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모델 개발

        송낙현,정인수,이찬식,Song, Nak-Hyun,Jung, In-Su,Lee, Chan-Sik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2 No.3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동주택의 세대수는 향후 10년 이내에 350만 세대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될 전망이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리모델링이 활성화되고 있다. 주차장확대는 리모델링에 대한 요구사항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주차장확대 중 지하주차장에서 공동주택의 주동으로 진입하는 방법(이하 '주동진입방법'이라고 함)은 기존 엘리베이터의 수직 확장, 주차공간의 대소, 공사기간과 공사비 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확대 시 단지특성, 주동과 주차장의 연계성, 주민의 요구 등에 대한 정확한 평가 없이 경험적인 방법으로 주동진입방법이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과 절차에 따라 주동진입방법을 선정하여 지하주차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주차장확대 방식과 주동진입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주동진입방법별 특징을 분석하였고 주동진입방법 선정 영향요인을 도출하였다. 영향요인은 시공성, 편의성, 경제성이 도출되었다. 그 후 AHP기법을 적용하여 선정된 영향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가중치 산정 결과 편의성이 가장 높은 값을 받아 주동 진입방법 선정에 제일 중요한 고려사항임을 밝혔다. 또 리모델링이 가능한 단지를 선정하여 주동진입방법별 현장적용성을 평가한 후 단지에 가장 적합한 주동진입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노후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리모델링 공사시 주동진입방법 선택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apartment complexes in Korea that are over 20 years old will rapidly increase to more than 3,500,000. Consequently, the remodeling of these buildings is being revitalized throughout the country. Among the requirements for such remodeling, the expansion of parking lots has considerable weight. When enlarging a parking lot, the access route from an underground floor to the main building (i.e.,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determines the possibility of vertical enlargement for elevators, the size of the parking lot, the construction period, and construction expenses, etc. When enlarg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complex, the access between the main building and the parking lot, as well as the inhabitants' requirements for entering the main building, are generally determined based on the designer's experience, rather than on the exact estimation of the peculiarity of the complex. In order to resolve such a problem, when enlarg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a systematic and rational method is needed for selecting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In this study, a selection model is derived for the method of selecting an access route into the main building whe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 order to provide a reasonable decision-making process. A research method was investigated for determining the access route into the main building when enlarging a parking lot. On the basis of research carried ou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were analyzed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the access route were deduced. The affecting factors selected were construction efficiency, convenience efficiency and economic efficiency. Weight values were then estimated for the selected affecting factors by applying the AHP method. Results showed that convenience efficiency, which gained the highest valu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The most suitabl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was also suggested after estimating the applicability of the site by selecting complexes with remodeling possibility.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a reference for selecting the means of entry into the main building whe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parking lot particularly for older apartment complexe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원 및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와 개선

        송낙현(Nak-Hyun Song),정동열(Dong-yul Jung),조정윤(Jeong-Yoon Cho)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의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에 대해 교원과 학생이 인식하는 성과와 개선 사항을 구명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사업에 참여하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원과 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유망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와 개선에 대해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디. 첫째, 교원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로 전반적인 인력양성에 대한 인식, 운영 성과, 교육과정 운영, 학생 진로 및 성장 지원, 교원의 전문성 제고 등에 대해서 성과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성과로 인력양성에서의 학생 지원, 인력양성의 만족도 및 학생 자신의 변화 부문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력양성 과정에 참여한 학생의 변화로 신기술 분야 기초 및 실무 등에 대한 전공역량이 높아졌고, 신기술 분야에 대한 직업 선택과 취업 등에 대한 진로개발, 전공분야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의지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개선으로 각 부문별 1순위로 인력양성의 목적 설정은 신기술 분야 실무학습, 인력양성의 차별화는 다양한 형태의 일기반 학습 시행, 인력양성의 양적 확대 개선은 신기술 분야의 확대, 질적 확대 개선 사항은 신기술 분야 산업체 등과 협업 확대, 운영 개선으로는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이 인식하는 미래유망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의 개선사항으로는 인력양성에 대한 기대는 보통 이상 수준이었다. 학생들이 제시한 구체적인 개선사항으로 신기술 분야 고졸인력 양성을 위해 학생중심 및 실무중심의 수업 운영, 신기술 분야 산업체 취업을 위한 다양한 정보 제공과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chievements and improvements perceived by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high school graduates in the field of future promising new technologies i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ers perceived high performance in recognition of manpower training, operational performance, curriculum operation, student career and growth support, and enhancement of teacher expertise. Seco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ived student support, satisfaction, and student s own change as above average level. On the other hand, students showed increased interest and willingness in major competencies, career development and employment in new technology fields, and learning in major fields. Third, with the improvement recognized by teachers, the purpose of manpower nurturing was practical learning in the new technology field, differentiation was various types of work-based learning, the expansion of manpower nurturing was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operational improvement was the expansion of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operation. Fourth, as improvement items, students suggested the operation of student-centered and practical-oriented classe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and various information provision and support for employment in industries in the new technology field.

      • KCI등재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건물모델링

        조홍범 ( Hong Beom Cho ),조우석 ( Woo Sug Cho ),박준구 ( Jun Ku Park ),송낙현 ( Nak Hyun Song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24 No.2

        건물의 3차원 모델링은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3차원 건물 모델링은 대부분 항공사진측량기술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진행되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항공라이다(LiDAR) 데이터를 이용한 건물모델링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한 대부분의 3차원 건물모델링 연구는 보간과정을 통하여 격자구조로 변환하거나 수치지도 또는 항공영상 등의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을 통하여 건물을 모델링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점 데이터의 격자구조로의 변환 및 이종 데이터간의 융합 등의 방법을 배제하고 항공라이다 데이터만을 이용한 건물의 자동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건물로 분류된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옥트리 분할을 기반으로 3차원 공간상에서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패치(patch)를 구성하고, 동일한 속성을 갖는 패치들을 병합하여 건물의 구성요소를 추출한다. 추출되어진 건물의 구성요소를 대표하는 모델을 생성하여 전체적인 건물의 3차원 모델을 구성한다. 항공라이다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다양한 형태의 건물 모델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The 3D building modeling is one of crucial components in constructing 3D geospatial information. The existing methods for 3D building modeling depend mainly on manual photogrammetric processes, which indeed take great amount of time and efforts.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on 3D building modeling using aerial LiDAR data have been actively performed to aim at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3D building modeling methods. Either techniques with interpolated grid data or data fusion with digital map and images have been investigated in most of existing researches on 3D building modeling with aerial LiDAR data. The paper proposed a method of 3D building modeling with LiDAR data only. Firstly, octree-based segmentation is applied recursively to LiDAR data classified as buildings in 3D space until there are no more LiDAR points to be segmented. Once octree-based segmentation is completed, each segmented patch is thereafter merged together based on its geometric spatial characteristics. Secondly, building model components are created with merged patches. Finally, a 3D building model is generated and composed with building model compon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real LiDAR data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was capable of modeling various types of 3D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