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용사 파생 접미사의 심리적 실재성

        송원용 형태론 2019 형태론 Vol.21 No.2

        The results of this thesis on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extractable suffixes in Korean compound adjectiv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adjective-derived suffixes: ''-gut'a, -nada, -jjeokt'a, -deoda, -ropt'a1, -ropt'a2, -seureopt'a, -eumjiksreupt'a, -daratha, -dapt'a1, -dapt'a2, -matt'a, -hada" have a psychological reality that is no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derivative adjectives, and "-eumjikseureopta" and "-jida” are not considered to have the same psychological realities as the corresponding derivative adjectives. Second, among the derivative adjectives to be studied, "k'ott'apt'a, shinsadapt'a, saljida, bangjeungmatt'a, dajeonhada" cannot be said to have the same psychological reality as the derivative adjectives belonging to the same type. The morphological implications from these verific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results strongly support the theoretical premise of morphological research based on the concept of the self-organization of mental lexicon. Among the adjective-deriving suffixes, only "-eumjikseureopta" and "-jida” showed a test result against the theory as a whole. The case of "-eumjikseureopta" was explained through the lexical association of the '-eumjikhada' family and the raising of the internal position in the lexico based on the alternative word formation. The case of "-jida”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self-organization of the lexicon is hampered by the old-fashioned nature of the corresponding compound word and the subject's low familiarity with them. Secondly, the result of the test that "shinsadapt'a, dajeonhada" do not have an independent representation in the lexicon is because of its status as a syntactic unit of '-dapt'a' and '-hada'. The results of the test for "k'ott'apt'a, saljida, bangjeungmatt'a" can be explained by the low lexical familiarity of subjects with those compound words. 한국어 복합형용사에서 추출 가능한 접미사의 심리적 실재성에 대한 본고의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형용사 파생 접미사 가운데 “-궂다, -나12 12 다, -쩍다, -되다, -롭다 , -롭다 , -스럽다, -음직스럽다, -다랗다, -답다 , -답다 , -맞다, -하다”는 대응 파생 형용사와 다르지 않은 심리적 실재성을 가지고, “-음직 하다”와 “-지다”는 대응 파생 형용사와 동일한 심리적 실재성을 가진다고 볼 수 없 다. 둘째, 연구 대상 가운데 “꽃답다, 신사답다, 살지다, 방정맞다, 다정하다”는 동 일한 유형에 속하는 파생형용사와 동일한 심리적 실재성을 가진다고 할 수 없다. 이러한 검정 결과에서 추출할 수 있는 형태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의 검정 결과는 어휘부의 자기조직화라는 개념에 입각한 형태론 연구의 이론적 전제를 강하게 뒷받침한다. 형용사 파생접미사 가운데 ‘-음직스럽다’와 ‘-지다’만 이론적 전제에 반하는 검정 결과를 보였는데, ‘-음직스럽다’는 ‘-음직하다’ 계열의 복합어 와맺는어휘적연관성및대체조어과정에근거한어휘부내적위상제고를통해 서, ‘-지다’의 경우는 대응 복합어가 지닌 의고체적 속성과 해당 복합어들에 대한 피험자들의 낮은 친숙도로 인해 어휘부의 자기조직화가 저해된 결과로 설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신사답다, 다정하다”가 어휘부에 독자적 표상을 가지지 않는 다는 검정 결과는 ‘-답다’와 ‘-하다’가 가진 통사 단위로서의 위상으로 인해 ‘신사답 다’와 ‘다정하다’를 어휘부에 저장할 필요성이 없어진 결과로 설명하였으며, “꽃답 다, 살지다, 방정맞다”에 대한 검정 결과는 해당 복합어에 대한 피험자들의 낮은 어 휘적 친숙도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形態論 硏究의 對象과 術語의 理論的 整合性

        송원용 형태론 2007 형태론 Vol.9 No.2

        Song, Won Yong. 2007. Regarding theoretical coherency of a few morphological terms. Morphology 9.2, 293-310. This paper aims at criticizing several terms of morphological studies in Korean: small phrases, ‘small phrases formation rules’, nonce words, word-formation from syntactic construction and the terminology of [±synchronic]. We start from the fact that the object of morphological studies is provided at a few different levels and in a few ways. We also examine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regulations at each level. We believe that this has the significance of making foundation for win-win research in Korean morphology because it could give us a chance to confirm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standing at opposite sides. 본고의 목적은 형태론 연구의 대상이 여러 층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음을 밝히고 각 층위에서의 규정이 가지는 이론적 함의를 검토함으로써 ‘소구(small phrases)’와 ‘소구 형성 규칙’, ‘임시어’와 ‘통사론적 구성의 단어화’, ‘[±공시성]’이라는 술어들의 이론적 정합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상생적(相生的) 형태론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의미도 부여할 수 있다. 어떤 연구 대상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 성과들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자계 어근 분류 방식의 심리적 실재성

        송원용 형태론 2011 형태론 Vol.13 No.2

        This thesis is dedicated to verifying whether the morphological argument which categorizes sino-Korean roots into deactivated roots, mid-activated roots, and full-activated roots is viable even in the cognitive level through a psycho-linguistic experiment called lexical decision task. The response time to the deactivated roots ‘HWAL-’ and ‘-HYEK’ were each respectively longer than that of ‘HWALTONG’ and ‘KAYHYEK’. In the case of the mid-activated roots, the response time to ‘KA-’ did not differ from that of ‘KAKENMWUL’. However, the response time to ‘-IN’ was longer than that of ‘HANKWUKIN’. In the case of the full-activated roots, the response time to ‘KACEN-’ was shorter than that of ‘KACEN EPCHEY’, but the response time to ‘KWUKCEY-’ and ‘TAYBWUK-’ each respectively did not differ from that of ‘KWUKCEY SAHOY’ and ‘TAYBWUK CENGCHAYK’. The lexiconolog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ponse time reveals that deactivated roots does not possess independent lexical symbol in the lexicon, and mid-activated roots are divided into roots that possess independent lexical symbol in the lexicon and those that do not. All full-activated roots possess independent lexical symbol in the lexicon, and, on the condition that it gains limited self-reliance, may constitute syntactic composition. The result of the psychological experiment advocates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ategorizing sino-Korean roots into deactivated roots, mid-activated roots, and full-activated roots. Thus, the classification of sino-Korean roots based on its morphological properties is supported not only by the morphological argument of its technical validity but also by its psychological substantiality. 본고는 국어의 한자계 어근을 비활성어근, 약활성어근, 강활성어근으로 분류하는 형태론적 논의가 인지적 차원에서도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어휘판단과제라는 심리언어학적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활성어근 ‘활-’, ‘-혁’에 대한 반응시간은 각각 ‘활동’, ‘개혁’에 대한 반응시간보다 길었다. 약활성어근의 경우 ‘가-’에 대한 반응시간은 ‘가건물’에 대한 반응시간과 차이가 없지만, ‘-인’에 대한 반응시간은 ‘한국인’에 대한 반응시간보다 길었다. 강활성어근의 경우는 ‘가전-’에 대한 반응시간은 ‘가전 업체’에 대한 반응시간보다 짧았지만, ‘국제-’와 ‘대북-’에 대한 반응시간은 각각 ‘국제 사회’, ‘대북 정책’에 대한 반응시간과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수행된 어휘부학적 해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활성어근은 어휘부에 독자적 어휘 표상을 가지지 않는다. 약활성어근은 어휘부에 독자적 어휘 표상을 가지는 부류와 그렇지 않은 부류로 나뉜다. 강활성어근은 모두 어휘부에 독자적 어휘 표상을 가지며 제한적 자립성을 획득하면 통사적 구성에 참여하기도 한다. 국어의 한자계 어근을 비활성어근, 약활성어근, 강활성어근으로 나누는 분류 체계는 부분적으로 심리학적 실험 결과의 지지를 받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