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hy Little Girl”: A Critical Ethnographic Study of A Four-year Old Child`s Shyness in Peer Relationships and Peer Play

        손은애 ( Eunae S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prevailing beliefs or judgments about young children`s shyness and to recognize the unique social roles and social relationships that shy children establish in the peer group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cial actions and the social relationships of one 4-year-old girl who was regarded as socially incompetent due to her shyness. Mainly through 8-monthparticipant observations of her play with peers, I challenge the stereotypical notion of shy children`s quietness and following actions during play as a passive act. Rather than passive participation or incompetence, this shy girl`s reticence was a very active and reflective deliberation on playing contexts and interactions with the peers. Moreover, her following actions were actually indispensably important and influential roles in social collaborative relationships during peer play. Drawing on Bakhtin`s(1981) term responsive understanding in his dialogism, I propose that young children be reconsidered as a dialogic follower. With the term a dialogic follower, I highlight a shy child`s active, responsive, and reflective roles while engaging in dialogic interactions with their peers.

      • KCI등재

        문화적 역동성을 지닌 유아의 사회 세계 탐색을 위한 분석적 관점 제안:

        손은애(Eun ae S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이론적 연구는 현재까지 전통 발달심리학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주류의 유아사회성 관련 연구에 대한 대안적인 분석틀로써 바흐친의 언어학을 제안한다. 먼저 유아 사회성과 사회성발달 관련 연구들의 역사적 흐름을 개관하고 현재의 학계가 가진 연구의 방향성, 즉 유아의 주체성과 맥락적 이해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토대로 바흐친의 이론의 적절성을 주장한다. 바흐친의 언어학에서의 기본적인 가정과 개념들—대화성, 혼성, 단일어, 다어성, 시, 소설, 카니발로스크 등을—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한 후, 이론의 전체적인 개념과 개념들을 적용하여 현 유아교육현장과 연구에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바흐친의 소설이라는 개념의 은유를 통해 다양한 유아들의 사회성과 관계맺음을 반영하고 더욱 촉진하는 유아교육 현장과 학계의 모습을 그리며, 유아교사와 연구자가 유아들의 사회성의 본질인 다양성을 존중할 것을 주장한다. This theoretical paper proposes Bakhtin’s theory of language as an alternative analytic lens for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social worlds to the mainstream academic field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hich has been predominantly relying on developmental psychology. Based on the overview of chronological history of research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development, this study shows the recent needs of exploring children’s social lives through a perspective that values children’s agency and helps contextual understandings. Then, this study provides a thorough explanation of Baktin’s theory of language including such concepts as dialogism, hibridization, unitary language, heteroglossia, poetry, novel, and carnivalosque. Finally, applying Bakhtin’s theory, this study presents the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and research.

      • KCI등재

        Values of Bodily Play in Young Children s Peer Culture: Re-conceptualizi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손은애(Eun ae S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는 유아들의 또래놀이와 문화 안에서 몸(신체)적인 놀이와 몸(신체)적인 상호작용 이 어떠한 역할과 의미를 갖는지를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그동안 유아사회성과 관련하여 간과되어 왔던 교육학적, 본질적 가치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8개월간의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통해 사회성이 낮다고 여겨지는 만 4세 남아의 자유놀이시간을 집중적으로 참여관찰하였고, 담임교사와의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아가 즐겨하는 몸 적인 놀이와 몸 적인 상호작용이 또래놀이와 문화 안에서 매우 자연스럽고, 성공적이며, 즐거움을 유발하는 사회적 소통방법임을 발견하였다. 또한, 언어로 마음을 표현하기, 언어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언어로 상호작용하기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는 교육현장에 유아들의 몸 적인 놀이와 상호작용을 비롯해 또래와의 놀이와 관계맺음의 다양한 방식들이 가치충돌 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바흐친(1981, 1984)의 단일어(unitary language)와 이어성(Heterolossia)의 개념을 통해 교육현장 내의 이러한 가치들의 동적인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독백적 언어(monologic language)와 카니발로스크(carnivalosque)의 개념으로부터 유아교육에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s and the meanings of young children s bodily play and bodily interactions in their peer culture. Based on the 8 months of ethnographic study,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s of 4-year-old children s free play time and teacher interviews, this study articulates the values in young children s bodily play and bodily interactions in their social lives, which were very enjoyable and successfully modes of language that naturally elicit peers laughter and resolve any possible conflicts during play. Discussing the emphasis in the dominant discourses of social competence, which is frequently put on children s verbal expressions and interactions, this study depicts the existing conflictive value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regarding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Applying Bakhtin s notions of monologic language and carnivalosque, this study call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heightened appreciation of young children s bodily play, which is deeply associated with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Paradigm Shif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손은애 ( Eunae S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6 No.2

        This study utilizes Michel Foucault’s “genealogy of knowledge” to investigate the shifts in the discours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it retraces modern views of children and key concepts of modern ECE philosophy such as child-centeredness and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Examining the current paradigm shifts in the fiel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Although paradigm shifts in the field affected logical systems or people’s perspectives on children and education, conventional philosophers’ ideological foundations were not entirely denied. Along with the modern shifts, the field was developed based on a scientific foundation that focused on children. Postmodernism reveals social inequality and injustice through interpreting intrinsic assumptions in the modern view of children and key concepts in the field’s discourses. The field’s historical trend of inclining to scientific studies of children psychology and development tends to obstruct early childhood educators’ broader field of vision in socio-cultural contexts. As social factors, paradigms, and the educational field have inseparable relationships,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provide broader views on education such as sociological or political perspectives on ECE. Thu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ll ge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a with consideration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construct their stances on education.

      • ‘교사로서 수행한 질적 연구 경험’에 대한 유아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손은애 ( Son Eunae ) 대경교육학회 2022 교육학논총 Vol.43 No.2

        본 연구는 유아 교사들이 교사로서 수행한 질적 연구를 통해 어떠한 교육 실천에서의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였는지 심층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질적 연구 경험이 있는 현직 유치원 교사 4명으로 현재 자신들의 교육 실천과 연결된 질적 연구 경험을 성찰하는 질문들을 토대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으며, 생성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 교사들은 질적 연구과정에서 자신을 새롭게 마주하며 자신의 부족한 부분과 자신의 선입견과 편견들을 깨닫게 되었고, 이와 같은 교사들의 성찰적 경험은 유아들의 시선에 맞추어 유아들의 삶과 놀이를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개방적이고 발현적인 특성의 질적 연구는 유아 교사들에게 다양한 관점이 갖는 가치를 느끼는 경험이었고, 이를 통해 타인에 대한 포용성과 삶을 대하는 유연한 태도를 갖게 되었으며, 진정한 소통의 관계를 경험하고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유아 교사는 적극적인 지식 생성자로서의 경험을 통해 유아들과 함께 성장해가는 자신을 느끼며, 교사로서의 주체적 자아를 실현해가는 삶을 살아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changes and growth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in educational practic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as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four kindergarten teachers with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ased on questions reflecting on the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 linked to their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and the genera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newly faced themselves in the qualitative research process and realized their shortcomings and prejudices, and these reflective experiences of teachers understood young children’s lives and plays depending on children’s perspectives. In addition, the open and generative nature of qualitative research made it an experienc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feel the value of various perspectives, thereby having a flexible attitude toward others and dealing with life, and helping to experience and form a genuine communicative relationship with ot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living a life of realizing their subjective self as teachers, feeling themselves growing with young children through their experience as an active knowledge generator.

      • KCI등재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성 인식에 대한 재고: “여자애 같은” 남아들의 또래 유능성에 대한 비판적 문화기술지 연구

        손은애(Son, Eun 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내성적 유아’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에 주목하고, 실제로 ‘내성적인’ 남아들에게서 문제시 되어지는 사회적 특성들이 또래놀이와 관계 내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사회성과 관련된 성규범적 문화신념과 가치들에 대하여 비판적 관점에서 재고해보고자 하였다. 미국 동남부의 한 어린이집 에서의 만4세 유아반의 담임교사와 유아들, 특히 내성적인 이유로 사회성이 부족하 다고 여겨졌던 2명의 남아를 관심유아로 선정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참여관찰과 면담을 주 자료수집 방법으로 비판적 문화기술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내성적인’ 남아들의 “약한 자기주장성”과 “여린 민감성”과 같은 사회적 특성들이 ‘내성적인’ 여아에 비해 더욱 문제시되어지며, 이를 극복하도록 조력하는 담임교사의 교수적인 접근들이 일상에서 종종 이루어짐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또래 와의 놀이에서 ‘내성적인’ 남아들의 이와 같은 특성들은 놀이에서의 갈등을 줄이고, 또래들과의 관계에서 상호간의 어울림과 공존을 조화롭게 생성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즉, ‘내성적인’ 남아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함축은 성규범적 문화신념과 가치가 내포된 것으로, 반성적 그리고 비판적인 검토가 요구됨을 제안하 였다. « 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dered aspects of conceptualizi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that is,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nd cultural gender norms and the recognition of you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ultural beliefs and values that are placed on the introverted boy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what social features were concerned regarding introverted boys and how these features actually worked within the children s peer culture. Through this critical ethnography study, the research challenged and critically reconsidered any negative connotations that were attached to the image of introverted boys by the community s cultural beliefs. First,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participant teacher s descriptions on introverted children, two boys and one girl, this study found introverted boys unassertiveness and excessive sensitivity were more likely regarded as problematic than girls. The teacher s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these social characteristics were also frequently observed. Second, despite such negative connotations in society, these features that the introverted boys manifested in peer play were actually very beneficial for the children s relationships. The boys sensitivities and unassertive attitudes were not only helpful for reducing the number of conflicts that can occur during peer play but also indispensible for generating and enhancing harmonies in peer relationships and peaceful peer interactions. This study calls for critical reflection on and reconsideration of our cultural values and beliefs regarding gender-specific types of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어머니와 보육교사 간의 관계형성에 대한 상호 인식

        임민정(Lim, Min-jung),손은애(Son, Eun-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관계형성의 과정에서 상호 간의 경험과 인식을 교차적으로 살펴보면서, 갈등을 유발하는 대립적 요소와 공감을 형성하는 합의점 분석을 통해 협력적 관계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보육교사 관련 프로젝트의 일부로서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8년 7월부터 11월에 걸쳐 보육교사 9명과 어머니 9명의 연구 참여자들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정부의 무상보육정책이라는 사회정치적 맥락 안에서 어머니와 보육교사들은 ‘맡겨지는 아이들’에 대한 돌봄과 양육의 역할수행을 두고 서로 다른 기대와 인식을 가졌고, 이는 상호 역할수행에 대한 신념으로 작용하며 관계에서의 갈등 요인이 되었다. 또한, 자녀의 돌봄과 안전을 위임한 어머니의 불안감과 일부 학부모의 과도한 요구 및 사회적 불신과 같은 보육 현실에서의 교사의 스트레스와 소진으로 인해 서로가 스스로 약자로 여기며 갈등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와 보육교사들은 ‘믿고 맡길 수 있는’ 신뢰를 형성하고자 서로 노력하였으며, 이는 영유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공유하고, 서로의 감정과 요구를 수용하는 공감에서 시작되었다.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중심으로 한 협력관계 형성을 위해서는 어머니와 보육교사 모두에게 서로 간의 신뢰와 공감, 양육에의 공동 책임감이 중요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utual perceptions of mothers and childcare teachers about the mother-teacher relationship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cooperative relationship by analyzing the underlying elements that cause conflict and that forms consensus.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8 participants, 9 mothers and 9 childcare teachers. As a result, in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the government s free childcare policy, the mothers and the childcare teachers had different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about the roles of caring for and raising children, and this became a factor of conflict in their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mothers considered themselves as inferior to the childcare teachers due to the anxiety about their children whose safety and care were left to the teachers. The childcare teachers also felt inferior to the mothers due to their stress and exhaustion caused by the reality of childcare settings such as the excessive demands of some parents and social distrust. This feeling of inferiority that the mothers and the childcare teachers both had to each other formed conflicts and tensions in their relationships. Nevertheless, both mothers and childcare teachers tried to build up trust between them, which began with empathy formed by sharing affection and care for their children and by accepting each other s feelings and needs. Trust and sympathy between mothers and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sense of shared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were important for their cooperative relationship.

      • KCI등재

        초등학교 신임교사의 직무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엄문영 ( Eom Moonyoung ),손은애 ( Son Euna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new teacher’s job competency by previous studies, and to analyz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using survey questionnaires. Next, this study pointed out that IPA should be considered educational field’s specialty such as effect size of Cohen’s d. Thus, this study tried to overcome the limits of traditional IPA shortcom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lementary school teacher, manager like a principal, supervisor consider education value and relationship competency should be first educated for new elementary school teacher. Specifically, as a education value area, new teacher have a competency to be ethics and sympathy and as a relationship area, he(she) have a competency to manage and to solve conflict with other stakeholder.

      • KCI등재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의 경험을 통한 유아 및 보육교사 양성체제 분석

        황정훈(Junghun Hwang),엄문영(Moonyoung Eom),손은애(Eunae So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 및 보육교사의 양성 및 자격 기준의 관점에서 현장 교사들에 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관리자의 경험을 탐색해봄으로써 현 유아교사 및 보육교사 양성체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직 유치원 관리자와 어린이집 관리자를 대상으로 탐색적 다중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 모두 양성기관 유형에 따른 전문성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근무 시 필요한 역량에 있어 교육연한이 긴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더욱 뛰어나다고 보았다. 둘째, 유아교육학 전공자와 보육학 및 기타 아동 관련 학과 등 비유아교육학 전공자 간의 역량 차이가 있음을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가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 모두 교육실습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 모두 현직 교육의 효과성과 비효과성을 동시에 지적하였다. 다섯째, 임용 및 채용 과정에서 자격취득 경로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유아 및 보육교사 양성체제 모두 학과제 중심으로 개편하며 단기 양성체제를 폐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이 바람직하다. 둘째, 교육실습에 있어서 다방면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현직 교육은 현장 친화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교원의 양성과 자격 측면에서 기관 관리자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유・보 통합에 앞서 선결되어야 할 각 체제별 전문성 확보를 위한 양성과정 개편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training and qualification standards for infant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the overall discussion on improving the training system of infant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for field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ertise according to the type of training institution. Teachers with long educational years were considered to be relatively superior in terms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 Secon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commonly recognized the difference in competenc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nd non-child education majors such as childcare and other child-related departments. Third,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recognized that a lot of improvement was needed in terms of educational practice. Fourth,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pointed out the effectiveness and ineffectiveness of incumbent education at the same time. Fifth, the qualification acquisition path was influencing in the appointment and recruitment proces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can be provided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reorganize both the training system for infant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centered on the subject system and to abolish the short-term training system. Second, various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educational practice. Third, incumbent education should be field-friendly.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institutional managers in terms of the training system, the necessity that the training process to secure expertise for each system is needed to change for the unification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