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음란물 체험에 관한 연구

        남영옥(南榮玉),연주(宋娟株)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이들의 음란물 체험에 관해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연구참여자 아동의 음란물 체험에 따른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경험을 이해하여, 이들의 음란물 접촉 규제와 더불어 음란물 체험 폐해를 감소시키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 중에서 음란물 접촉 경험이 있다고 보고한 아동 10명(남학생 6명, 여학생 4명)을 심층 면담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은 타인에 의해 음란물에 접촉하고 있었고, 친구들과 함께 음란물을 보거나 혼자 숨어서 음란물에 접촉하고 있었다. 음란물 접촉 시에는 스마트 폰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음란물에도 차이가 있었다. 이들은 음란물에 접촉하게 되면 대부분 계속 보게 되고, 점점 빠져들게 되면서, 음란물에서 빠져 나오고 싶지만 그럴 수 없어 힘들어하기도 하였으며, 음란물에서 본 대로 실현하고 싶어 했다. 음란물을 보다 스마트 폰에 중독되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다른 아동들의 음란물로 인한 성적 일탈 행동을 보며 음란물에 간접적으로도 노출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행동을 교사나 부모에게 알리지 않고 있었으며, 음란물을 보는 자신들에 대해 알지 못하는 어른들과의 접촉점마저 대부분 끊어져 있었다. 이들은 음란물로 인해 미래 사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이러한 사회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자신들을 도와줄 것을 요청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with sexually explicit material, making an in-depth interview of 6<SUP>th</SUP> grade students, and to provide them with strategies to prevent them from watching this materia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 selected 6<SUP>th</SUP> grade students. Aft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ther data,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by apply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y had experiences with sexually explicit material either with friends or privately at home. Most students used cell phone rather than a computer, and there were different types of material pre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Once they had a chance to experience the material, they developed a habit of watching the material. Although they were willing to stop watching this material, they had trouble with breaking their habits. When students witnessed sexual behavior of their classmates related to this material, they have kept it secret from parents and teachers. This suggests that further legislation or regulations to restrict sexually explicit material is needed.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then discussed.

      • KCI등재후보

        장애평가 기준과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 욕구

        김용득,송남영,장기성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eds and their filling up ratios of disabled people on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related to the severity of their disabilities. In this study, residential care services include respite care services, small group homes and long-stay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ational survey data which produced by the prior national survey for estimating needed amounts of national social service provisions.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needs of disabled people. The first is that the severer group of disabled people revealed the higher ratio of the needs on the services of respite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long-stay institutions. The second is that the filling up ratios of residential care service needs showed significantly low. The third is that the severer group of disabled people who have needs on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showed the lower filling up ratios.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government policy on residential care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should consider setting up public assessment systems on the needs for residential care services, inter-related provision schemes among respite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large institutions and transitional services for the residential service users being preferred to live independently with community support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에 대한 장애인의 욕구와 욕구의 미충족 정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장애인거주시설은 원래의 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가정을 대신할 수 있는 생활 장소를 제공하고, 개인의 욕구에 기초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로서, 우리나라 시설유형 중에서는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생활기능을 평가하는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장애정도에 따른 거주시설서비스 욕구와 미충족 정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거주시설서비스 수요 파악을 위한 합리적 기준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욕구에 기반한 서비스 공급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단일 장애평가 기준과 복합적 평가 기준 모두에서 거주시설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비율은 장애정도가 중증인 장애인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경향은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정부의 거주시설서비스 정책은 세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중증장애인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서비스 이용자격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의 상호연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통합적인 거주시설서비스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 거주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 중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해 자립생활이 가능한 장애인에 대한 이주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학대피해장애인 지원체계 연구 – 경기도지역 학대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이호선,송남영,정한별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7 No.57

        본 연구는 학대피해 장애인에 대한 신고·대응, 피해회복 지원과 지원종결 후 모니터링에 이르는 전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권익옹호기관 내부의 문서와 피해장애인과 지원자의 심층면접에 기초한 사례연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지원단계별 생태체계모델을 분석틀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미시체계 차원에서, 본인이 학대 발생 대응·신고에 어려움이 있으며, 지원과정에서 도전적 행동, 정신장애인 등으로 이용에 제한·배제되고 있었다. 둘째, 외부체계 차원에서, 공적·사적 관계에 의한 학대 발생 징후 발견이 중요하며, 지원과정에서 응급분리처·중간경유지·주거 등의 부족으로 지원 수준에 상당한 격차가 있으며, 피해자의 심리·정서적 지원이 매우 부족하며, 종결 후 재학대 방지 방안이 시급하였다. 셋째, 거시체계 차원에서, 학대 발견이 어려운 사각지대가 존재하며, 지원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이 불명확하고 협조가 부족하며, 예산·인력·지원기관 수가 부족하며, 지원종결 후 지역사회의 자립생활 인프라가 매우 미흡하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학대피해 장애인 지원체계의 실효성을 제고 할 정책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인과의 의사소통 증진에의 쟁점 이해

        김진우,송남영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4 No.2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staff in the residential care facilities understand on communication with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service.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ervice providers on communication with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l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communication drawing board and pictures there needs to approach not from the developer but the right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irdly, there also needs to speculatively consider visual materials such as pictures and cartoons. Fourthly, there needs to control in accordance to the degree of disabilities in developing questionaries and deciding the size of information given. Through this research it suggest further understanding on the way of communication with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effectiveness in providing the information, and specific ways of approaches in enhancing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이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거주서비스 제공과정별로 필요한 시각자료를 개발하는과정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쟁점들을 드러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인에게 있어서의의사소통의 의미를 살펴보고 장애인거주시설 직원과 이용자들에 대해 지적장애인과의 의사소통에 대한인식과 개발과정에서 마련된 시각자료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면접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원들의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가 낮게 나타났고, 둘째, 시각자료 개발과정에서 개발자의 의견과 달리 많은 부분에서 이용자는 달리 이해하고 있어 이용자 중심의 시각자료개발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셋째, 삽화등 시각자료와 함께 활용될 질문지 등 문자자료 또한 적절한 정보량을 담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방식 이해, 삽화 등 시각자료 활용 및 의사소통지원을 위한I-Card 작성 및 보급이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