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송윤숙,이경화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2 Global Creative Leader Vol.2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성 수업 경험 유무에 따라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검증함으로써 대학교육에서 창의성 수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창의성 수업 경험에 따라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능력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창의성수업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성, 인지적 학습 역량(지식 및 사고, 창의, 문제해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대학생의 개인배경(성, 학년, 전공)에 따라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셋째, 대학생의 창의성 및 인지적 학습역량의 하위변인 간에 관계는 어떠한 지 등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을 향상시키기에 창의성 수업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적 학습역량과 창의성 간에는 유기적인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창의성 수업 경험을 통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에 입학할 때부터 단계적으로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한다면 학생들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교육에서의 여러 가지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창의성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항공사 패키지 여행 단체수요의 좌석할당 문제

        송윤숙,윤문길 한국항공경영학회 2006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06 No.-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group demand to develop group RM models in airlines. The group demand can be classified into Incentive and Package group demands which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require different RM models.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wo group demand types, and suggest some issues for developing RM models for each group demand.

      • 항공사 단체수요의 좌석할당 및 통제를 위한 수요특성 분석

        송윤숙 ( Yoon Sook Song ) 한국항공대학교 경영연구소 2008 경영연구 Vol.15 No.1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group demand to develop group RM models in airlines. The management of group demand presents the same fundamental challenges as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demand. By including the management of group demand in the overall optimization process, airlines have an excellent opportunity to generate additional revenues. For group demand, there are two types of demand: Incentive and Package group demands. Since the characteristics for the request process and the booking process are distinct between two types of groups, different types of RM models have to be considered for each group demand.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wo group demand types, and suggest some issues for developing RM models for each group demand.

      • KCI등재

        원격화상협력학습이 한국, 호주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송윤숙(Song Yoon Suk),이경화(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5 Global Creative Leader Vol.5 No.1

        최근 창의적 융합인재 육성 및 국제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국제교류수업 및 창의성 함양 수업이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 증진에 초점을 둔 국내외 원격화상협력학습이 한국과 호주의 초등 저학년들의 창의성 향상에 어떤 효과가 있는 지를 실험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창의성은 이경화(2014)의 K-ICT(초등학생용 통합 창의성)를 사용하여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향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자료는 국내 원격화상협력학습에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적용하였으며, 국외 원격화상교류학습에는 AKC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원격화상협력학습을 통해 초등학생의 창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p<.05), 국외 원격화상협력학습 또한 한국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p<.05).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학교에서의 창의성 교육과 국제화를 위해서 국내, 국외의 학교들과 화상협력수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 As the social demands of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with creative competency and globalization have increased, various types of 'Connecting Classrooms' and creativity improvement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ly, this study found out what effects 'AKC (Australia-Korea Connection) as distance collaborative learning focused on fostering creativity can have on facilitation of creativity in early elementary grades in South Korea and Australia. The research used ‘Integrative Creative Test for Young Children (K-ICT)’ by Kyung Hwa Lee (2014) for measuring the creativity, which includes both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For experimental data method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ere used for domestic distance collaborative learning while AKC Program was focused for overseas Collaborative Multimedia Distance Learning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verified that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be improved effectively by using Collaborative Multimedia Distance Learning System (p<.05). Thes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ollaborative Multimedia Distance Learning System with domestic and overseas schools for better in-school creativity education programs and globalization.

      • KCI등재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송윤숙(Yoon Suk Song),박지연(Ji Yeon Park)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와 성과관리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학업성과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여부에 따라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학업성과의 차이가 있는지, 둘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성별,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 학업성과의 평균은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성별과 학년을 비교한 결과 성별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학년이 높을수록 교우와 학습, 학업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은 학업도전, 교우와 학습, 교수와의 경험이 학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제안으로 학년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선후배 학생 간의 활발한 교류 등을 제안하며, 적극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relationship between tacademic challenges,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s, and academic outcome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extracurricular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nd managing performance. The following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The first was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 and academic outcom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second was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year of th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third was whether the academic challenges, the learning with peers, and the experience with professor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had a effect on the academic outcome. As a result of the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verages of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experience with professor, and academic outcome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In a comparison by the gender and grade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while some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grade. It is found that as the grades got higher, the level of learning with peers and academic outcome got higher. It is comprehensively found that academic challenge, learning with peers, and experience with professor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academic outcomes in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extracurricular programs according to grade and enhancement of active exchanges between seniors and juniors are proposed to their enhance academic outcomes, and the need for activ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ion is emphasized with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