경우 역학적 상관관계로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있지만 비특이성 질환의 경우는 역학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개별적 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원의 논리는 상당한 비판을 받고 있다. 특이성 질환 및 비특이성 질환의 구분은 학문적 근거가 없는 것이고 법원에서 말하고 있는 ‘하나의 병인에 의하여 발생’하여야 한다는 것과 ‘병인(원인)과 질병 발병(결과)이 명확하게 대응’하여야 한다는 요건을 갖추는 특이성 질환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 때문이다. 우리 법원은 환경소송 및 제조물소송에 있어서 이른바 인과관계 입증 완화 법리를 채택함으로써 실질적인 피해구제를 시도하고 있다. 가습기살균제 사건에서도 이러한 법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비록 법원의 인과관계 입증 완화 법리 채택여부와 무관하게 법관의 자유심증에 따라 판결이 내려진다고 하더라도, “감정인의 감정결과가 감정 방법 등이 경험칙에 반하거나 합리성이 없는 등의 현저한 잘못이 없는 한 이를 존중해야 한다”는 대법원의 입장에 비추어, 법원이 당해 사건을 판단함에 있어 역학연구결과 역시 증거로서 부정하지 말고 존중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성서적 이해를 통한 무용의 성향분석과 활성 방향 모색

        송정은(Jung Eun Song) 한국체육철학회 2001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9 No.1

        According to the Old and New Testament, Christian worship contains festive elements related to salvation. Because basically the character of dance is related with joy and festival, it`s been used as means of celebrating worship. Today, choreographers may reinterpret the characters or personalities in the Bible for their creative works. Expressing the biblical stories as performance, they also can achieve the religious and artistic purpose. Christian dancing is the way and proceed which give a glory to God through dancing. It is also the life in which we devote our talent to God. The bible offers choreographers the chance of choosing the various subjects, and helps their artistic perfection. If dancing is important and meaningful part of worship, it should be understood under more complete dimension, than the physical way. It is choreographers that should symbolize ceremony in modern movement of our life. Also, they should reinterpret and reconstruct the movement successfully. As a result, this is an aspect of Christian mission and the subject of Christian dancing in the future time.

      • KCI등재
      • KCI등재

        웹툰 마케팅의 가능성과 활성화를 위한 제언

        송정은(Song, Jung-E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4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4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한 웹툰은 디지털만화형식 중 한 장르로 새로운 한류 콘텐츠로 성장하고 있다. 웹툰은 만화장르의 인기에 제작 및 향유에 있어 편리한 웹사이트의 특성이 더해져 단기간에 대다수의 향유자를 확보하였다. 최근 웹툰을 활용한 마케팅은 낮은 제작비용에 비해 고객과 상호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스토리텔링에 기반을 둔 웹툰 마케팅은 시간, 장소, 언어의 제한없이 고객에게 상품에 대한 정보와 브랜드를 전달하여 활용도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툰 마케팅 관련 문헌, 기업의 웹사이트 이벤트, 소비자의 블로그 자료를 통해 웹툰 마케팅의 트렌드를 조사하였다. 웹툰 마케팅은 웹툰에 대한 대중의 인지도와 친숙도를 바탕으로 상품 관련 정보 및 브랜드 로고 전달, 상품 관련 퀴즈 제공, 소비자의 아이디어를 광고에 삽입하는 이벤트 형식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참여를 유발하는데 효과가 크다. 즉, 메시지와 로고 전달 중심에서 탈피하여 타겟층과 공감할 수 있는 소재로 소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전략을 활용하는 웹툰과 웹툰 마케팅의 소비자와의 상호성을 강조하며, 웹툰 마케팅의 발전방향을 고찰하는데 의의가 있다. Since 2000, webtoon, has been growing as a new Hallyu content. Webtoon could quickly entice the number of content users based on the synergy between the familiarity of cartoon and easiness of using contents on a website. Recently, corporations increase the marketing strategy using webtoon(called as webtoon-marketing) because the webtoon-marketing can be produced at a low cost but encourage the interactivity with consumers. The webtoon-marketing basically uses a story-telling method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and brand image to consumers withtout the limits of time, place, and language. Thus, the webtoon-marketing will be constantly increased. This study focuses on the trend of marketing through the articles related to webtoon and the webtoon-marketing and to the examples of the marketing and consumers’ blogs. The webtoon-marketing uses several tools that invite consumers’ reaction, such as quizzes and image inserting, based on the familiarity and favorablity of webtoon. The webtoon- marketing is effecitve on encouraging consumers’ participation in various levels so that the marketing can interact with consumers by sharing common interest rather than showing brand logos and messages. This study emphasizes the interactivity between consumers and the webtoon- marketing based on interactive story-telling strategy. Furthermore, this study considers the future of webtoon as the new representative Hallyu content and of the possible synergy between webtoon and the webtoon-marketing, which is not studied yet.

      • KCI등재

        한류의 지속을 위한 국제공동제작의 필요성

        송정은(Jung Eun Song),남기범(Kee-Bom Nahm),장원호(Wonho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한류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문화적 파급력이 높아지면서 한류 수용자들의 반응도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한류의 확산의 거점역할을 할 수 있는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국과 한류 수용국가 간의 공동제작의 필요성 및 글로벌 미디어 기업의 역할을 강조한다. 주요 조사자료는 국제공동제작에 대한 문헌과 신문 자료이며, 이 외에 집단심층토론 조사의 일부 자료도 포함하였다. 한국과 한류 수용국가 간의 국제 공동제작은 한류문화콘텐츠의 다양화와 한류 수용자들과의 소통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CJE&M의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로서 한류 콘텐츠의 발전방향을 고려하고 한류 거점지역으로서 영향력이 높은 베트남 문화산업과의 상호관계형성을 강조한다. 나아가 보다 많은 국내 미디어 그룹이 글로벌 미디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콘텐츠 개발 및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협력적 지원이 필요하다. As Hallyu has been spreading and influencing on global pop culture, the Hallyu audiences respond more diverse to Hallyu.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between Korea and the countries receiving Hallyu and highlights on the roles of global media companies. To do so,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cases in Vietnam which can be the center of spreading Hallyu in Southeast Asia countries. The research resources are journal articles, newspapers, and the parts of the Focus Group Discussion in Vietnam.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s between Korea and the countries can provide the opportunity for diversifying Hallyu contents and for communicating with Hallyu receivers better. This research considers the development trends of Hallyu contents based on the cases of CJ E&M in Vietnam and emphasizes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Vietnam cultural industry.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number of Korean media companies to create contents and build networks so that the companies can advance to global media market.

      • KCI등재

        항치매성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저해 물질을 함유한 수수 (Sorghum bicolor)메탄올 추출물의 영양학적 특성과 생리 기능성

        송정은 ( Jung Eun Song ),송정화 ( Jung Hwa Song ),조수묵 ( Soo Muk Cho ),민경훈 ( Gyung Hun Min ),이종수 ( Jong Soo Lee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3 No.2

        새로운 항치매성 건강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AChE)를 강력하게 저해하는 추출물을 곡류와 두류의 다양한 추출물로부터 선발한후 최적 추출 조건을 조사하였다. 추출물 중 수수 메탄올 추출물이 63.4%의 가장 높은 AChE 저해 활성을 보였다. 수수를 80% 메탄올로 40℃ 에서 12시간 추출했을 때 최대의 ACh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AChE를 저해하는 수수 메탄올 추출물의 영양성과 생리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은 유리당으로 고형물 100g당 4.78g의 포도당과 4.13g의 자당 및 0.97g의 과당을 함유하였다. 또한, 수수 메탄올 추출물의 고형물 100g에 linoleic acid 273.82㎎, stearic acid 4.96㎎을 함유하고 있었고, 주요 유기산으로 주석산 27.45㎎, 말론산 15.43㎎, 사과산 9.94㎎이 메탄올 추출물 1g에 함유되어 있었다. 수수 메탄올 추추룰은 항치매 활성 외에도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는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이 50.2%이었고, 항산화 활성은 56.1%를 보였다.

      • KCI등재

        동남아지역의 '경제한류'

        송정은(Song Jung Eun),김익기(Kim Ikki),장원호(Jang Wonho) 지역사회학회 2013 지역사회학 Vol.15 No.1

        동남아시아의 한류는 1990년대 이후 활발해진 한국과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및 문화 교류를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에서 한국기업의 현지 진출이 한류의 확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3년에 3개국의 수도에서 20-50대 남녀를 대상으로 초점토론조사(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점토론조사 응답내용과 기존 총계자료(aggregate data)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한류와 한국기업의 영향력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초점토론조사 참여자들은 한류를 현재 유행하고 있는 글로벌 문화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또한 한국의 대표적 기업들은 동남아시아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한류를 활용한 마케팅 및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친밀감을 상승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동남아시아에서 한류와 한국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상호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Hallyu has began in Southeast Asia based on the economic and cultural relationship building activities between its countries and Korea since the 1990s. This study searches the possible impact of localization strategies of the Korean companies on the spread of Hallyu in the three countries of Southeast Asia-Vietnam, Thailand, and Indonesia. In addition, the study will consider the marketing strategies using the Hallyu cultural contents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both cultural and business Hallyu. To do so, both aggregated data analysis and focus group discussion(FGD) were conducted. The FGD participants were both men and women in the ages of 20s, 30s, 40s, and 50s in the capital city of each country. The FGD participants understood Hallyu as the current global cultural trend and thought that Hallyu contributes on both nation branding and corporate branding. Since moving into the local areas, the representative Korean companies have tried to increase the favorability of their brands through the effor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marketing strategies using Hallyu contents.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fostering cooperation between Hallyu industry and Korean companies for the ongoing development of both cultural and business Hallyu in South East Asia.

      • KCI등재

        축산업의 환경적 영향과 한국 환경법의 대응 ― 밀집형가축사육시설을 중심으로 ―

        송정은 ( Song Jung-eun ) 한국환경법학회 2017 環境法 硏究 Vol.39 No.1

        덴마크, 뉴질랜드 등 유럽의 일부 국가들은 그들의 국가주력사업이기도 한 축산업에 세금을 추가로 부과하고 있거나 혹은 부과하려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축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하여 환경문제라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축산분야는 대기, 기후변화, 토양, 수질 및 생물다양성 등 사실상 환경의 모든 측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산업적이며 기업화되어 거대한 규모의 양상을 보이고 있는 현대 밀집형가축사육시설(CAFO)은, 밀집된 공간에 동물을 가두어 사육함으로써 발생하는 각종 질병에 따른 공중보건의 문제, 가축동물이 밀집된 장소에서 뿜어내는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암모니아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 및 온실가스 배출문제, 밀집된 사육양식에 필수적일 수밖에 없는 물과 곡물 등의 소비로 인한 물 또는 자연자원의 고갈문제, 자연서식지의 파괴 및 기후변화의 가속화 그리고 생물다양성의 감소에 이르기까지, 환경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발생시키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과밀집 형태의 농장운영을 운송수단, 에너지 등과 함께 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러한 맥락에서 미국은, 청정수질법(CWA) 하에서 점오염원의 하나로서 밀집형가축사육시설(CAFOs)의 개념을 인정하고 EPA가 관련 규칙을 제정하여 CAFO에 대한 규제를 하거나 혹은 각 주에서 규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비록 미국 청정대기법(CAA)에는 CAFO에 관한 개념이 없지만, 한국보다 다소 넓은 범위의 원고적격을 인정하는 미국의 시민 소송제도에 의해 해당시설의 배출에 대한 환경단체 등의 소송을 통한 이의제기로 인하여 사실상 시설에 대한 오염통제가 가능하다. 이에 반해, 한국의 현행 법체계에서는 이러한 과밀집형식의 농장운영이 대기 및 수질오염 등의 배출오염원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상의 개념정립 조차 불비한 상황이다. 현행 「대기환경보전법」의 `사업장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 규제` 규정을 CAFO에 적용하려고 하여도 우리는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법상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CAFO를 하나의 점오염원으로서 통합하여 규제할 수 없는 것이 현재 실정이다. 마찬가지로, 현행 가축분뇨법에서도 CAFO의 개념은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기존 과밀집형가축사육시설들의 규제를 위하여 「대기환경보전법」 `사업장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와 관련된 부분에서 밀집형가축사육시설(CAFO)의 개념을 규정 속에 포함시켜야 한다. 또한 수질환경법인 가축분뇨법에서도 CAFO에 대한 별도의 조항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새로 운영되는 가축사육시설에 대해서는 환경영향평가제도를 통하여 과밀집가축사육을 제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가축사육시설 내에서의 가축의 마릿수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법제 정비가 필요하다. Livestock activities have significant impact on virtually all aspects of the environment, including the atmosphere, climate change, soil, water quality and biodiversity. In particularly, 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CAFOs) and/or factory farming with industrialized and commercialized farming operations are having negative impacts to the whole range of the environmental issues, including problems that create significant threats to public health, pollute the air and water for animals generating enormous amounts of solid, liquid and gaseous wastes. Because Intensive confinement operations are also require large amounts of water and grain, the expansion of factory farming has exacerbated the exhaus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factory farms also undermine biodiversity by facilitating the destruction of natural habitat, accelerating climate change. For those reasons, densely popul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are recognized as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round the world, along with sectors of transportation and energy. CAFO is accepted as one of the non-point sources under the United States Clean Water Act(CWA). The EPA therefore has enacted relevant rules to regulate CAFOs or allows states to enforce regulations. Although there is no concept of CAFO, as in CWA, under the US Clean Air Act(CAA), US citizens` suits, which acknowledge, to some extent, a broader scope of standing to sue than that of Korea, enable environmental groups or citizens to appeal against CAFOs. So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control the pollution of the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it does not even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law on the current legal system in Korea even though factory farming is the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atmospheric and water quality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regulate existing concentrated livestock breedi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concept of CAFO within the `Chapter Ⅱ Regulation of Emissions of Air Pollutants in Places of Business, etc` under the Clean Air Conservation Act of Korea. Furthermore, the provisions related to CAFO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Act on the Management and Use of Livestock Excreta. And, to regulate new livestock breeding facilities to be operate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densely popul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by us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Ultimately the environmental legal system in Korea should be developed to limit the number of livestock in the animal breeding facilities.

      • KCI등재

        유투브(YouTube) 이용자들의 참여에 따른 한류의 확산

        송정은(Jung Eun Song),장원호(Wonho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한류 팬들의 유투브 참여의 의미와 특성 및 참여형태에 따른 한류 팬들 간의 관계형성을 알아보고, 한류 팬의 유투브 참여가 한류의 확산에 미칠 영향력을 고려할 것이다. 나아가 한류 팬의 유투브 참여를 통하여 한류 콘텐츠 다양화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연구방법은 홍콩의 10-20대를 대상으로 집단토론 인터뷰 형식의 파일럿조사와 3차례 이메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홍콩의 조사 참여자들은 유투브에서 한류 관련 동영상 검색을 비롯하여 댓글을 남기거나 자신의 스타를 촬영한 동영상을 제공하는 등 능동적으로 소비하였다. 또한 자기표현 및 한류를 매개로 타인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한류 관련 동영상을 유투브 외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공유하였다. 이와 같이 홍콩의 한류 팬들은 유투브를 매개로 한류를 그들의 일상 속 문화로 수용하며 한류 콘텐츠를 재생산 및 확산하여 한류가 세계적으로 양방향 소통이 되는데 일조하고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consider the participatory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building of the Hong Kong Korean Wave fans on YouTube and to explores the effect of the behaviors in order to spread the Korean Wave. Furthermore, this research seek ways of developing the Korean Wave contents based on fan participation on YouTube. The research conducted both Focus Group Interview and three rounds of email interviews with the Korean Wave fans in Hong Kong.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expressing themselves, replying to other comments, and providing video contents as a fan. Also, the fans delivered the YouTube video contents to other Social Network Services(SNS), including facebook, and online fan pages in order to build ties with friends and other the Korean Wave global fans in daily lives. Their YouTube participation contributes to creating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Korean Wave and its global fans by spreading and re-creating the Korean Wave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