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 서부 신곡 지역에 분포하는 초염기성암의 광물조성 및 지구화학

        송석환,송윤섭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1 자원환경지질 Vol.34 No.4

        충남 서부 신곡 및 계월 두 초염기성 암체가 선캠브리아기 경기 편마암 복합체내에서 격리된 안구상 암체로서 산출되고 있다. 이 암체들은 이 지역의 우세한 구조선 반향인 NINE 방향과 평행하게 수백 m 신장되어 분포한다. 이 암석들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사문암화 및 활석화 되었고 잔쇄 반상조직이 두드러지며 등립질-모자이크조직 및 원생입상조직을 보이기도 한다. 광물 조성상 듀나이트 또는 하즈버자이트로 변질 및 변성정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기도 하지만 높은 포스테라이트 조성의 감람석($Fo_{0.88-0.93}$), 엔스테타이트 조성의 사방휘석($En_{0.93-0.97}$), 트래모라이트질에서 체마카이트질의 각섬석 및 투각섬석을 주로 포함하고 첨정석, 사문석, 녹리석, 방해석, 자철석, 금운모, 활석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이런 특징들은 주변의 각섬석, 흑운모, 사장석, 알칼리 장석, 석영을 포함하는 편마암 복합체와 뚜렸이 구분이 된다. 지화학적으로 이 암석들은 높은 마그네슘비(Mg>90.38) 및 전이 원소(Ni=595-2480, Cr=1010-4400, Co=36-120 ppm) 함량과 낮은 알칼리 원소($Na_{2}O$<0.3, $K_{2}O$<0.11, $Al_{2}O_3$<2.95 wt%) 함량 및 결핍된 비호정성 원소들의 빈도가 특징적이다. 이런 특징들은 주변암이 보이는 것들(Mg<83.69, $Na_{2}O$ = 1.02-3.42 wt%, $K_{2}O$=0.67-5.65 wt%, $Al_{2}O_3$ = 9.15-16.86 wt%, Ni< 435 ppm, Cr < 1440 ppm, Co < 59 ppm, 부화된 비호정 성원소함량)과 차이를 보인다. 이 암체들의 암석학적, 지화학적, 광물학적 결과들은 충남 인접지역 및 전세계의 지구조적으로 노출된 알파인형의 초염기성암과 유사하다. 계산된 지질온도는 이 암석이 상부녹색편암상에서 백립암상에 해당되는 온도범위에서 변성작용을 받았음을 암시한다. In the Singok area, western part of Chungcheongnam-Do, two ultramafic ma~ses, Singok mass and Kaewol mass, occur as isolated lenticular bodies in the Precambrian Kyeonggi gneiss complex. The masses extend for several hundred meter to NNE direction, parallel to the main fault line of this area. The rocks are dunite and harzburgite, but partially and absolutely serpentinized. They dominantly show porphyroclastic and recrystallized textures with equigranular-mosaic and protogranular textures. In spite of differences among the alteration and metamorphism, the ultramafic masses are characterized by varying amounts of high fosteritic olivine ($Fo_{0.88-0.93}$), magnesian pyroxene ($En_{0.93-0.97}$), and tremolitic to tschermakitic hornblende with minor spinel, serpentine, chlorite, calcite, magnetite, phlogopite and talc. It is compared with adjacent gneiss complex containing amphibole, biotite, plagioclase, alkali-feldspar and quartz. Geochemically, these rocks show high magnesium number (Mg>90.38), and transitional element (Ni=595-2480, Cr==IOlO-4400, Co=36-120 ppm), low alkali element ($Na_{2}O$<0.3, $K_{2}O$<0.11, $Al_{2}O_3$<2.95 wt%) and depleted incompatible element contents, which is compared with adjacent rocks (Mg < 83.69, $Na_{2}O$=1.02-3.42 wt%, $K_{2}O$=O.67-5.65 wt%, $Al_{2}O_3$=9.15-16.86 wt%, Ni < 435 ppm, Cr < 1440 ppm, Co<59 ppm, enriched incompatible element contents). Overall characteristics of ultramafic rocks from the Singok and Kaewol masses are similar to the those of adjacent ultramafic bodies in Chungnam with worldwide orogenic related Alpine type ultramalic rocks. Calculated geothermometries suggest that the ultramafic rocks have experienced metamorphism in the condition ranging from the greenschist facies to granulite facies.

      • KCI등재

        금산(錦山) 대성탄철지성(大成炭鐵地城) 산성폐수(酸性廢水)에 의한 오염(汚染)

        송석환,민일식,김명희,이현구,Song, Suckhwan,Min, Ell Sik,Kim, Myung Hee,Lee, Hyun K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97 자원환경지질 Vol.30 No.2

        This study is for extent of polluted area by acid mine drainage from the Daeseong coal mine, Keumsan. Black shales of the Changri Formation containing the Daeseong coal mine are geochemically similar to those from the North America as well as Europe. Comparing with geochemical compositions and relative ratios, coal bearing and non-coal bearing soils are similar to the stream sediments influenced and not influnced by the acid mine drainage, respectively. These characteristics suggest that acidification of the soils and of the stream sediments are related to the the coal bearing black shale. Soil waters beneath the coal bearing soil have low pH and high cation contents than those beneath non-coal bearing soil, suggestive of extractions of cations with increasing oxidizations within the soils. Surface waters show that those influenced by the acid mine drainage are low pH, and have high $SO_4{^{2-}}$, $Mg^{2+}$, $Fe^{2+}$, Mn and slightly lower DO, suggesting that heavy pollutions have been progressed in these area. Geochemical comparisons between the polluted surface water and adjacent black shales suggest that pollutions of the surface water are related to the black shales.

      • KCI등재

        충남 서부 서산층군 내 해포석의 산출

        송석환,임호주,이우석,Song, Suckhwan,Lim, Koju,Lee, Woose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2

        본 연구는 충남 서부 서산 층군 내 송악 편암 층과 평택 혼성 편마암 층내에서 산출되는 해포석의 산출 및 이의 광물학적 조사에 대해서이다. 해포석의 모암은 백운암질암이고 열수 변질 및 변성 작용의 영향을 받았다. 중생대 화강암류가 백운암질 석회암 열수 변질의 주요 근원으로 예상된다. 일부의 투각섬석 석면이 해포석과 같이 공존한다. 대표적인 해포석 및 투각섬석 시료들이 엽리, 균열, 열극에서 채취되었고, 이러한 시료는 편광현미경, XRD, SEM, TEM으로 관찰, 분석되었다. 해포석은 주로 열수의 통로로서 추측되는 균열을 따라 산출되며, 투각섬석은 주로 백운암질암의 엽리 및 열극을 따라 산출되고 석면형 또는 비석면형으로서 산출된다. 일부의 해포석은 투각섬석 석면과 공존하며 산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결과 들은 연구 지역의 백운암질암 내 해포석은 화강암류와 같은 산성암체로부터 유입된 열수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해포석과 공존하는 투각섬석도 해포석의 형성과정과 유사한 지질환경에서 형성되었음을 암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mineralogy of sepiolites occurred within the carbonaceous rocks of Songak schist and Pyeongtaek migmatitic gneiss of Precambrian Seosan group, in the western part of Chungnam. Host rocks of the sepiolite were dolomitic rocks and have experienced hydrothermal alteration and metamorphism. Mesozoic granite is assumed as a main source of hydrothermal alteration for the dolomitic rocks. Some of the tremolite asbestos coexist with the sepiolites. Representative sepiolite and tremolit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layers cracks or fractures of the dolomitic rocks and/or examined with microscope with microscope, XRD, SEM and TEM. Sepiolites are mainly recognized along the cracks assumed as pathways of hydrothermal solution. Tremolites are mainly found at layers or cracks of the dolomitic rocks and occur as asbestos as well as non-asbestos forms.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 tremolite asbestos were coexisted with the sepiolites.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occurrences of sepiolites within the dolomitic rocks mainly result in the hydrothermal alteration and the fluid from the acidic rocks, possibly granites. It also suggests that coexisting tremolite asbestos were formed by similar geological environment.

      • KCI등재

        금산 지역 들깨와 참깨의 비호정성 원소 함량 비교

        송석환,김일출 한국작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4 No.1

        3 토양별 조성 비교에서 식물체 종류에 관계없이 천매암 및 화강암 지역이 높은 원소가, 셰일 지역은 낮은 원소가 많았다. 각 식물체별 토양 함량 비교는 대부분 원소가 들깨 지역에서 높았다. 상관관계에서 정의 관계가 들깨 재배지는 화강암 지역이, 참깨 재배지는 셰일 지역이 우세하였다. 토양별 절대 함량 관계와 토양 내 원소 함량 사이의 상관 관계는 토양내 특정 원소를 함유하는 광물의 함유 비율 탓으로 해석된다. 식물체에 대한 3 토양별 비교에서 들깨와 참깨 모두, 셰일 지역이 높았고, 화강암 지역이 낮았다. 들깨와 참깨에 대한 토양별 비교에서, 참깨가 들깨보다 높은 원소가 많았고, 특히 참깨 재배지의 화강암 지역이 높은 원소가 많았다. 토양 차이를 무시한 각 식물체 내, 상, 하부의 절대 함량 비교에서 지역 및 식물의 종에 관계없이 대부분 비호정 원소가 하부에서 높음을, 공히 Rb, Sr은 상부가 높음을 암시한다. 상, 하부 각각의 절대 함량에 대한 종간의 비교 시 상, 하부 공히 Y, Zr, Rb는 들깨가, Ta, Nb, Th, U 에서는 참깨가 높음을 암시한다. 연구 지역 식물체들의 종간, 부분별 원소 흡수 정도는 식물체들의 선택적 흡수 정도의 차이, 뿌리 주변의 물리, 화학적 변화, 식물체내 부분별 축척되는 비율의 차이 등으로 설명이 될 수 있을 듯하다. 상관관계에서 들깨 및 참깨 모두 천매암 지역이 정의 관계가 우세하였다. 이는 토양 내 이 들 성분을 구성하거나, 교대하는 광물과, 이들의 2차 광물인 점토광물의 함량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설명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식물체들의 선택적 흡수 정도 차이, 뿌리 주변의 물리, 화학적 변화, 식물체 부분별 축척되는 비율의 차이 등으로 설명 될 수 있다. 각 지역별 전체 평균값에서 토양과 식물의 상, 하부 평균 함량의 비(토양/식물체)는 식물의 종 및 토양의 차이에 관계없이 모든 HFS와 LFS 중 Cs는 수 배에서 수 백 배 차이로 토양이, LFS 중 Sr은 수 배 차이로 식물체가 높음을 암시한다. 3 종류의 토양과 각각 식물체의 상, 하부 평균값의 함량 비교에서, 들깨는 천매암 지역의 Y, Zr, Hf, Ta, Nb, Rb, Sr, 셰일 지역의 Th, U, Ba, Cs, 참깨는 천매암 지역의 Y, Zr, Hf, Rb, Sr, Ba, Cs, 셰일 지역의 Ta, Nb, Th, U가 토양 조성에 가까웠다. 토양과 식물체의 상, 하부 함량 비의 비교 시, 들깨 및 참깨 공히, 3 비교 토양의 상, 하부 모두에서, 화강암 지역이 제일 커서, 화강암 지역의 토양과 식물체의 함량 차이가 제일 큼을 암시한다. 3 토양과 식물체의 부분별 함량 비교에서, 참깨, 들깨 공히 하부는 천매암 지역에서, 토양의 조성에 가까움을 암시한다. This study is for incompatible element contents of Perilla frutescens and Sesamum indicum from the Keumsan: biotite granite, phyllite and shale areas. In the soils, high elements are shown in the granite and phyllite areas, and in the areas of the Perilla frutescens. Positive correlations are distinctive within the granite for the Perilla frutescens, but the shale for the Sesamum indicum. These relationships can be explained with relative propositions of minerals containing the incompatible element. In the plants, high elements are shown in the shale and the Sesamum indicum are high in the comparisons of the same soil types. The low parts are mainly high. Regardless of the soil types, the lower and upper parts, respectively, are high in the Y, Zr and Rb contents for the Perilla frutescens, but, Ta, Nb, Th and U contents for the Sesamum indicum. Positive correlations are distinctive within plants of the phyllite. Comparing with the soil types, all HFS and Cs contents of the LFS in the plants are low with differences of several to hundred times, but high in the Sr contents with differences of several times. In the comparisons between plants and soil types, Y, Zr, Hf, Ta, Nb, Rb, and Sr of the phyllite and Th, U, Ba and Cs of the shale for the Perilla frutescens as well as Y, Zr, Hf, Rb, Sr, Ba and Cs of the phyllite and Ta, Nb, Th and U of the shale for the Sesamum indicum are chemically similar to the soils. In the comparisons of the each parts for the plant types, differences with the soils are big in the granite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