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기과열지역의 공간패턴 모형화

        손학기(Hakgi Sohn)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1

        투기과열지역은 투기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각종 부동산대책의 주요 대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 가격변동의 공간패턴을 모형화함으로써 투기과열지역의 공간패턴을 제안하고자 한다. 부동산 가격은 합리적 또는 적응적 소유자ㆍ수요자의 경제행위에 의해서 결정되고, 가격변동의 공간패턴은 이들의 경제행위 경향에 의해서 형성된다고 모형화하였다. 일정 지역에 적응적 소유자와 수요자가 다수인 경우, 이 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가격상승 폭이 높고 주변 부동산과 가격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가격변동 핫스팟 패턴으로 정의하였다. 투기과열지역은 최대의 미래 기대이익을 얻고자하는 적응적 소유자와 수요자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이 지역의 공간패턴은 가격변동 핫스팟 패턴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Overheated speculation areas which have high potential of becoming speculative are the target of many real estate policies.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spatial patterns of house price volatility and suggests a spatial pattern of overheated speculation areas. House prices are determined by economic behaviors of sellers and buyers who have rational or adaptive expectations. Spatial patterns of house price volatility are formed by tendencies of their economic behavior. If there is a majority of adaptive sellers and buyers in an area, it may appear as a “hotspot” by showing high volatility of house prices and simultaneous price increases. Overheated speculation areas are formed by adaptive sellers and buyers who want to realize maximum expectation profit, therefore these areas patterns are defined as hotspot patterns of price volatility.

      • KCI등재

        부동산 가격변동 핫스팟 탐색을 위한 공간통계기법

        손학기(Hakgi Sohn),박기호(Keyho Park)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3

        투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일정지역 내의 대다수 경제주체가 적응적 소유자와 수요자일 때 형성된다. 이 지역의 가격변동은 타 지역에 비해서 가격상승 폭이 크고, 개별 부동산들의 주변 부동산들과 가격변동의 방향이 동질적인 특성을 가진 가격변동 핫스팟 패턴을 형성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투기과열지역을 정량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가격변동 핫스팟 탐색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가격변동 핫스팟 탐색법은 크게 2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단계는 정규모형의 공간스캔통계량을 이용하여 타 지역에 비해 높은 가격상승이 이루어진 공간클러스터를 탐색한다. 둘째 단계는 국지 모란 I를 이용하여 공간클러스터 내의 개별부동산들이 그 주변 부동산과의 가격변동 방향이 동질적인가, 즉 공간연관성을 가지는가를 평가한다. 개발된 방법을 공간적으로는 참여정부에서 부동산 문제의 중심으로 알려진 서울시 강남·서초·송파구에 적용하였고, 시간적으로는 참여정부 주요 부동산 대책의 하나인 10.20 대책을 전후로 한 2003년 8,9,10,11월의 가격변동 자료에 적용하였다. 10.29 대책발표 전인 8, 9월에는 개포동을 중심으로 가격변동 핫스팟이 발견되었고, 10월은 10.29 대책에 의해서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11월에는 가격변동 콜드스팟이 발견되었다. 이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기존 단순 시각화만을 통해서 탐색할 수 없었던 투기과열지역을 정량적 방법을 통해서 시공간적으로 탐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ethod for exploring hotspot patterns of house price volatility where there is a high fluctuation in price and homogeneity of direction of price volatility. These patterns are formed when the majority of householders in an area show an adaptive tendency in their decision making.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hat consists of two analytical parts. The first part uses spatial scan statistics to detect spatial clusters of houses with a positive range of price volatility. The second part utilizes local Moran’s I to evaluate the homogeneity of direction of price volatility within each cluster. The method is applied to the areas of Gangnam-Gu, Seocho-Gu, and Songpa-Gu in Seoul from August to November of 2003;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of Korea designated these areas and this period as the most speculativ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area around Gaepo-Dong was as a hotspot before the Government’s anti-speculative 10.29 policy in 2003; the house prices in the same area stabilized in October, 2003 and the area was identified as a coldspot in December, 2003.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suggested method enables exploration of hotspot of house price volatility at micro spatial scales which had not been detected by visual analysis.

      • KCI등재

        경관분석을 위한 누적가시빈도도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과천시를 대상으로 -

        손학기 ( Sohn Hak Gi ),정윤희 ( Jeong Yoon Hee ),임승빈 ( Im Seung Bin ) 한국경관학회 2013 한국경관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별도로 조망점을 선정할 필요 없이 대상지 내 모든 지점을 조망점으로 하는 ‘누적가시빈도도’를 작성하고, 시지각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거리를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경관계획에 필요한 객관적, 합리적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경관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정확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경관현황조사 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누적가시빈도도의 적정 해상도를 200m로 도출하였다. 둘째, 도시 전체의 누적가시빈도도를 작성하여 도시 내에서 시각적 민감도가 높은 지역을 실증적이고, 가시적으로 도출하였다. 셋째, 거리 가중치를 고려한 누적가시빈도도는 단순 누적가 시빈도도에 비해 전체적인 변별력을 다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지각강도를 좌우하는 요소로 ‘거리’만을 고려하였는데, 향후 지면의 수직·수평 경사각 등을 고려하여 경관민감도를 작성하기 위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being used to establish the landscape plan. For achieving the objective, this study proposed the method to make a cumulative- viewshed frequency map without having to select a viewp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er resolution of the cumulative- viewshed frequency map was proposed 200m DEM considering the resolution of the source data and the its application. Second, this study proved the area having the high visible frequency empirically. Third, the cumulative-viewshed frequency map considering the viewing distance had less discrimination than the simple map. This study considered only the viewing-distance, but we will study on the intensity of visual perception considering an incidence angle, elevation angle and depression angle additionally.

      • KCI우수등재
      •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산지관리 기본 방향 연구

        손학기(Sohn Hakgi),최준영(Choi Junyeong),석현덕(Seok Hyundeok)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Vol.- No.-

        Background of Research A mountainous area is defined as a sloping landform that rapidly stretches from a plain. Recently, a Master Plan for Unified North Korea has been established without consideration of mountainous areas of North Korea. To achieve a completely comprehensive strategy for a unified Korean peninsula, a plan for use and conservation of mountainous areas needs to be integrated. Therefore, a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irections for management of mountainous areas in North Korea. Method of Research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collect research materials: management systems for mountainous areas in South and North Korea, present conditions of mountainous areas including land use, and experiences in land development of South Korea"s government. To complement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and GIS analysis were applied. The validity of collected data was examined through experts meetings.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government of North Korea conserves mountainous areas by focusing on limited areas. It lacks a management system to control or prevent agricultural land use of mountainous areas. But it has jus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fforestation as a way to prevent natural disaster. The administration does not base its mountainous area management on scientific backgrounds. It has difficulties controlling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forest land by dividing purposes and agents of management. The North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has unique ge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it has middle-high mountainous areas and highlands, which connect South and North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needed to intensively protect these areas for biodiversity because they are central areas for a Korean peninsular eco-network. These areas, which are mainly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s, have to be reforested to prevent natural disasters.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introduced a classification system for mountain areas and reversed forest, dealing with excessive agricultural land use of mountainous areas. However, continuous management for mountainous areas was adopted late after forest had been damaged thoughtlessly. Successful afforestation in South Korea is attributed not only to citizens" participation but also to provision of alternative fuel resources. According to an infrastructure plan, it is presumed that further deforestation or disconnection of forest would not happen. But afforestation plans might take in consideration a way that uses ranges of mountain, connecting cities and forests. Based on previous results, four basic directions are drawn for mountainous areas after Korean unification: first, land use after conservation of mountainous areas; second, delineation of mountainous areas; third, classification of mountainous areas; lastly, integration of management systems.

      • KCI등재

        남북한의 산지관리제도 비교와 통일 이후 정책 방향

        손학기 ( Sohn Hakgi ),최준영 ( Choi Junyeong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7 북한학연구 Vol.13 No.1

        통일 이후 북한 산지에서 발생하는 여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산지관리제도의 이질성으로 발생하게 되는 통일의 여러 장애요소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의 산지관리제도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일 이후 산지관리제도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두었다. 남북한 산지관리제도 차이는 토지소유제도와 이에 따른 산지 공간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통일 이후에는 북한 산지를 점차적으로 사유화하는 동시에 남한의 산지관리 경험을 참고하여 북한 산지관리제도 전반을 점진적으로 고도화 하여야 한다. 이때 산지를 점차적으로 사유화하기 위해서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북한 산지에 대한 공간범위 파악과 산지이용 구분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is time for research to proactively respond to various changes that occur in the North Korean mountains after unification and to lessen the variety of obstacles that result from the heterogeneity of management institu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up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in terms of the mountainous area management system, and based on this, to present the basic direction of the mountainous area management system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s a result, the differences in the mountainous area management system of South and North Korea seem to originate from the land ownership system and the awareness of mountainous area accordingly. Therefore, while gradually privatizing the North Korean mountains after unification, the unified government should enhance the overall management system of the North Korean mountainous area by degrees, referring to South Korea`s experiences from mountainous area management. At the same time, the unified government should previously determine the extent of and the classification of forestland within North Korea`s mountainous area before privatizing North Korea`s Mountainous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