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 기술 기반 암 특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체중, 활동량 변화 및 순응도 분석

        손지은,김종광,황은진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 학술발표회 Vol.2021 No.9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 기반 암 특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신체 활동량 및 체중의 변화와 프로그램 메뉴별 순응도 및 선호도를 분석해 유방암 환자의 디지털 기술 기반 개인화 운동 프로그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디지털 기술 기반 암 특화 운동 프로그램을 90일 이상 사용한 113명의 유방암 환자 중 신체 활동량과 체중의 변화를 보기 위한 대상(n=30)과 프로그램 메뉴별 순응도 및 선호도를 보기 위한 대상(n=33)으로 나누었다. 그룹은 연령에 따라 나누었는데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고려해 50세를 기준으로 하였고(OG>,=50yr, YG<50yr) 기간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기간을 총 3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였다(프로그램 시작-4주, 5-8주, 9-12주). 신체 활동량은 일일 총 걸음수, 빠른 걸음수, 보통 걸음수, 달리기수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프로그램 메뉴별 순응도는 ‘운동 일기’, ‘동영상 따라하기’, ‘자유 운동’ 메뉴를 통해 수집된 운동 시간, 운동 강도로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메뉴별 선호도는 PV, 즉 디지털 앱 페이지별 방문 횟수를 일일 기준으로 산출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기술 기반 암 특화 운동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신체 활동량 중 일일 총 걸음수와 보통 걸음수의 1-2구간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고(<.05), 1-3구간에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50세 이상의 그룹에서는 총 걸음수와 빠른 걸음수가 1-2구간 유의하게 증가되었고(<.05), 1-3구간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기간 동안 체중은 모든 그룹에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메뉴별 순응도와 선호도는 50세 이상 그룹에서 동영상 따라하기를, 50세 미만 그룹에서 자유 운동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운동 일기’는 월 3-5회의 PV 수준을 나타냈고 3개의 프로그램 메뉴 중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12주간 적용한 본 프로그램은 유방암 환자의 신체 활동량, 체중 관리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프로그램 시작 후 8주까지 50세 이상 그룹에서의 신체 활동량 증량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전체 대상자의 8주 이후 나타난 신체 활동량 감소 양상은 비대면 관리의 한계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면 상담과 같은 관리 도구를 프로그램 적용 6-8주경 병행할 것을 제안한다. 본 프로그램의 메뉴별 순응도와 선호도는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로 암 특화 운동 프로그램은 연령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50세 이상 대상은 동영상을 제공하되 8주 이상 장기간 적용 시 보완책을 마련하고, 50세 미만 대상은 ‘자유 운동’과 같은 플랫폼 특화 메뉴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도시공사 유형의 공기업 안전관리 전략수립에 대한 연구

        손지은,윤영근,이재윤,오태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주택 및 토지 개발과 시설물 유지관리를 주 업무로 하는 도시공사 유형의 공기업은 다양한 재난 및 안전관리의 책무를 지고 있으며 최근 관련분야 법률의 전면 개정 및 강화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체계적 안전경영을 위한 전략수립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AHP 설문 분석을 통해 안전경영책임계획 상의 추진전략 및 세부과제 도출과 재난안전관리 운영목표 수립을 위한 합리적인 프로세스 및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시사점으로 안전관리 체계구축과 ICT 기반 안전 기술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공공부문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의 감사방향에 대한 소고(小考) - 부산지역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

        손지은,송성화 감사연구원 2019 감사논집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talizing social economy policy and to explore the directions of audit for sustainable social economic activation polic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he public institutions as an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as a sustainable factor of the social economy.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status of social economy activities in public institutions in Busan, diagnose the roles of these agencies as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and present directions for auditing for sustainable social econom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urposefulness through the self-audit organiz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citize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central auditing organization to establish an audit direction in terms of legality and efficiency for social economy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on among various public agencies in the region. 이 연구는 공공기관이 시행하고 있는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 추진 현황을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을 위한 감사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경제의 기능적 측면, 지역 발전, 거버넌스 체계와 사회적 경제의 지속가능 요인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부산시 및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 경제 활동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한 사회적 경제의 지속가능한발전을 위해서는 자체감사기구를 통한 합목적성 측면에서의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러 공공기관 간 협업을 통한 사회적 경제 활동에 대해서는 중앙감사기구가 적법성과 효율성 관점에서 감사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적․ 제도적 측면과 규범적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 활성화 정책의 감사 기준 설정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인 성인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 분포

        손지은,손용학,전사일,민원기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4 No.1

        Background Among heterogeneous low density lipoprotein(LDL), small dense LDL particles can penetrate vascular intima easier andthey are more susceptible to oxidation in vitro. These general characteristics are thought to make small dense LDLparticles more atherogenic. And small dense LDL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coronary heart disease, but thedistribution of mean LDL particle size is not well described in Koreans.Methods LDL subfraction profiles in 93 Korean adult males were estimated by the LipoPrint LDL System(Quantimetrix Corp.,Redondo Beach, CA, USA). LDL subclass pattern were designated pattern A when mean LDL particle size was greaterthan 268Å, pattern B when it was smaller than 265Å, and pattern I when it was between 265Å and 268Å.Results The mean LDL particle size was 265.1±4.7Åin Korean adult males and the prevalence of pattern A, pattern B, andpattern I were 30.1%, 39.8%, and 30.1%, respectively. Mean LDL particle siz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rum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r=-0.667, P〈0.001)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rum concentrations of HDL cholesterol(r=0.479,P〈0.001) bu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oncentrations of cholesterol. -연구배경 저밀도 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은 다양한 크기 , 밀도, 조성을 가지는 입자로 혈중에 분포하며 이중 smal dense LDL은 저밀도 지단백 수용체 친화도가 낮고 proteoglycan 친화도가 높아 혈관 내벽을 잘 통과하며 산화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화학적 특징으로 인해 smal dense LDL은 죽상경화를 잘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증가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 하지만 저밀도 지단백 입자의 분포는 한국인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본 연구에서는 LipoPrint LDL System을 이용하여 93명(50.1±7.5 세)의 한국인 성인 남자의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방 법 공복 후 채혈한 혈청 검체를 이용하여 LipoPrint LDL System(Quantimetrix Corp., Redondo Beach, CA, USA)으로 저밀도 지단백 아형(subclass; subfraction)을 분석하였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에 따라 저밀도 지단백 표현형을 A형, I (intermediate)형, B형으로 분류하였다.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가 268 Å 보다 큰 경우 A형, 265 Å에서 268 Å 사이인 경우 I형, 265 Å 보다 작은 경우 B형으로 분류하였다.결 과 한국인 성인 남자의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265.1±4.7 Å이었으며 A형, I형, B형의 분포는 각각 30.1%, 30.1%, 39.8%이었다. 그리고 평균 저밀도 지단백 입자 크기는 중성지방 (Triglyceride; TG) 농도에 음의 상관관계 (r=-0.667, P〈0.001)를 보였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농도와는 양의 상관관계 (r=0.479, P〈0.001)를 보였지만,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농도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 KCI등재

        깜박이는 운동영상 기반의 주파수와 깜박임 비율에 따른 MNS와SSVEP 활성도 연구

        손지은,임현미,구정훈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8 의공학회지 Vol.39 No.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Mirror Neuron System(MNS) and Steady State Visual Evoked Potential(SSVEP) according to frequency and duty rate of the flickering action video. Eight subjec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timulus was consisted of a three-minute black and a flickering action video and they were repeatedly presented every six seconds. We used 50%, 75% of duty rate for each frequency 7.5 Hz and 15 Hz, and we also used the non-flickering condition and rest condition. As a result, the Mu suppression was the largest at 7. 5Hz and 50% duty rate and the SSVEP power was higher at 15 Hz than 7.5 Hz.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아파트 주거선호 특성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시를 중심으로 -

        손지은,이범웅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As the preference for apartments has increased due to various advantages of apartments housing such as the convenience and comfort, the supply of apartments took the lead. In addition the apartments were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the Korean housing market was transformed from the supplier-led market to the consumer-led market, and in the housing market environment where the supply exceeded the demand, consumers demand differentiated hous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festyl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nalyzes how it affects characteristic factors of apartments housing preferences. Moreover, in order to make efficient use of real estate, it will try to help a little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by arranging characteristic factors of apartments housing preferences to be supplied in the future and presenting future directions and suggestions of housing policy. The reason why the qualitative demand for housing is increasing is that the accumulation of capital makes the human emotions more diversified and differentiated in the modern age of material abundance. Since changes in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demographic structure affect lifestyle changes and lifestyle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marketing, it is important to continually monitor the lifestyle of housing consumers is necessa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ifestyl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nalyzes how it affects characteristic factors of apartments housing preferences. Moreover, in order to make efficient use of real estate, it will try to help a little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by arranging characteristic factors of apartments housing preferences to be supplied in the future and presenting future directions and suggestions of housing policy. 우리나라 주택중 아파트의 편의성과 쾌적함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아파트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아파트 공급이 주를 이루고 있다. 1970년이후 아파트공급이 대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공급자 주도 시장에서 소비자 주도 시장으로 변모했으며,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주택 시장 환경에서 소비자는 차별화 된 주택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인구 통계 학적 특징에 따른 생활 양식을 조사하고 아파트 주택 선호의 특성 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또한 부동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미래에 공급 될 주택 선호 특성을 정리하고 주택에 대한 향후 방향 및 제안을 제시함으로써 한국 주택 시장에 조금 이나마 도움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