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철 터널 형태에 따른 2.4GHz 대역 무선영상 신호의 페이딩 특성

        송기홍,Song, Ki-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논문에서는 지하철용 2.4GHz대 무선영상 전송 신호의 신호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호 변화 현상이 크게 발생하는 지하철역 플랫폼을 중심으로 신호 레벨을 측정하여 지하철 역 내부 구조에 따른 페이딩 특성을 분석한다. 측정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직선역 구간에서 다수의 강한 다중경로파가 생성되어 곡선역 구간에 비해 신호 레벨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경로손실 지수는 직선역 구간인 신흥역에서 2.5, 곡선역 구간인 판암역과 대동역에서는 각각 1.6와 1.9으로 나타났다. 50% 지점의 페이드 깊이와 넓이는 직선역 구간인 신흥역에서 가장 심하였으며, 레벨 교차율은 짧은 페이드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판암역에서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신호 성능에 영향을 주는 페이딩 현상은 곡선역에 비해 직선역에서 더욱 심하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surements of wireless image signal in subway tunnels at 2.45GHz. Measurements have been conducted in 3 subway stations with different types; a straight tunnel and two curved tunnels. As a analysis result for the measured data, we found that the signal level inside straight tunnel by the strong multipath waves fluctuate deeply compared to the curved tunnel. The path loss exponent for the Shin-hung station with the straight tunnel is 2.5, those for the Pan-am and Dae-dong station with curved tunnels are 1.6 and 1.9, respectively. The fade depth and width at 50% point became relatively serious at Shin-hung station, the level crossing rate inside the Pan-am station is larger than the other station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ading phenomena affect to the signal performance generate seriously at straight tunnel compared to the curved tunnel.

      • KCI등재

        다양한 장애물에 대한 60GHz 대역에서의 투과 및 반사 특성 측정

        송기홍,Song, Ki-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초고속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인 60GHz 밀리미터파대역의 전파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직접 파를 제외한 반사파 및 투과파에 대한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평균 전력 및 표준 편차를 분석하였다. 먼저, 장애물 투과에 의한 수신 신호 세기를 분석 한 결과, 철문, 동판 등은 약 40dB이상의 투과 손실치를 나타내어 투과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고무, 스티로폼 및 유리등이 약 3dB의 투과 손실치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입사각이 60도 인 경우 장애물에 의한 반사파 수신신호세기는 파티션에서의 손실치가 약 22dB로서 크게 나타났으며, 벽면 반사 손실치가 약 6dB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반사파와 투과파가 서비스 영역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WPAN과 같은 피코셀 이동통신망의 설계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measurements conducted at the 60GHz suitable to provide a high speed wide band service. Mean received power and standard deviation are calculated and us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radio wave propagation to the various obstacles betwe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at the frequency.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nsmitted signal strength by the steel door and copper plate are about 40dB lower than in free space, those by the rubber plate, glass and styroform are about 3dB lower than in free space. Also, the re(looted signal strengths at the 60 degree grazing angle show that in case by the partition is about 23dB lower, by the surface of a wall is about 6dB lower than by the copper plate. The presented results can be used for the design of 60 GHz picocell communication network that the reflected and transmitted waves affect to the service area.

      • KCI등재

        60GHz 대역에서의 전파 환경별 경로손실 및 도래각 측정

        송기홍,Song, Ki-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12

        피코셀 무선 통신용으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는 밀리미터 파대의 전파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60GHz대역에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손실 지수 및 표준편차를 제시하였다. 수신 신호 세기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경로파의 도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래각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 환경에서 경로손실 지수는 자유공간에서의 경로손실 지수인 2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신호세기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바닥면의 재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다중 경로파의 도래각 분포는 송수신기가 위치한 주변 환경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즉, 체육관, 운동장 등과 같이 측정 환경이 넓은 곳에서는 직접파와 지면 반사파를 제외한 다중경로파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복도에서는 양쪽 벽면에 의한 다중경로파도 수신기에 도래하는 것을 수 있다. 60GHz대의 주파수 특성상 반사파의 크기는 직접파의 크기에 비해 미약하여 수신 신호 세기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the measured path loss exponents and standard deviations using measured data at 60GHz to analyze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millimeter wave bands having great demand for picocellular communications. In addition the angle of arrival(AOA)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arrival direction of muitipath waves affect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As results of analysis, the pathloss exponents in each environment are found to be lower than 2 for free space pathloss exponent. They were determined with the qualities of bottom materials affecting signal strength. The angles of arrival by multipath waves were different with the circumference structures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That is, the multipath waves excluding direct and ground reflected wave were difficult to find in wide space such a gymnasium and playground, however the wall multipath waves were found to arrive at receiver in the corridor. The multipath waves at 60GHz can be known to hardly affect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because of weak signals compared with direct wave.

      • KCI등재

        WiBro 및 LTE를 이용한 재난안전무선통신망용 셀 수량 추정

        송기홍,Song, Ki-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6

        본 연구에서는 WiBro 및 LTE방식을 이용한 재난안전무선통신망 설계에 필요한 링크 버짓을 계산하여 전국망 구축에 필요한 셀 수량을 파악하며, 그 결과에 대한 상호 비교를 통하여 경제적 관점에서의 효율적인 통신방식을 제시한다. 계산 결과, 전국망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WiBro방식은 LTE방식에 비해 상향링크에 대한 PAPR과 전송 방식차이 및 SINR차로 인해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두 배 이상 많은 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전국망 구축시 동일 대역을 이용할 경우 WiBro에 비해 LTE방식이 경제적인 면과 기술 및 시장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calculates estimated number of cell sites to build a nationwide PPDR(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 network of WiBro and LTE technical methods through a link budget calculation, presents the efficient technical method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the number of cell sites using WiBro and LTE. As a calculation results, the number of cell sites using WiBro method are larger than twice compared to that of LTE method on the same frequency bands, due to the differences of uplink PAPR, uplink transmission technique and SINR. On the basis of the result, LTE mothod is considered as a more effective technology than the WiBro method on the economic, technical and marketing points of views on building a nationwide network.

      • KCI등재

        8 GHz 대역에서의 마이크로셀용 전파전파 예측 모델 개발

        송기홍,Song, Ki-Hong 한국전자파학회 200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7 No.12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은 무선 서비스의 수요가 많은 대역이지만 주로 장거리 고정 통신용으로 이용되어 전파 모델에 대한 연구가 VHF/UHF 대역보다 적게 이루어졌으나, 최근 마이크로웨이브 대역을 이용한 이동 통신 서비스가 증가됨에 따라 보다 정확성 있는 전파 예측 모델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동 전파 환경에서 신뢰성있는 전파 예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파 환경에서 신호의 반사, 회절 및 산란에 따른 전파 특성에 대한 측정 및 분석이 필요하다. 제시된 8 GHz 대역용 전파 예측 모델은 가시거리 영역과 비가시거리 영역에 맞는 모델을 구분하여 개발된다. 가시거리 영역용 예측 모델은 직접파, 지면 반사파 및 도로 양쪽 건물 반사파에 의한 해석적 결과에 측정된 경로 손실 지수를 적용하여 신호 세기를 예측하고, 비가시거리 영역용 예측 모델은 회절 후 신호 변화 현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수신 전력을 예측한다. Microwave(M/W) bands, though having great demand in wireless services, have been used mostly for long distance communications. As a result, the studies on their mobile radio models have been made less than on VHF/UHF. However, a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with M/W bands have been increasing, the development of a more accurate prediction model of the mobile radio environments has been demanded. The development of a reliable radio prediction model in the mobile radio environments requires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dio waves according to reflection, diffraction and scattering of radio signals in various mobile radio environments. The proposed 8 GHz band radio prediction models have 2 different categories: (1) LOS model and (2) non-LOS model. The LOS model predicts signal strength using the analytic result with measured pathless exponents for the waves direct and reflected by ground and buildings, and the non-LOS model suggests a prediction model of received power by calculating the signal variations after diffraction.

      • KCI등재

        배전용 특고압 케이블 접속재의 다변수 측정 분석 연구

        송기홍(Ki-Hong Song),배영철(Young-Chul Bae),김이곤(Yi-Gon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2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1

        고전압 CV 케이블은 편의성과 도시적 미관으로 인해 지하에 널리 설치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케이블 사고는 조립불량과 자연 열화로 인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압 케이블 접속부의 최적 진단을 위한 다변수 측정 방법을 제안하고 그 기술적 유용성을 검증한다. 다변수 측정은 부분방전과 함께 진동과 열화 상을 동시에 사용하여 케이블 연결 부품의 성능 저하를 진단하기 위한 기술이다. 다변수 측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차폐 실험실에서 가속열화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은 케이블 접속부의 열화를 12가지 유형으로 정의하여 각 열화 샘플을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진동신호 방법은 열화 진행과의 상관관계가 있는 결함 종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열화상 검사의 경우 일부 결함의 진행과 관련하여 일관성이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현장에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High voltage CV cables have been widely installed underground due to their convenience and urban aesthetics. However, cable accidents have occurred frequently owing to poor construction and natural degradations.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measure the multi parameter measurement for optimum diagnostics of high voltage cable connection parts and verifies its technical usefulness. This measurement is intended to diagnose degradations of cable connection parts by using simultaneous vibration and thermography as well as partial discharge(PD). The experiment in a shielded laborator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multi parameter measurement. The experiment defined the degradation of the cable connection part as 12 types, and produced each degradation sample. As a result of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correlation of vibration signals with regard to progress in some defects. In the case of thermography, the coherence with regard to the progress of some defects was found. We figure that the proposed method would be useful also in the noise environment.

      • KCI등재

        DVB-H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도심 지역에서의 수신 신호 성능 측정

        송기홍(Ki-Hong Song) 한국전자파학회 2007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18 No.10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효율성을 높이는 단일 주파수 망(SFN: Single Frequency Network)의 구현에 이용되는 DVB-H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심 환경에서 코드율, 버스트 크기, FFT 모드 및 변조 방식 등 DVB-H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른 수신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측정은 MPE-FEC 기술을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동시에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변조 방식은 QPSK, 1/2 code rate, 2 k FFT 모드 및 512 버스트 크기일 때 가장 우수한 신호 특성을 보였다. 또한, 송신국간 최대 거리를 만족하는 1/8 보호 구간의 경우 최대 거리를 만족하지 못하는 1/32 보호 구간에 의한 수신 성능 및 단일 사이트에 의한 수신 성능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상파 휴대 방송 서비스의 성능 개선과 방송 품질 향상에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presents the measured signal performances in the urban environment for the DVB-H parameters such as code rate, burst size, FFT mode and modulation technique to analyze the DVB-H signal performance avaible for the embodiment of single frequency network to improve the frequency efficiency.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the case for applying and non-applying MPE-FEC technique simultaneously. Results show that the most outstanding performance are found in the case of QPSK modulation, 1/2 code rate, 2 k FFT mode and 512 burst size. In addition, the signal performance by the SFN with 1/8 guard interval becomes superiour in comparision with the measured data from each site and the data from SFN with 1/32 guard interval. The analysis of the results can be instru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e signal performance and broadcasting quality for the terrestrial digital mobile broadcasting service.

      • KCI등재
      • 밀결합 다중프로세서 운영체제의 실행큐에서의 소프트웨어 병목현상을 완화하는 알고리즘

        송기홍(Ki-Hong Song),이경훈(Kyoung-Hoon Yi),유성욱(Sung-Wook Ryu),박명순(Myong-Soon Park) 한국정보과학회 199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1

        밀결합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공유되는 데이타들을 여러 프로세서들이 접근하려고할 때 H/W 병목현상과 S/W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공유 데이타의 한 예가 실행큐(run queue) 또는 준비큐(ready queue)이다. 프로세서 갯수가 적을 때에는 이러한 병목현상이 시스템의 성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대규모의 프로세서를 갖는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 성능을 감소시킨다. 실행큐 전체에 대하여 lock 을 거는, 기존의 실행큐 접근 알고리즘보다 더 병행하여(concurrently), 즉 각각의 우선순위 큐별로 lock을 걸고 실행 큐를 접근하여 소프트웨어 병목현상을 원화하는 방법을 설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