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듀이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자연주의 언어관

        송광일 ( Song¸ Gwang-il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2

        이 논문은 세 가지 방식으로 전개된다. 첫째는 듀이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자연주의 언어관의 가족 유사성을 드러낸다. 둘째는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의 자연화 방법과 자연사 및 삶의 형태 개념을 기술한다. 셋째는 듀이의 발생론적 접근법과 경험ㆍ문화 개념을 재구성한다. 듀이와 후기 비트겐슈타인에 관한 일련의 논의는 그들이 자연주의적 기질을 공유하고 있기에, ‘객관적 상대주의’나 ‘메타철학적 상대주의’라기보다 ‘객관주의 아니면 상대주의’를 지양한 ‘개방적 자연주의’ 혹은 ‘문화적 자연주의’를 추구한다는 점을 드러냄으로써 마무리된다. This thesis is developed in three ways. First reveals family resemblance between Dewey and Later Wittgenstein’s naturalism view of language. The second describes Later Wittgenstein’s the naturalizing method of language and the concept of natural history and form of life. Third reconstructs Dewey’s genetic method of approach and notion of experience, culture. Dewey and Later Wittgenstein shares a naturalistic disposition. So the results of this series of discussion confirms that Dewey and Later Wittgenstein pursues ‘liberal naturalism’ or ‘cultural naturalism’ beyond conflicts of ‘objectivism or relativism’ rather than ‘objective relativism’ ‘metaphilosophical relativism’.

      • KCI등재

        듀이의 자연주의와 교육철학 - 객관주의와 상대주의를 넘어서 -

        송광일 ( Song Gwang-il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듀이의 ‘자연주의 교육철학’이 교육의 오래된 이분법적 대립의 구도를 종식ㆍ지양하는 실마리를 함축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는 데 있다. 필자는 듀이가 주장한 자연주의 교육철학의 윤곽을 그려내기 위해 듀이의 ‘창발’적 세계관을 기술하고, 과학ㆍ철학ㆍ교육이 ‘유기적 학문’이라는 점을 검토한다. 이러한 듀이의 창발적 세계관과 유기적 학문에 대한 기술과 검토를 통해서 듀이의 교육관을 ‘자연주의 교육철학’으로 해석한다. 자연주의 교육철학에 대한 해석은 듀이가 ‘경험적으로 책임 있는 교육철학’을 역설했다는 점을 드러내기 위해서다. 이 일련의 논의 과정의 결과는 듀이가 ‘객관주의 아니면 상대주의’라는 이론적 대립을 넘어 제3의 진영에서 사유하는 ‘창발적 자연주의자’라는 점을 드러냄으로써 갈무리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at Dewey’s ‘naturalistic philosophy of education’ implies a clue to end or avoid the structure of dichotomous confrontation in old education. I describe Dewey’s world from an ‘emergence’ point of view to outline Dewey’s asserted naturalistic educational philosophy, and examine the fact that science, philosophy, and education are ‘organic disciplines’. Dewey’s view of education is interpreted as a ‘naturalistic philosophy of education’ through the describes and reviews of Dewey’s emergence point of view and organic disciplines. The interpretation of the naturalistic philosophy of education is to reveal that Dewey emphasized ‘empirically responsible philosoph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eries of discussion confirms that Dewey is a ‘emergent naturalist’ who thinks in a third position beyond the theoretical conflicts of ‘objectivism or relativism’.

      • KCI등재

        듀이의 자연화된 지성 개념

        송광일(Gwang Il Song) 철학연구회 2012 哲學硏究 Vol.0 No.97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Dewey`s naturalized conception of ``intelligence``, and show how it offers a third alternative to both the extremes of modern rationalist way of thinking and 20th century postmodern one. Modern philosophy no doubt made a crucial contribution in overcoming the limits of ancient and medieval ways of thinking. Nevertheless, philosophical method and concept of universal reason by modern philosophers has turned out to be neither successful nor useful in explaining the ever-changing nature of the world. On the other hand, while being successful in revealing the vacuity of the modern conception of reason, postmodern thinkers became subject to another severe criticism that they dismiss the task of substituting the disintegrated modern territory. According to Dewey, what is needed in the ever-changing world is intelligence, which comprehends overall human(neither divine nor a priori) capacity to cope well with the world. Dewey`s naturalized conception of intelligence grounded on his reconstructed notion of lived experience not only disintegrates the vacuity of the modern conception of reason, but offers a third way to go beyond the nihilistic anxiety produced by postmodern thinking. In this sense, Dewey might well be named a post-postmodern philosopher with his naturalized conception of intelligence.

      • KCI등재

        듀이와 신체화된 상상력

        송광일 ( Gwang-il S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필자는 제2세대 인지과학의 탐구 성과를 수용한 체험주의의 시각을 원용하여 듀이의 `경험`을 `신체화된 경험`으로, 그리고 `상상력`을 `신체화된 상상력`으로 더 구체화시킬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작업은 듀이의 철학이 비정합적이라는 이유로 그의 풍부한 통찰력에 가해진 비난과 무시를 해소시킬 뿐만 아니라 그의 철학의 현재성과 가능성, 그리고 중요성을 보여줄 것이다. 상상력에 대한 듀이의 설명이 그의 `연속성` 개념처럼 구체적이지 않고 파편적이지만 듀이의 상상력 개념은 존슨의 상상력 이론을 통해 새롭게 해명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논문의 첫 번째 목적은 듀이의 하나의 경험 개념을 서술하는 것이고, 또 하나의 목적은 경험에서 비롯되는 듀이의 상상력 개념을 존슨의 상상력 이론과 연결하여 신체화된 상상력으로 재해석하여 확장하는 데 있다. In this paper, I try to re-explicate Dewey`s conception of imagination as a form of “embodied imagination” from an experientialist perspective. Experientialism has offered a convincing account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imagination, drawing heavily on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second generation cognitive science. And I believe that it may provide a more concrete way to interpret Dewey`s notion of imagination, whereby opening a better way to amend the misleading criticisms and neglects on Dewey`s philosophical insights, mostly caused by the fuzziness and ambiguities of Dewey`s writings. Johnson has offered an empirical account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embodied experience,” in terms of “image schema” and “metaphorical mappings.” I take Johnson`s conception of “the embodied imagination” offers a new key to re-interpreting Dewey`s conception of imagination in a more coherent and concrete terms, thereby showing the workability of Dewey`s naturalistic view of experience in a contemporary philosophical venue.

      • KCI등재

        자연과 인간의 공존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철학적 모색

        송광일(Gwang-il Song),남미순(Mi-Soon Nam) 한국교육철학회 2023 교육철학 Vol.87 No.-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naturalist perspective that aims for organic relations between nature and humans by conducting philosophical investigation for the coexistence and sustainability of nature and humans. Naturalism suggests that we should avoid the subject-oriented and anthropocentric worldview and shift from the instrumental paradigm to the compatibility paradigm in terms of nature. The compatibility paradigm is the view that nature, culture, and humans are not separated but closely connected. This perspective will present the necessity of ecological sensitivity for the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s and the direction of ecologic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