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논문 : 무슬림의 그리스도교 비판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변증 -「신앙의 근거들」을 중심으로-

        손은실 ( Eun Sil So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2 종교와 문화 Vol.0 No.23

        This paper studies De rationibus fidei (On reasons for our faith against the Muslims) written by Thomas Aquinas (1224/25-1274), the great Christian theologian of the Middle Ages, which shows a good example of his contribution to discussions between Muslims and Christians, and explores implications for interreligious dialogue today. Aquinas wrote this work because his fellow friar who lived in Antioch of Syria as missionary asked him to respond to the questions that confronted him through contact with Muslims and Eastern Christians. Except for the question about the purgatory, all the questions concern the Trinity and Christology. Therefore, this work is a good place to learn about Aquinas` answers to Muslims` criticism of Christianity. This paper carefully analyses De rationibus fidei and shows that Aquinas` balanced and prudent approach to Muslims` criticism of Christian faith provides an invaluable insight for the dialogue between Christians and Muslims today.

      • KCI등재

        “원대한 마음과 겸손은 양립가능한가?”

        손은실(Son, Euns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1 No.-

        원대한 마음과 겸손의 양립가능성 여부는 1277년 전후로 파리대학가에서 격렬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문제이다. 본고는 1270년대에 이 문제를 다룬 가장 대표적인 세 학자, 즉 토마스 아퀴나스, 시제 브라방, 보나벤투라의 원전을 엄밀하게 분석하여 13세기 파리대학이라는 구체적인 공간에서 그리스도인 신학자와 철학자들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그리스도교 신앙이 충돌하는 문제에 직면하여 각각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를 밝힌다. 신학자였던 토마스와 보나벤투라와 달리 철학자였던 시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거의 전적으로 추종하여 겸손을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한 개념과 동일시하고 원대한 마음과 양립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로 인해 겸손에 관한 그의 주장은 1277년 단죄목록 제171조항의 표적이 되었다. 반면에 보나벤투라는 겸손에 관한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에 비추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원대한 마음을 노골적으로 비판하였다. 이 두 사람과 다른 제 3의 길을 선택한 토마스 아퀴나스는 성서의 관점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을 연결시키는 시도를 함으로써 겸손과 원대한 마음이 양립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Is magnanimity compatible with humility?” This is a question that caused violent disputations during the thirteenth century at Paris University regarding the conflict between Aristotle’s magnanimity and Christian humility. This paper analyses relevant texts written by three professors of Paris University: Thomas Aquinas, Siger of Brabant, and Bonaventure. It elucidates the respective positions taken by each author faced with the conflict between Aristotelian philosophy and Christian faith. Siger of Brabant, who almost entirely followed Aristotle"s philosophy, identified humility with the Aristotelian virtue of temperance by arguing that humility is compatible with magnanimity. His opinion about humility became a target of the condemnation of 1277. Contrary to Siger, Bonaventure openly criticized Aristotelian magnanimity in light of Christian humility. Thomas Aquinas’ position differed with Siger of Brabant and Bonaventure by trying to connect the Christian humility and Aristotelian magnanimity. Through this, he argued that the two virtues are compatible.

      • KCI등재

        인간은 과연 현세에서 행복할 수 있는가

        손은실(SON Eunsil)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1

        본고의 목표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행복론을 연구하여 현대 한국사회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행복에 대한 담론의 지평을 확장하고 그 깊이를 심화시키는 데 일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토마스의 행복론을 당대에 유행하던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론과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주석가들의 행복론과 비교하고, 토마스가 이 두 행복론을 어떤 방식으로 종합하는지를 밝힌다. 그는 한편으로는 히포의 주교를 따라 인간은 현세에서 완전한 행복에 도달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세에서 행복을 추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개념을 ‘불완전한 행복’이라 명명하며 수용한다. 이와 같이 토마스는 철학적 행복개념과 그리스도교의 행복이해를 포괄함으로써 자연이성을 통해 탐구가능한 인간의 목적과 신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초자연적 차원의 목적에 대한 논의를 함께 전개한다. 하지만 그는 인간의 궁극적 갈망과 목적에 대한 철학의 탐구는 결국 아포리아에 부딪힘을 논증하고 현세에서 행복을 추구했던 철학자들은 이로 인해 ‘번민’을 겪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는 이 번민에서 해방될 수 있는 길은 우리가 미래의 삶에서 하나님을 볼 것임을 지지하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성과 신앙을 통한 행복이해를 종합하면서, 이성적 탐구의 한계를 밝히고 그것을 초월하는 신앙을 통한 행복의 길이 무엇인지 제시하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행복론의 핵심적인 내용을 논증적인 방식으로 소개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현대 한국사회의 통속적인 행복이해와 계몽주의 시대 이래 이성적 차원에 매몰된 근현대철학의 행복개념에서 간과되어온 인간의 궁극적 목적의 영적이고 초자연적 차원을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omas Aquinas’ doctrine of happiness. To this end, I contrast it with Augustine’s and Aristotle’s, both of which extensively discussed at the University of Paris in the time of Aquinas. On the one hand, Aquinas, following Augustine, argues that no human being can reach the complete happiness in this life. On the other hand, he does not unconditionally reject Aristotle’s concept of happiness, which recognizes the happiness in this life. Aquinas considers Aristotle’s concept of happiness as incomplete. Thus Aquinas’ understanding of happiness includes both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happiness and the Christian concept of happiness. By synthesizing the two concepts, he simultaneously covers the supernatural dimension and the natural dimension of human end. But he says that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happiness finally reaches Aporia, and describes that the philosophers who sought happiness in this life could not avoid the suffering of the “anguish.” And he argues that human beings can be released from this anguish by supporting the fact that they will be able to see God after death. The complete happiness of human beings, says Aquinas, consists in the vision of God in the patria.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Aquinas’ doctrine of happiness which consists in the synthesis of investigations of happiness by reason and by faith. In his attempt, Aquinas reveals the limits of rational inquiry of happiness and suggests the ‘through-faith’ way, which leads to the complete happiness beyond the human intelligence. This study on Aquinas’ doctrine of happiness indicates that there are some spiritual and supernatural dimensions in the human pursuit of happiness, which have been forgotten since the Age of Enlightenment.

      • KCI등재

        논문 : 하나님은 왜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인류를 구원하기를 원하셨는가? 토마스 아퀴나스의 구원론: 신학대전 제 3부를 중심으로

        손은실 ( Eun Sil Son ) 한국중세철학회 2007 중세철학 Vol.0 No.13

        하나님이 그리스도의 죽음을 통해 인류를 죄로부터 구원하신다는 것은 성서에 계시된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에 속한다. 하지만 이 신앙 조항(articulus fidei)은 인간 이성의 눈에는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나님은 다른 방법으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왜 자신의 죽음을 통해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사람이 되셨는가?” “어떻게 성부가 자신의 사랑하는 아들을 죽음으로 내몰거나 혹은 그것을 허용할 수 있었는가?” “도대체 어떤 정의에 의해 가장 의로운 자를 죄인을 위한 죽음으로 내몰 수 있는가?” 이 질문들은 그리스도의 육화(肉化)의 신비를 이성을 통해 이해하려는 시도에서 획기적인 저작으로 간주되는 안셀무스의 왜 하나님-인간 (Cur Deus Homo, 1098)에 나온다. 안셀무스는 이 문제들에 답하면서 ‘하나님-인간’이신 그리스도의 죽음에 의한 인류 죄의 보속(補贖, satisfactio)은 신의 정의와 양립 가능한 인간 구원의 길이었음 을 보여준다. Cur Deus Homo가 나온 지 수십 년 후에 아벨라르두스는 무고한 희생자를 통한 보속은 부정의한 것이 아니냐는 문제를 날카롭게 제기하였다. 그는 자신의 로마서 주석 (1133-1140)에서 하나님의 아들을 죽이는 것은 인간이 저지른 원죄보다 더 큰 범죄로서 하나님의 분노를 받아 마땅하기 때문에, 그리스도의 죽음을 인간을 죄로부터 구속(救贖)하기 위한 속전(pretium)으로 이해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한다. 그 대신, 그는 그리스도의 수난을 통한 인간의 구원을 그리스도의 최상의 사랑의 드러남으로 이해한다. 이 두 신학자의 입장을 모두 잘 알고 있었던 토마스 아퀴나스(1224 / 1225-1274)는 전자처럼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전자처럼 신의 정의의 요구를 중심으로 생각하는가? 아니면, 후자처럼 신의 사랑의 표현이라는 점을 강조하는가? 아니면, 두 입장을 동시에 수용하는가? 또한, 방금 위에서 언급된 보속문제가 함축하고 있는 난제들에 대해서 그는 어떤 해답을 제시하는가? 이상의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해서 본고에서 우리는 토마스가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역에 대한 자신의 체계적이고 최종적인 입장을 전개하는 신학대전 Ⅲ부, 문제 1-59, 즉, 그리스도론에 할애된 문제들을 중심적으로 분석한다. 이 분석을 통해 우리는 토마스가 정의, 사랑 두 속성 가운데 어느 하나를 배타적으로 강조하지 않고, 그리스도의 십자가상의 죽음을 통한 구원 사역에서 이 두 속성이 공존한다는 것과 그 공존 방식을 탁월한 균형 감각을 가지고 규정함을 밝힌다. The doctrine that God saves the humanity from the sin through the death of Christ belongs to the biblical revelation. But this articulus fidei seems to raise several difficult problems with regard to the reason. “Why did God become a man to save the humanity through his death, while he could apparently have obtained the same results resorting to other means?” “How could the Father drive his beloved Son to death or allow such an event to happen?” “By what sort of justice can one condemn the most righteous to the death for the sinners?” These questions are found in Anselm`s Cur Deus Homo (1098), which is deemed epoch-making work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ystery of incarnation by the reason. Anselm showed in this book that the satisfaction of sin through the death of Christ, God-man, was the way of human salvation compatible with the divine justice. Several decades after the publication of Cur Deus Homo, Abelard asked if it is not unjust to satisfy the sin by an innocent victim? He says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rue the death of Christ as the ransom for the redemption of the humanity from the sin, because the killing of the son of God constitute a greater crime deserving the wrath of God than the original sin itself. Instead, he considers the salvation of the humanity through the passion of Christ as the manifestation of his supreme love. Does Thomas Aquinas, who was well acquainted with the positions of these two theologians, think the cross of the Christ, as the former, focusing on the divine demand for the justice? If not, does he insist on the manifestation of divine love as the latter? Or does he adopt both positions? What are his answers to the difficult problems mentioned above?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studied the questions 1-59 of Summa Theologiae Ⅲ, which are devoted to Christology and where Thomas developed his last and definite doctrines about the Christ`s works of salvation. Through our analyses of these questions, we showed that Thomas did not emphasize exclusively one of these two divine attributes, but asserted the coexistence of these two attributes and determined with an excellent balance how they coexist.

      • KCI등재

        논문 : 토마스 아퀴나스의 여성관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페미니즘"-

        손은실 ( Eun Sil Son ) 한국중세철학회 2014 중세철학 Vol.0 No.20

        본고의 주된 목표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페미니즘’을 규명하고 그 유래를 밝히는 것이다. 이 주석서에서 4장의 사마리아 여인과 20장의 막달라 마리아가 나오는 본문을 주석한 부분이 본고의 주된 분석 대상이다. 이본문 주석에서 토마스는 두 여인이 ‘사도의 직무’를 수행했다고 해석한다. 사마리아 여인에 대해서는 특별히 그녀의 설교의 방식과 열매를 섬세하게 분석하고, 막달라 마리아에게는 ‘사도들의 사도’라는 호칭을 부여한다. 이 본문들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 20세기의 페미니스트 성서학자들은 이 텍스트들이 남성지배적인 주석과 설교 전통 속에서 왜곡되거나 하찮은 것으로 치부되어 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토마스는 이들보다 훨씬 앞서서 요한복음에 나타난여성의 사도적 역할에 주목하고, 그 어떤 현대 페미니스트 성서 해석학자 못지않은 페미니스트적 감수성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토마스가 여성을 다루는 모든 텍스트에서 이와 같은 태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 비교를 위해 분석한 바울서신 주석과 『신학대전』의 병행구절은 오히려 그가 속했던 시대의 가부장적 여성관을 반영하고 있다. 이렇게 상이한 심지어 모순되는 여성관을 보여주는 토마스의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는 길은 토마스의 신학에서 성서의 권위가 가지는 위상을 기억하는 것이다. 그에게 성서는 신학적 사유의 최종적 근거이자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다. 따라서 그에게 성서의 텍스트인 바울서신에 나오는 여성은 침묵하고 가르치지 말라는 주장이 오류일 수 없다. 마찬가지로 요한복음에 나타난 여성의 사도적 직무 수행과 설교도부인할 수 없는 성서의 증거이다. 따라서 토마스는 두 성서 텍스트의 주장을 모두 수용한다. 이러한 토마스의 태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토마스가 자기 시대 문화와 사회적그리고 종교적 맥락에 따라 성서를 읽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 시대문화 속에서 여성의 종속은 기정사실이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적 이론과 사회구조는 여성의 종속적 지위를 강화했다. 이런 맥락에서 토마스가 바울서신에 나타난 여성은 침묵하고 가르치지 말라는 구절에 문제를 느끼지 않았던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었을 것이다. 반면에 『요한복음 주석』에서 토마스가 남녀 차별을 넘어서는 복음적 여성 이해를 보여준 것은 자연스럽다고 보기 어려우며 놀라운 일이다. 토마스의 다른 텍스트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페미니즘이 이 주석서에서 거침없이 드러날 수 있었던 이유는 복음서 자체가 증언하는 내용, 즉 그리스도가 당대의 가부장적 사회 구조를 뛰어 넘어 여성에게 사도의 직무를 맡기는 내용에 토마스가 겸손히 귀를 기울인 것에서 비롯된다. 이를 통해 그는 사마리아 여인이 수행한 사도의 직무를 감탄할만한 방식으로 분석하고, 부활의 첫 증인이 된 막달라 마리아에게 ‘사도들의 사도’라는 호칭을 부여하며 자기시대의 가부장적 여성관을 과감하게 뛰어 넘을 수 있었던것이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feminism” in Thomas Aquinas’ Commentary on the Gospel of St. John and identify its origin. The object of the analysis is his interpretation of the pericopes containing Samaritan woman(chapter 4) and Mary Magdalene(chapter 20). Thomas commented that these women carried the “ministry of the apostles”. Particularly he dedicated a fine analysis to the method and the fruit of Samaritan woman’s sermon, and gave the title of “the apostle of apostles” to Mary Magdalene. Feminist biblical scholars of the 20th centur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se texts and insisted that they have been distorted or dismissed as trivial in the male-dominated tradition. But Thomas payed attention to women’s apostolic roles found in the Gospel of St. John, and showed no less feminist sensibility than any other modern feminist biblical scholar. However, such an attitude is not found in any other text of Thomas dealing with women. His commentaries on some passages of Paul’s letters and their parallel passage in Summa Theologiae rather reflect the patriarchal view of women popular in the era to which he belonged. A way to understand this different or even contradictory views of women in the diverse works of Thomas is to remember his respect for the authority of the Bible. Indeed, the Bible has the absolute and ultimate authority in his theological reasoning. Therefore, for him neither Paul’s letters nor the Gospel of John can contain an error. So Thomas hold all the claims of the two biblical texts. In order to understand this attitude of Thomas, we must keep in mind that Thomas read the Bible according to the culture and the social and religious context of his time. Subordination of women in the era was an established fact, and the biological theory of Aristotle and the social structure strengthened the dependent status of women.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natural that the pauline phrase like “I do not permit a woman to teach, … she must be silent”(I Tim. 2: 12) did not appear to Thomas problematic. On the contrary, the evangelical view of women in the Commentary on the Gospel of John is not natural and surprising at that time. The reason why “feminism”, is found in the Commentary, contrary to other works of Thomas, is that Thomas humbly listened to the witnesses of the Gospel itself, that is, Christ entrusted the office of Apostle to women beyond the contemporary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Through his listening to the God’s word, Thomas could observe the apostolic office accomplished by women and surpass drastically the patriarchal view of women of his day.

      • 스위스 불어권 종교개혁의 개척자 기욤 파렐의 영성과 목회신학

        손은실(Son Eun Sil) 혜암신학연구소 2017 신학과교회 Vol.8 No.-

        본고는 스위스 불어권 종교개혁의 1세대 가운데 가장 큰 공로를 세운 개혁자이지만 칼뱅의 그림자에 가려져 있던 기욤 파렐(Guillaume Farel, 1489-1565)의 영성과 신학사상을 소개하고 오늘날 개혁이 절실히 요청되는 한국교회를 위한 시사점을 밝힌다. 이를 위해 먼저 그가 종교개혁시대의 역사적 배경에서 개혁자로 성장해 간 배경과 스위스 불어권에서 종교개혁 운동을 확산시켜 나간 활동 그리고 파렐과 칼뱅 사이에 있었던 ‘예언자들의 우정’을 소개한다. 파렐에 대한 이런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대표적인 신학 저술인 『신앙개요』에서 오늘 한국교회 개혁에 시사하는 바가 가장 큰 부분을 발췌하여 번역한다. 그것은 두 가지 내용에 관한 것이다. 첫째는 한국교회의 중요한 개혁 대상인 기복 신앙과 번영 신학의 폐해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을 보여주는 파렐의 기도의 영성에 관한 것이다. 둘째는 한국교회의 최우선적 개혁 대상으로 전락한 목사의 개혁을 위해 귀중한 교훈을 주는 거짓 목사와 좋은 목사의 모델을 제시하는 글이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spirituality and theological thoughts of Guillaume Farel (1489-1565), who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firstgeneration reformers in French-speaking Switzerland, but has often been overshadowed by Calvin. It will als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hurch which urgently requires a reformation. To do this, it deals with Farel’s growth as a reformer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formation, his role in the expansion of the Reformation movement among the French-speaking Switzerland, and the “friendship of prophets” between Farel and Calvin. With this basic understanding of Farel, it translates excerpts from his theological work Summary and Brief Exposition, which have most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re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The excerpts consist of two subjects. One is Farel’s Spirituality of Prayer, which show a way to overcome the consequences of the main targets of reformation, that is, the faith for blessing and the theology of prosperity. The other is the models of the Good Pastor and the False Pastor, which give insights for the reform of the pastors, who have been reduced to targets of the most urgent reformation in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의 첫 한문 번역 『초성학요』(超性學要)의 특징과 의의 -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

        손은실(Son, Eunsil) 한국서양고전학회 2020 西洋古典學硏究 Vol.59 No.2

        이 연구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의 최초의 한문본인 『초성학요』(超性學要)를 소개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먼저 역자인 루도비코 불리오의 생애를 소개하고, 『초성학요』의 번역 범위와 영향사를 다룬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불리오의 서문과 범례를 분석하여 번역의 특징을 밝히고, 『초성학요』 연구의 중요성과 의의를 밝힌다. 본고가 규명한 『초성학요』에 나타난 번역의 특징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초성학요』는 중국어와 서양 언어의 차이 그리고 동서양 문화의 격차를 메우기 위해 선행 번역서들에서 수십 년 간 축적되어 온 다양한 번역을 흥미롭게 결합하는 특징을 가진다. 둘째, 『초성학요』는 단순한 라틴어-중국어 번역에 머물지 않고, 텍스트를 문화적 맥락에 위치시켜 탈맥락화와 재맥락화를 시도하는 ‘문화적 번역’의 특징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번역하고 주해한 텍스트만으로도 『초성학요』가 동서문화 교류 연구와 동아시아에서의 『신학대전』 수용 그리고 서양 개념어 번역의 비교 연구의 보고(寶庫)임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Chao xing xue yao, the first Chinese translation of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To this end, it first introduces the life of Ludovico Buligo, its translator (2), deals with the scope of translation and the influence of Chao xing xue yao (3), elucidates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with focus on Buligo’s own preface for the first ten volumes (自序) and explanatory notes (凡例) (4), and stresses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Chao xing xue yao (5). This study suggests that Buligo should proceed to the third part after completing the translation of the first part of Summa Theologiae, because the third part deals with Jesus Christ, and because the second part is too vast to translate in a short time and contains some ethical issues in conflict with Chinese traditional ethics. Furthermore, it is for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audience that Buligo changes the order of the original text of each article in Summa Theologiae by introducing the authority, then proceeding to Thomas’ own answers, and finally presenting each objection with its solut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s for the terms for theologia, Buligo utilizes supernatural science (超性學) in addition to existent terms such as science of Tao (道科), science of heaven (天學), or a transliterated form (陡祿日亞) coined by his predecessors, and that this word succinctly summarizes the concept of theology formulated in Summa Theologiae I, 1, 1, c. Finally this study corroborates that in his explanatory remarks Buligo borrows the description of four causes, the definition of substance and accident, and ten categories from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by Matteo Ricci with slight modifications. Besides the terms for ten categories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The Investigation of the Theory of Names (名理探), and Chao xing xue yao, these demonstrate that Buglio, borrowing the terminology made by his forerunners, modified and recontextualized some words. All these examples show that Chao xing xue yao clearly displays characteristics of cultural translation. Through analyzing and expounding the texts, this study shows the significance of Chao xing xue yao as treasure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s and as foundation for the study of reception history of Summa Theologiae as well as for the comparison of translation of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concepts in East Asia.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와 루터의 신 인식론 비교

        손은실(Eun Sil Son)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0 선교와 신학 Vol.25 No.-

        In this paper, we study the theological epistemologies of Thomas Aquinas and Martin Luther. These two theologians agree at least on two points. Firstly, they concur on the extent of the knowledge obtained by the natural reason. Both think that all we know through the natural reason is the divine attributes deduced from the knowledge of the creatures. The second point, which results from the first, is that the knowledge of the saviour God comes only from that of God revealed in Jesus Christ. However, they are divergent on their theological epistemologies. This divergence results from their different theological principles. That of Thomas is the theological axiom that the grace does not destroy the nature but presupposes and completes it. That of Luther, however, is the doctrine of the justification by faith which constitutes the hermeneutical key to his whole thought. These different principles br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spectives about the importance of the natural knowledge. Luther does not consider the natural knowledge of God seriously, which is not connected with the justification by faith. On the contrary, Thomas gives more importance than Luther to the natural knowledge. Although he knows well its limits, he considers that a little natural knowledge about the highest realities can bring a great joy. This study shows that a big change has taken place concer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reason during the three centuries from Thomas to Luther. Thomas thinks that both originate from God, which prevent them from being contradictory. The reason has its proper competency and autonomy, but is open to the light of faith. On the basis of this understanding between the reason and faith, Thomas permits the utilization of philosophy in theology on condition that the former serves the latter. On the contrary, Luther, reacting against the later scholastic theology which is philosophized, criticizes the utilization of philosophy and contrast the reason darkened by the sin against the faith.

      • KCI등재

        “의문에서 탐구로, 탐구에서 진리로”

        손은실(Son, Eun-S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9 No.-

        본고는 세 유일신 종교문화 간의 지적 교류의 황금기에 나온 종교 간 대화 문헌을 연구함으로써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우리 사회에서 종교 간의 평화를 유지해 나가기 위한 대화방법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아벨라르두스(1079-1142)의 『비교토론』을 분석한다. 이 작품은 당시 유행하던 그리스도교-유대교 논쟁 문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논쟁적 대결을 배제하고, 각 종교가 표방하는 신앙의 진리에 대해 이성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종교 간 대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모범적인 모델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고는 선행 연구들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이 작품에서 사용된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의 전반부에 나오는 철학자와 유대인의 대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그 방법은 바로 아벨라르두스의 저작 『찬반논변집』에 소개된 상반되어 보이는 권위있는 텍스트들을 해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핵심은 모순되는 주장을 발견했을 때 성급하게 판단하지 않고, 왜 그런 주장이 나오게 되었는지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하고, 의문을 가짐으로써 탐구하고, 탐구함으로써 진리를 인식하는 변증술적 탐구에 있다. 본고는 이 변증술적 탐구 방법이 『비교토론』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 방법이 종교 간의 대화에 적용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논증한다.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dialogue and peace between religions, by analyzing a text related to interfaith dialogue written in the golden age of intellectual exchange between three monotheistic religions. The text in question, Peter Abelard’s Collationes, shows an exemplary model of interfaith dialogue by integrating a rational approach to the questions of faith in place of a controversial showdown often found in the Christian-Jewish debates of that era. This paper investigates this text focusing on the method Abelard introduced in his work Sic et non. This method shows how to resolve the problem of apparently contradictory statements of the saints. This method aims to avoid rash judgment and in pursuing persistent and frequent questions, a tool of dialectical inquiry. By analyzing how this method was applied to Collationes, we argue that this dialectical inquiry method can be an effective tool in interfaith dialogue.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의로운 가격(iustum pretium)론에 대한 재해석

        손은실 ( Eun Sil Son )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1 西洋中世史硏究 Vol.0 No.28

        This paper aims at reinterpreting Thomas Aquinas` texts dealing with the question of the just price by applying an adequate methodology to them. Earlier researchers understood that the just price, according to Thomas, was determined by the utility or the cost of production including the labor, or both. But my more systematic and thorough examination of the texts in question reveals that Thomas considered that the just price was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value of goods, the balance of profit and loss between sellers and buyers, the utility, the labor, the quantity of demand and supply, and the market price in time of transaction. However, he did not explain exactly how these elements determined the just price. This seems to be understandable, for Thomas was not interested in accounting for the price determination in the economic reality, but in deciding whether a certain price is just or not. This reflects the normative viewpoints of the medieval theologians who treated the economic phenomena. Contrary to the tendency of the modern economics since the Renaissance, which has disregarded ethical problems, today the relationship of economy and ethics emerges as an object of scientific discussion of the economics. Against this background, our study on a normative approach of the just price, which is a representative subject of medieval thoughts of the economics, can be a very significant con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